View : 1067 Download: 0

연결망분석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내용 구성

Title
연결망분석을 통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내용 구성
Other Titles
Contents Organization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Using Network Analysis
Authors
박은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연결망분석사회과교육과정Social Studies Curriculum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he model for finding the suitability and validity of how to organize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Since social studies was formed in 1916 by social needs(pressures) for promoting American citizenship, there were many arguments about integration, and NCSS announced that the social studies was the integrated study of th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in 1994. We begin to emphasis the need of integration from the 4th Curriculum, and the character of the integrated content organization in social studies is clarified in the 7th Curriculum. Till now, the argument of integration is focused on the similarity and relation. However, in 7th Curriculim, they discuss it in the level of understanding. Precisely, because the total social understanding is considered as the elements for cultivating citizenship, integration is not a method but strategy of contents organization. It is impossible to form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in the light of our situation. In this thesis, I will conceive both relation and understanding in the disscussion of integration. In other words, I will discuss the integration from the view point of relation which needs the interdependence for total social understanding. In the previous works, the extent, mode and level of integration in the curriculum has been discussed. Even though, they tried to put the ideal integration type on reality in the organization of integrated contents. These researches resulted in many problems for application and recognized that the integration is an ideal model of contents organization. In addition, these researches were progressed with separate discipline and school level. For suggesting the realistic integrated contents,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from 3th grade to 10th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which is the useful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relations of contents and catch the attention of many scholars recently. Because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composed of the interdependent contents network, caused by the functional needs of integration for total social understanding, network of contents is increased. So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lation of the contents and type of contents network by social network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examined issues and results. First, through analyzing the relation of social studies contents, I inquired the extent and mode of integrated contents organization, more specially the extent of realization the curriculum recommendation and the change of integration organization between 6th Curriculum and 7th Curriculum. In both 6th Curriculum and 7th Curriculum, social life understanding focused on the geography domain has an effect on the lower grade level and the problem-related contents on higher grade level. Based on the environment student belongs to, one builds up the relation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n recognize the problems occurred in social living. This shows that curriculum recommendation is well reflected in the textbook, which is emphasized ordinary life experience in elemenatry level and social problem solu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Among these, it is the approach to solve the problems with multi-viewpoint and promote the ability to think social phenomenon that is stressed in the 7th Curriculum. Studying relation of each domain contents in these organization, geography domain is less exclusive and tend to make intimate terms with other domains. But politics and economics domains tend to be separative. In elementary school, geography and social science domain are situated closely, and social science domain and integration unit is situated closely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Namely, it reveals that they tend to organize issue-centered integrated contents based on the social understanding in 7th Curriculum. Second, I select the concrete contents for organizing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cerning with understanding and relation. If the integration is established on the relations with multiple viewpoint(or discipline), the relation is caused by the integration with each specialized discipline's viewpoint by functional needs of total social understanding. For finding the contents which needs functional interdependence, I consider textbooks as the