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현숙-
dc.creator오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4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15-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가 성피해의 하나인 강간피해가 미국과 스웨덴에 이어 세계 3위라는 보고가 있었다(한겨레 신문, 1992. 4.22). 이 통계치수는 강간 피해가 경찰에 보고된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보고되지 않는 강간피해를 포함하여 매년 약 20만명이 강간의 피해를 당하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한국여성개발원, 1995). 이것은 단지 강간만을 고려한 것이므로, 성희롱, 성추행 등과 같은 성피해의 경우를 포함하면 실로 많은 수의 여성이 성피해를 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아동 성학대는 근친과 타인에 의한 강간과 성추행이 있는데, 국내외의 조사를 종합하며 보면 대략 여성 10명중 3-6명이 자라면서 성학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70여 곳의 성폭력 관련 상담소가 있으나, 주로 피해자인 여성을 위주로 전화상담이나 의료적 및 법률적 지도에 치우쳐 있어, 피해여성의 내적 회복과 치유에 중점을 둔 심화 프로그램은 사실 전무한 실정이다(이원숙, 2000). 더 나아가 성학대 치유에 관한 집단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미국에서는 집단이 제공해 주는 치료적 환경과 치료적 장점(Yalom, 1985)으로 인해 집단 프로그램이 선호되고 있고, 성학대 생존자의 치유와 회복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Tsai & Wagner, 1978 : Knight, 1990 : Cole, 1985 :Douglas & Matson, 1989 : Donalson & Edwards, 1988). 성학대 피해 치유집단의 공통적인 특징은 집단원들이 집단에 참여하면서 성학대의 비밀, 침묵 그리고 수치심을 깨트리는 것과 과거 성학대 피해 경험을 나누면서 피해 사실을 인정하고, 그 피해 영향에 대한 인식을 도모하며 생존하기 위한 과거의 대처방식을 현 생활에 보다 적응적인 대처기제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개발된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의 Giarretto Institute의 AMAC(Adult Molested as Children) 집단 프로그램은 인본주의를 그 특성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인본주의에 근간을 둔 AMAC집단프로그램에 인지행동이론을 접목하여 아동기 성학대 피해 여성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집단과정의 분석과 개별사례의 변화를 살펴보고, 네 가지 척도의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효과성 검증을 통해 본 프로그램의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아, 성학대로 야기되는 다양한 후유중의 회복과 치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적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반 구조화의 폐쇄집단으로 총 10회를 진행하였다. 한 가지 주제를 매 회기마다 교육하고, 나머지 시간은 자유로운 토론의 형태를 취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성폭력 상담소에서 의뢰 받은 집단 프로그램 참여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총 6명으로 시작하였고, 끝까지 참석한 집단원은 4명이었으나 1명은 성인기 성폭력피해자여서 결과 분석에는 제외하였다. 분석 내용은 매회 집단을 비디오 테잎을 이용해 기록해 둔 자료의 축어록 및 각 구성원이 직접 작성 한 초기 면접지, 각 집단원이 직접 작성한 사전·사후 척도검사, 본 연구자가 개별 면접시에 작성한 각 구성원의 성학대력 면접지를 통해, 첫째 집단프로그램 내용분석을 통해 집단과정과 개별사례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고, 둘째, 집단과정에 나타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집단의 치료적 요소를 살펴보았고, 셋째,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집단원의 우울감 정도, 자존감, 자기 주장 정도 및 대인 관계의 변화를 살펴보면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집단원의 평균연령은 23.5세이며, 학력도 대학이상으로 나타났다. 대학휴학이 2명, 졸업이 1명이었다. 연령 면에서 20대이며. 고학력인 이유는 연령층이 젊고 학력이 높을수록 정보와의 접촉이 비교적 용이하고, 상담에 대한 거부감이 낮다는 것과 상담 필요성의 인식이 많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어 진다. 여러 연구조사에서 밝혀졌듯이 집단원들은 우울감, 무력감, 낮은 자존감, 성격상의 문제나 대인관계의 어려움, 감정 조절 특히 분노조절의 어려움과 성적 행동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치료적 요소(Yalom, 1985)와 관련하여 집단과정 중에 나타난 11가지의 치료적 요소인 보편성의 원칙, 정보의 제공, 감정의 정화, 사회화 기술의 제공, 대인관계의 학습, 실존적 요소, 모방적 행동. 원가족 경험의 교정적 반복, 희망의 고취, 이타심의 발휘, 그리고 집단응집력이 다양한 단계에서 나타났다. 프로그램 사전. 사후척도검사에서 집단원 전체가 프로그램 전에는 약한 우울증상을 경험하였으나, 집단프로그램 진행 후에는 모두 정상의 범위로 향상되었다. 자존감 변화는 집단에 참여가 높았던 참석자 1명만이 증진되었고, 나머지 2명은 감소를 보였다. 자기 주장 정도와 대인관계 면에서 부인과 저항이 높았던 1명을 제외하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향상이 됐음을 보여 주었다.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태도로는 치료자의 솔직성(genuineness), 긍정적 존중 (positive regard) 그리고 공감적 이해(empathy)의 인본주의적 태도에 주 기법으로는 반영, 명료화 그리고 공감적 반응의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밖에도, 치료자의 개입방법과 기술로는 초기에는 정상화(normalization), 감정의 언어표현 촉구, 지지와 격려, 대면, 실존주의적 질문, 자기 결정권의 촉구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집단이 7회를 지나면서 치료자의 개입은 최소화되었고 주로 지지와 격려, 명료화 그리고 반영적 경청을 사용하였다. 또 하나의 중요한 치료자의 역할은 교육이다. 성학대와 관련한 다양한 이슈들이 워낙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성학대 정의와 원인, 그 피해 후유증, 치유과정과 긴장이완법, 상자연습(container exercise), 여러 가지 분노 표출방법과 같은 다양한 치유방법 등에 대찬 교육을 하였다. 