market of contents. I select the appropriate contents among the competing contents by functional needs in the contents market. Following is the analysis result of each domain and school level;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geography domain, City, environmental problem, global village, regional interchange, resource, population, regional problem and regional development can be integrated other domain. Among these, city, environmental problem, global village, regional interchange, resource, population and regional problem are both on intimate and competing terms. In elementary school, these contents are structurally equivalent with economic domain contents, concretely economic interdependence, economic development, activity of production in information society, economic problem solution and production. These contents have similar relation pattern with culture of history domain in the middle school, and globalization, civil society, culture, problem, development of integrated unit in highschool. When current curriculum unit is reorganized by competing contents, it is formed theme or problem-centered description for regional life understanding against geographical-centered descrip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domain, culture, growth, development, change, liberalism and nationalism and modernization can be integrated with other domain. Among these, culture, growth, development and change both belong to the intimate and competing group. These contentss are structurally equivalent with city, population, industry, interchange, interdependence, problem, democracy, right of geography, economics and politics domain in elementary level. In the middle school level, these contents can be integrated with industry, regional trait, regional problem, interchange, resource, city, population, right, democracy, law and social change of geography, politics domains and integrated unit. If current curriculum unit is reformed by competing contentss, it shows event or theme-centered contents organization so that student understands the concrete activity in accordance with theme which is recommended in the curriculum.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olitics, economics, sociology and culture domain, democracy, culture, market economy, economic growth, regional development, future society, social problem, right, local autonomy, production, information society and economic interchange belong to both intimate and competing contents groups. These contents can be integrated with city, population, industry, environment, interchange, global problem of geography domain and culture of history domain in elementary level. In the middle school level, those are possible to form integrately with resource, city, population of geography domain and right, democracy, civil society, economic problem, market economy of politics and economics domain. In high school, those can integrate with culture, civil society, making decision, globalization of integrated unit and democracy, political assignment, political problem of politics domain. Reorganizing the curriculum unit by competing contents, it is formed thematic-centered contents organization against the expanding environmental type in elementary level and linkage with politics and law or economic and law in middle school. In conclusion, concrete contents that can be integrated in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competing contents are culture, interdepence, interchange, institution and group, industry, resource, problem solution, population, city, regional development, social change, democracy, market economy, future society, current social assignment, economic development, right and duty, law system, environment, local autonomy, citizen participation and conflict. Third, through the second analysis results, selected contents is categorized so that they represent each domain and then set up 10 thematic-strands, specifically, haman and environment, region and life, change, culture, democracy and citizen participation, market economy and competition, future social life, social problem, interchange and interdependence, growth and develdpment. Under the 10 strands, I make a selection concrete sub-theme and provide the performance expectations on all levels to give some help learning sub-theme and grasp the relation with each strand. When I select the sub-theme under each strand, I try to include the concepts, socio-functional elements, knowledge of future and current social issue based the categorized contents as earlier suggested. When I provide the performance expectations on all levels, modes of social studies contents organization in the 7th curriculum is served as good reference, concretely, stress on the basic concepts understanding and adaption in the elementary level, discovering the knowledge by scientific method, social problem solution, voluntarily participation in middle school, and understanding of total social phenomenon, critical thinking and reasonable dicision-making in high school. Finally, I suggest the integration method which can be applicable into reality. Based this research's result, integrated contents organiza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will be refined. Precisely, I draw the integration theme(or contents) directly from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I visibly show the possibility to apply integration into Korea Social Studies contents organization through this work. In the lacks of circumstance in research about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ue to the limitation of research methods, I expand the field of research by introducing new methodology, social network analysis. So I hope this reseach pave a way for other researches about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본 논문은 사회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내용 구성이 어떠한 원리에 의해 구성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적합성과 타당성을 탐구하기 위해 연결망 분석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초·중·고등학교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여 실제적인 통합적 내용 구성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1916년 사회문제해결과 미국시민의 양성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의해 미국 사회과가 성립된 이래, 사회과를 둘러싸고 통합과 분과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는데, 1994년 미국 사회과 교육협의회 (NCSS)는 사회과의 표준화 작업에서 간학문적 통합 구성이 사회과 성격에 배태되어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국 사회과도 4차 교육과정에서부터 교과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여, 현 7차 교육과정시기에는 사회과의 통합적 내용 구성에 대한 본질적인 성격을 명시하고 있다. 그런데 통합에 대한 논의들이 그동안 유사성과 관련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반면, 7차에서는 인식론적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다. 즉, 종합적 사회인식을 시민성 개발의 요소로 규정하고 이를 위한 내용구성 방법으로 다영역간의 통합적 구성을 명시하여, 통합이 단지 내용구성의 방법이 아니라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 혹은 전략으로 인식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현실에 비추어볼 때, 다영역을 통합하기는 아직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관련 과목간의 통합을 이루어야 하는 점에서 통합을 논하는데 있어 관련성과 인식의 문제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종합적 사회인식이라는 기능적 필요로 상호 의존해야 하는 관련성측면에서 통합 구성을 논해 보고자한다. 지금까지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교육과정 차원에서 통합의 정도, 방식, 수준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리고 통합안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도 이상적인 통합 내용을 현실에 맞추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실제 사회과 통합구성을 위한 적용에 많은 문제점을 주었으며, 통합 구성을 이상적 차원의 내용구성 방식으로 인식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게다가 이러한 통합연구들이 학교별·영역별로(지리, 역사, 일반사회) 분리되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통합이 종합적 사회인식을 위해 상호 관련있는 내용(요소)들을 함께 묶어 전체성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각 영역별로 진행되는 연구들도 의미가 있지만, 관련 영역의 통합까지 확대하여야 진정한 의미의 통합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그동안의 사회과 통합과 관련된 연구들은 현실적, 전체적 의미에서는 미비한 연구들이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식론과 관련성 그리고 현실적·전체적인 차원에서 사회과 통합 내용 구성을 위한 대안을 제시해보기 위해 그동안 분리하여 연구되어 왔던 영역들을 통합하여 국민공통 기본 교육과정 시기인 3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6차와 7차 교육과정 『사회』 교과서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교과서는 교육과정내용을 구체화시켜 놓은 것으로 교육과정상에서 논의되어 왔던 사회과 통합 성격의 구현 정도를 파악할수 있으며, 현실적인 통합구성을 위한 내용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방법은 관계성을 파악하는 대표적인 방법인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사용한다. 사회교과서는 내용들의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망으로 구성되어 있어 연결망 분석을 통해 내용과 내용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한편 통합을 관련성 있는 내용들을 다관점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라 할 때, 종합적 사회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전문적으로 분화되어 있는 각 학문영역의 고유의 관점들을 통합하여야 하는 기능적 필요성의 증가로 인해 내용간의 연결망이 증대되고, 이러한 내용 연결망 분석을 가능하게 해주는 방법이 사회 연결망 분석이다. 분석기준은 6·7차 초·중·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 영역별(인간과 환경, 인간과 시간, 인간과 사회를 재구성하여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과제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내용간의 관계 분석을 통해 통합적 내용 구성의 정도와 방식을 6·7차 교육과정 제시내용과 비교하여 교육과정 내용의 교과서 구현정도와 초, 중, 고등학교 사회과 통합 구성의 변화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사회과 통합의 현실을 파악하고, 이후 통합적 내용 구성에 있어 시사점을 발견한다. 이러한 연구과제에 대한 분석결과는 6차와 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합적 구성에 대한 내용 고찰을 통해 유사성과 관련성에서 사회인식 중심으로 통합성의 논리가 변화되었음을 알수 있었다. 