그 결과 성학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신에게 미친 성학대의 영향에 대한 통찰력도 생기고, 그리고 새로운 스트레스대처 방법을 배우면서 보다 적응적인 삶을 영위하게 되었다. 집단원들은 집단초기에 부인과 저항을 보였으나, 서서히 자신의 노출 (self disclosure)정도가 깊어지면서 높은 응집력을 나타냈다. 집단과정에서 모든 집단원들은 다양한 분노표출을 자기의 방식으로 경험하였고, 상실과 관련한 애도의 경험을 하였다. 차츰 집단원 모두 원가족 이슈를 다루게 되었으며, 그를 통해 교정적 경험을 하게 되였다. 자신의 내면의 아이작업이나 분노표출작업을 통해, 자신의 피해 경험사실을 수용하며, 인정하게 되었고, 그 결과 무력감과 무기력에서 벗어나 집단원들은 삶의 새로운 대처방식의 개발을 하게 되었고, 자신을 수용하며 당당해지는 등 임파워먼트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임상적 제언 프로그램 구성면에서 집단의 회기 수를 10회에서 16회로 증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사실 본 프로그램이 반 구조화의 형태를 취하고, 집단 과정에 중점을 두다 보니, 10회로 다양한 이슈를 다루기에는 시간이 짧았다고 본다. 분노 표출시와 다양성과 융통성의 모색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동기 성학대 생존자의 경우 적어도 꼭 한번은 분노를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격려를 하되, 집단원의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여 다양한 방법의 모색을 허용한다. 의사소통, 인간과 성(Human Sexuality), 대인관계 등 다양한 이슈에 초점을 둔 지속적인 집단의 진행이 필요하다. 16회의 한 주기가 끝나면 다시 다른 이슈에 초점을 둔 집단에 합류하여 계속적인 치유와 회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집단 프로그램 참여 전 최소한 5회의 개별 상담을 받고 준비가 됐을 경우에 집단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그램 초기부터 피해 영향의 부인, 집단 필요성에 대한 양가 감정 등 다양한 저항적 반응 등 나타났는데, 집단에 합류하기 전 적어도 5회의 개별 상담을 받아 집단 참여에 대한 준비를 시키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 또한 집단 프로그램 진행 시 필요에 따라 개별 상담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그램 종결 시에 언급되었듯이, 집단에서 소화할 수 없는 다양한 이슈들을 다를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개별 상담을 병행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 하다. 아동기 성학대 피해와 성인기 성폭력 피해 프로그램의 분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실제 임상에서 다양한 성학대 피해 집단을 해 보았는데, 아동기와 성인기로 구분해서 집단원을 모집하고 집단을 하기가 현실적으로 무척 어렵기 때문에 아동기와 성인기를 다 포함하여 집단을 진행하였으나, 성폭력의 경우 아동기 생존자와 다른 적응 과정을 보여 주었기 때문에, 이 두 집단을 차별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본다. 집단 프로그램이 끝난 후 자조 모임의 결성이 필요하다. 본 프로그램 종결 후 참석자들이 원했기 때문에 11월까지 매월 한 차례씩 자조모임을 갖기에 이르렀다. 자조 모임에서 만난 집단 참석자들은 훨씬 활기 차 보였고, 각자의 진로에 대해 많은 진전을 보였고, 또한 집단에서 얻어진 통찰력과 인식 등이 어떻게 지속적으로 집단 참석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었다. 우리 나라에서도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가 AMAC프로그램을 선택한 이유 중의 하나가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한 통합적 프로그램의 일환이었기 때문이다. 근친에 의한 성학대의 경우 가장 큰 피해 후유증이 있고, 또 가해자를 처벌하고 감금하는 것보다는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개별 상담, 집단 상담, 자조 집단, 가족 상담 등을 제공하여 가족이 다시 같이 살 수 있도록 하고 또 재발율을 낮출 수 있도록 촉구하기 위해 이러한 통합 프로그램이 시행되어야 한다. 2. 정책적 제언 사례관리를 해줄 수 있는 기관- one stop service center-이 필요하다.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데, 전국적으로 70여 개소의 성폭력관련 상담소의 피해자 옹호를 위한 사례관리에 역점을 두고, 현재의 자원 연결기능역할을 강화하여 사례관리자로서의 역할의 강화를 제안한다. 사례관리를 할 때 다 학제간 접근을 하도록 제언한다. 성학대는 매우 복합적인 이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피해자를 돕기 위해서는 의료집단, 법조계, 사회복지사나 임상심리사집단 그리고 경찰의 협조체제가 바람직하다고 보여진다. 성인 생존자의 경우 정신과 의사에게 정신과적 진단을 의뢰할 수 있어야하며, 또는 심리검사를 의뢰하기 위해서는 임상심리사나 성인 생존자의 초기 사정 (assessment)과 치료의 제공 등 사례관리자로서의 사회복지사나 임상전문가, 법적인 도움과 변호를 위한 법조계 및 경찰관계 등의 협조가 꼭 필요하다. 성학대 예방서비스-아동의 성학대 예방교육의 확대, 부모교육 등-와 사후 피해 아동에 대한 위기 개입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피해자 성인이 되면서 겪을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가해자에 대한 강제 심리상담 명령 등 성학대 재발의 예방에 중점을 둘 수 있도록 하는 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치료프로그램의 민간 위탁화를 통해, 치료프로그램의 전문성을 높여, 치료프로그램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상담치료 비용의 현실화를 위해, 상담 비용의 의료 보험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사를 포함한 다양한 심리치료사들의 면허제도의 실시를 주장하며, 면허증을 따게 되면 개업을 하게 될 때, 그 비용이 보험에 의해 지불 될 수 있는 제 3자 지불제도를 제안한다.;Korea is the 3rd leading country in the world for reported rape case. It is estimated about 200,000females were reportedly raped every year. The number of sexual assault cases would increase dramatically, if different types of sexual assault like sexual harassment of sexual molestation were included. Another category includes child sexual abuse. Incident rate of child sexual abuse was estimated that 3 to 6 out of 10 female children would be sexually abused before they become 18 years old. Child sexual abuse usually means rape within the family system or by outside family, which