그러면, 종합적 사회인식을 위한 통합적 전략이 교과서 내용 구성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을까? 6차와 7차 모두 학교급별로 저학년에서는 지리중심 생활이해가, 고학년에서는 문제중심 내용들이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어, 학기가 진행되는 동안 자신이 속한 공간의식의 바탕위에 공동생활 의식의 관계를 형성한 이후 학습한 내용을 중심으로 생활의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일상생활 경험과 적응, 중·고등학교의 사회문제해결이라는 통합적 내용 구성의 방향이 구체적으로 교과서에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중 7차 초등학교 5학년의 경우 다관점에서 문제해결에 대한 접근을 강조하고 있어 사회현상을 다차원적인 생활과 관계지어 생각하는 능력 향상을 도모하는 내용 구성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구성에서 영역별 내용들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지리영역은 덜 배타적인 영역으로 다른 영역과 친밀한 관계를 갖는 한편, 분과적 경향을 보이기도 하였으며, 정치와 경제영역이 분과적으로 집합 행동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이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는 지리와 일반사회영역이, 중·고등학교는 일반사회와 통합단원 내용이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하여 보면, 7차에서 그리고 고학년일수록 문제중심 내용구성을 강화하고 있어 사회과 통합방식에서 생활 이해라는 주제에 기반하여 문제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려 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둘째, 인식론과 관련성의 측면에서 통합적 내용 구성을 위한 사회과 내용을 전체적·현실적 차원에서 선정한다. 통합이 다양한 영역(관점)들간의 관련성에 기초하고 있다고 볼 때, 관련성은 전문화된 각 학문영역의 관점들을 종합적 사회현상인식이라는 기능적 필요에 의해 통합해야 하는 이유에서 발생한다. 그런데 공동 참여하여 친밀한 관계를 지닌 내용들이 상호의존의 필요성을 반드시 가지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이에 기능적 상호의존 필요성을 갖는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교과서를 내용들의 시장으로 보고, 내용 시장에서 경쟁하는 내용들 중 설명하고자 하는 관점 혹은 필요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여 통합하여 다룬다고 볼 때, 교과서 시장내에서 경쟁하는 내용들을 통합의 주제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구과제에 대한 각 영역별·학교급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초, 중, 고등학교 지리영역 내용 중 도시, 환경문제, 지구촌, 지역교류, 자원, 인구, 지역문제, 자연환경, 지역발전이 다른 영역과 통합되어져 다루어질 수 있는 지리내용들인데, 이중 도시, 환경문제, 지구촌, 지역교류, 자원, 인구, 지역문제는 공동 참여하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경쟁하는 내용들이다. 이러한 내용들은 초등학교에서는 경제적 상호의존, 경제성장, 정보화 사회의 생산 활동, 경제 문제해결, 생산 등의 경제영역 내용과 구조적으로 등위하였다. 중학교의 경우는 문화관련 내용 역사영역과 고등학교에서는 세계화, 시민사회, 문화, 문제, 성장과 발전의 통합단원영역 내용과 유사한 관계패턴을 갖는다. 그리고 중학교의 경우 경쟁·공유되어지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교과 단원을 재구성하였을 경우 과거 지지 중심의 지리내용 배열에서 벗어나 지역 생활에 대한 이해를 주제 혹은 문제중심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역사영역에서는 문화, 성장, 변화, 발전,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민족운동, 근대화 운동이 초·중학교에서 다른 영역과 통합 가능한 역사영역 내용이다. 이중 문화, 성장, 변화, 발전은 친밀한 관계를 갖는 내용임과 동시에 경쟁, 공유 집단에 속하는 내용이다. 이러한 내용들은 초등학교에서는 도시, 인구, 산업, 교류, 상호의존, 문제, 민주정치, 권리관련 지리, 경제, 정치영역과 유사한 관계패턴을 보였다. 중학교에서는 산업, 지역특성, 지역문제, 교류, 자원, 도시, 인구, 과제·문제, 권리, 민주정치, 법, 사회변화 관련 지리, 정치, 통합단원 영역과 통합되어질 수 있다. 중학교의 경우 경쟁·공유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재구성한 경우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제에 따른 구체적인 활동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사건 혹은 주제중심 내용구성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일반사회영역에서 민주정치, 문화, 시장경제, 경제성장, 지역발전, 미래사회, 사회 문제, 권리, 지방자치, 생산활동, 정보사회, 경제교류, 경제적 상호의존, 경제문제, 사회변화는 초, 중, 고등학교에서 다른 영역과 통합될 수 있는 일반사회영역 내용이다. 이 내용 중, 민주정치, 문화, 시장경제, 경제성장, 지역발전, 미래사회, 사회문제, 권리, 지방자치는 결속집단과 경쟁·공유 내용 모두에 속한다. 그런데 이러한 내용들은 초등학교의 경우 도시, 인구, 산업, 환경, 교류, 지구촌문제 관련 지리내용과 변화, 문화관련 역사내용과 통합될 수 있으며, 중학교에서는 자원, 도시, 인구 문제관련 지리내용과 권리, 민주정치, 시민사회, 경제문제, 시장경제의 정치와 경제 영역 내용과 통합적 구성이 가능하다. 고등학교에서는 문화, 시민사회, 의사결정, 세계화관련 통합단원 내용과 민주정치, 정치과제, 정치문제의 정치영역과 통합되어 질 수 있다. 경쟁·공유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였을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지역확대에 따른 내용구성에서 벗어나 모든 학년에서 고장, 지역, 우리나라, 세계 모두를 다룰수 있도록 주제를 중심으로 재구성되었으며, 중학교에서는 경제와 법 그리고 정치와 법 영역이 함께 연결되는 내용구성을 보였다. 종합해 보면, 7차 초, 중, 고 사회과 교과서에서 경쟁·공유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 역사, 일반사회영역의 통합적 구성이 가능한 내용들은 문화, 상호의존, 교류, 기관과 단체, 산업활동, 자원, 문제해결, 인구, 도시, 지역성장, 사회변화/발전, 민주정치, 시장경제, 미래사회, 현대사회과제, 경제성장, 권리와 의무, 법질서, 환경, 지방자치, 시민참여, 갈등이다. 셋째, 두 번째의 연구 과제를 통해 선정된 내용들을 각 영역별로 범주화하여 각 영역을 대표할 수 있도록 인간과 환경, 지역과 생활, 변화, 문화, 민주정치와 시민 참여, 시장경제와 경쟁, 미래 사회생활, 사회문제, 교류와 상호의존, 성장과 발전으로 범주화하여 10개의 내용 스트랜드를 설정하였다. 10개의 내용 스트랜드하에 학교급별 구체적인 하위내용을 선정하고 각 하위내용 학습을 뒤바침하기 위한 학교 급별 내용을 성취목표(수행기대)로 제시하고, 각 내용 스트랜드와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스트랜드 하위내용 선정은 스트랜드 범주에 속한 내용들로 구성하되 각 스트랜드의 개념, 사회 기능적 요소와 제도, 미래에 관한 지식, 현대사회문제와 논쟁점을 포함하도록 한다. 학교급별 수행기대 제시는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제시 사회과 내용의 구성방식을 반영하여 초등학교에서는 기초 기념이해와 적응을, 중학교는 과학적 절차에 의해 지식발견, 사회문제해결, 자발적 참여를, 고등학교에서는 종합적 사회현상 이해와 비판적 사고력과 합리적 의사결정을 통해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능력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사회과 내용의 통합적 구성이 좀 더 체계화되어 질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분석 단위를 좀 더 세분화하여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같은 영역끼리의 통합과 다른 영역끼리의 통합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심리학, 인류학, 철학 등 통합영역을 확대하여 학생들의 생활경험을 중심으로 하는 통합적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며, 지식적 측면에서의 내용 통합뿐 아니라 기능과 가치 통합의 정도 분석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이상적·이론적 차원에서 논의되어 왔던 사회과 통합 문제를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론적 차원에서 제시되어 왔던 사회과 통합 주제(혹은 내용)를 현 교과서에서 직접 추출해 냈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사회 교과 구성에 통합내용의 적용이 가능함을 가시적으로 보여 주었다. 또한 그동안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 연구에 있어서 구체적인 방법론의 제한으로 인해 연구의 활성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연결망 분석을 도입하여 연구의 범위 넓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활발한 연구들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