the former is known as incest and latter sexual assault, and as well as sexual molestation. Is is indisputable that sexual abuse against women had been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s in Korea like elsewhere in the world. In Korea, there are over 70 agencies dealing with sexual assault, but their major roles are specific to providing 'Hot-line' services and coordinating for medical and legal services for the victims of sexual abuse. However, there are no treatment programs for the victims of sexual abuse. Furthermore, there is no empirical study on group therapy for childhood sexual abuse survivor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roup treatment model for female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 in Korea. Group treatment is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for childhood sexual abuse survivors. This is a result of unique therapeutic factors, which occur during the group process. Through group treatment adult survivors experience the alleviation of secrecy, isolation, and stigmatization; and therefore, facilitate resolution of the trauma. As group members help one another, self-esteem is enhanced and members begin to feel less deviant. The opportunity to receive feedback from peers, to build meaningful relationships and to share common experiences, is also a benefit to this population. When the survivors share their story about the sexual abuse in the group, they accept the fact that sexual abuse occurred to them and recognize the traumatic impact of the sexual abuse. Therefore, their goal is to change the dysfunctional coping skills, which was acquired as a means for coping and develop more age appropriate and healthy coping skills on adaptive behaviors. AMAC (Adult Molested as Children) group treatment is part of CSATP(Child sexual Abuse Treatment Program) and is based in San Jose, CA. AMAC was founded by Dr. Henry Giarretto in the early 70's. AMAC group treatment program incorporates a humanistic approach in coping with sexual abusive individuals and families. In this study, the group treatment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is AMAC treatment approach while adopting a cognitive behavior approach to suit the healing need for female adult survivors in Korea. This program was developed as a semi-structured short-term closed therapy group, which Pasted 10 sessions. Each session wa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was didactic education focusing on various issues like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sexual abuse, sexuality, confrontation of offenders, and etc., the second part was focused on group process. Seven group participants were referred by Korea Sexual Violence Relief Center, but only 4 members completed group process. These group members were a mixture of child sexual abuse where the alleged offenders were within the family or outside family. Analysis of the group process was derived from recording and transcribing sessions. Intake forms, participants' sexual abuse history intakes, and 4 before and after tests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depression, self-esteem levels, assert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measur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treatment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summarized as follows: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 was 23.5 with a higher education like university degree or temporarily out of university. All group participants reported having behavioral or psychological symptoms like depression, helplessness, low self-esteem, personality or interpersonal problems, difficulty in controlling emotions, especially anger along with the traumatic sexualization. Throughout the group treatment, 11 curative factors consistently appeared in group process and those were universality, altruism, imparting information, instilling hope, group cohesiveness, interpersonal learning, catharsis, imitative behaviors, correctional experience of family of origin, and providing socialization skills. Group participants showed denial and resistance at the beginning phases of the group process, however, the level of self-disclosure increased as the sessions moved to the middle phase of the group. As a result, group cohesiveness was developed. In the beginning phases, group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e feeling of worsening and regression due to recurring nightmares and flashbacks along with new memories about different abuse incidents emerged. However, they reported changes in their dream like by confronting the offender and beating them up and etc., which they accepted as a sign of improvement. The group process includes different techniques to elicit emotional responses. To elicit their anger responses, empty chair technique was used to allow participants confront the offender in a non-offensive and safe environment. Another technique designed to release repressed anger was using the anger bat. These techniques provide another avenue for participants to appropriate grieve their losses. Another techniques the social worker used were container exercises, guided imagery along with the relaxation. These techniques were useful for the participants to help them to contain their emotions, when needed. They also were able to look at their family of origin issues and develop insight on how their experience with the family of origin affected their present functioning. Dealing with anger and 'inner child' experiences allowed them to accept that the abuse really happened and to recognize its impact. They were able to get rid of feeling helplessness while group participant experienced the empowerment with improved self-esteem with developed better coping skills. Social worker's attitudes exhibited in the group treatment process were genuineness, positive regard, and empathy. The various therapeutic interventions were used to elicit reflection, clarification and empathetic understanding. Another important role of the social worker was didactic education about the impact and healing process of sexual abuse, thus educating participants about maladaptive and adaptive responses. The result of post and pre test on depression, self-esteem, assertiveness and interpersonal skills were shown as follows. For depression, the entire group of participants showed the improved from mild disturbance to within normal range. For self-esteem, only one member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his participant was very active in-group and had done a lot of healing in the treatment process. For assert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2 participants showed general improvement, except one who struggled with the denial and resistance. These finding have implications for various clinical practice dealing with adult survivors. In addition, policy related implications are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4 Ⅱ. 성학대 치료이론과 집단프로그램 = 6 A. 성학대 선행연구 = 6 1. 성학대 개념 및 실태 = 6 2. 성학대 장기적 피해 후유증 = 10 3. 성학대 개입프로그램 = 15 4. 성학대의 치료이론과 피해 치유 과정 = 20 B. AMAC 집단프로그램의 특성 = 29 C. 성학대 집단프로그램 선행연구 = 33 Ⅲ.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 37 A. 집단프로그램의 기본적 이념 = 37 1. 인본주의 접근 = 37 2. 인지.행동주의 접근 = 41 B. 집단프로그램의 치료적 인자 = 45 C. 집단프로그램의 구성 = 50 1. 기본적 기법 = 51 2. 집단프로그램의 구성내용 = 54 Ⅳ. 집단프로그램의 실제 = 57 A. 집단프로그램의 기본적 요소 = 57 1. 프로그램의 목표 = 57 2. 프로그램의 전제 = 58 3. 집단규칙 = 58 4. 집단의 형태 = 59 5. 집단프로그램 치료자 = 60 B. 구성원 모집 및 프로파일 = 61 1. 프로그램 참여자 선정과정 = 61 2. 집단 참여 대상자 = 63 C. 프로그램 과정분석 = 64 1. 참석자의 특성 = 64 2. 프로그램 내용분석 = 66 3. 집단 프로그램 과정 분석 = 130 4. 개별 사례 분석 = 135 D. 프로그램 효과 분석 = 144 1. 분석과제 = 144 2. 평가도구 = 144 3. 개별사례 효과분석 = 146 E. 논의 = 154 Ⅴ. 제언 = 160 A. 임상적 제언 = 161 B. 정책적 제언 = 163 참고문헌 = 166 부록1 성학대 피해 면접지 = 175 ABSTRACT = 190 감사의 글 = 1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502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동기-
dc.subject성학대-
dc.subject피해여성-
dc.subject치료집단-
dc.title아동기 성학대 피해여성의 치료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GROUP TREATMENT PROGRAM FOR FEMALE ADULT SURVIVORS OF CHILDHOOD SEXUAL ABUSE-
dc.format.pagex, 19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