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자경-
dc.creator송자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6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4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6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강점관점에서 간질아동의 사회적응과 그 가족의 적응에 기여하는 가족요인 가운데 가족탄력성의 효과를 측정하여 간질아동 및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의 임상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간질아동과 가족에 대한 선행연구는 결핍관점에서 주로 연구되어왔으며, 가족스트레스의 완화 및 감소에 문제해결의 초점을 두고 개입이 이루어져왔다. 근래에 강점관점을 강조하고 개인탄력성에서 비롯되는 가족탄력성개념을 사용하여 가족의 적응을 촉진시키고 성공적으로 가족의 역경과 어려움을 극복하고 가족스트레스에 대처해 나가도록 하는 가족탄력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McCubbin & Thompson(1988)의 재생적 가족모델을 중심으로 탄력성요인들의 구성인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을 이용하여 간질아동가족의 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적응이 이러한 요인들의 조합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간질아동의 가족스트레스, 가족통정감, 가족강인성, 가족적응 및 아동의 사회적응에 차이를 주는 인구사회학적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가족탄력성의 효과에 의해 간질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는 만 8세 이상 17세 사이의 현재 간질에 대한 투약을 하고 있는 간질아동을 자녀로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에 141사례가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로는 가족적응척도, 아동의 자기통제척도(아동의 사회적응), 가족통정감척도, 가족강인성척도, 가족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 검증과 F 검증, 단순적률상관관계,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측정변인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t 검증과 F검증을 실시한 결과, 가족스트레스는 간질아동의 인구사회학적변인으로 유병기간, 경련횟수, 장애여부, 학업상태, 그리고 가족요인으로 어머니 학력, 아버지 건강, 가족 월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아동에게 경련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경우, 유병기간이 장기화 될수록, 아동에게 수반된 다른 질환이나 장애가 있을 경우 가족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휴학했거나 미취학 아동가족에게서 높은 가족스트레스를 보였다. 가족요인으로 어머니의 저학력, 아버지의 건강이 좋지 않음, 그리고 가족 월소득 100만원 미만에서 높은 가족스트레스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가족탄력성은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의 하위차원으로 구성하였는데, 가족통정감에 차이를 주는 변인은 응답자인 어머니 연령, 월평균 소득, 부모의 건강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가족강인성은 아동의 경련횟수, 학업상태, 어머니 연령, 월평균 소득, 부모의 건강이 차이를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간질아동의 경련횟수가 증가할수록, 특수학교에 다니는 아동가족일수록 가족강인성의 평균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가족요인으로 어머니의 연령은 40세 이상에서 가족강인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모의 건강은 각각 건강한 편이 가장 높은 평균의 차이로 조사되어 이러한 변인들은 가족강인성에 중요한 변인임이 지적되었다.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에 공통적인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응답자인 어머니 연령, 가족의 월수입, 그리고 부모의 건강이었다. 어머니 연령이 많을수록, 가족소득이 적을수록, 부모의 건강이 좋지 않을수록 가속탄력성도 낮아지므로 이러한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은 가족탄력성의 개입에서 고려되어야하는 중요한 변인들임을 알 수 있었다. 가족적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간질아동의 경련빈도가 빈번할수록 낮은 가족적응을 나타내었다. 가족 월수입은 가족적응에 차이를 주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월소득 100만원 미만의 저소득 집단에서 가장 낮은 가족적응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부모의 건강이 가족적응에 차이를 주는 변인으로 조사되었다. 아동의 사회적응의 차이는 성별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 즉, 연령, 학업상태, 장애여부, 유병기간, 경련횟수가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이었다. 아동연령 13세 이상 아동의 사회적응이 높았으며, 아동의 유병기간이 길어질수록, 경련횟수가 빈번할수록, 그리고 동반한 다른 질환이나 장애가 있을 경우 아동의 사회적응에 어려움이 있음을 보였다. 학업상태도 아동의 사회적응에 차이를 주는 변인이었는데, 일반학교에 다니는 아동이 가장 높은 사회적응을 보였고, 특수학교를 다니는 아동이 가장 낮은 사회적응을 보였다. 아동의 사회적응에 차이를 주는 가족요인은 아버지의 건강으로 조사되었다. 2. 가설검증결과 가설검증은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의 조합에 따른 가족탄력성 성향이 간질아동 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것이다. 탄력성 성향에 따라 간질아동가족의 적응은 재생적, 내구력, 안정적, 그리고 취약한 가족유형과도 일치하는 분포를 나타낸다(McCubbin & Thompson, 1988). 가족탄력성 성향은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의 평균점을 기준으로 각각 높고 낮은 정도의 조합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구분에 따르면, 간질아동가족의 탄력성 성향은 재생성 41.1%(58명), 내구성 7.8%(11명), 안정성 11.3%(16명), 그리고 취약성 39.7%(56명)로 조사되었다. 아동변인으로 아동나이, 유병기간, 경련횟수, 가족변인으로 어머니건강, 그리고 월 평균 소득을 통제변인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족스트레스, 가족탄력성 성향과 간질아동가족의 적응에 관한 가설검증 간질아동가족은 간질아동으로 비롯하는 가족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36.2%이었다. 통제변인으로 사용한 간질아동의 유병기간과 어머니의 건강은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간질아동의 가족스트레스가 높고, 아동의 유병기간이 길지않고, 어머니의 건강이 양호하지 못함은 간질아동의 가족적응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인해 취약성을 기준집단으로 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재생성, 내구성, 그리고 안정성이 가족적응에 정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조사되었다. 모델의 전체 설명력은 54.8%이었다. 따라서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의 조합의 정도에 따른 재생성, 내구성, 안정성의 가족탄력성은 가족적응에 직접적 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 효과(main effect)가 있음을 제시해준다. 간질아동 가족스트레스는 가족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탄력성 성향에 의해 조절되는 지를 검증한 결과, 재생성의 가족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변인은 가족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내구성과 안정성의 가족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변인은 가족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어 조절변인으로 기능함을 알 수 있었다. 2) 가족스트레스, 가족탄력성 성향과 간질아동의 사회적응에 관한 가설검증 간질아동가족의 스트레스는 아동의 사회적응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54.8%이었다. 아동의 경련횟수와 아동의 나이, 그리고 가족월수입은 아동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가족스트레스가 높고, 아동의 연령이 적을수록, 그리고 가족의 월평균 소득이 적을수록 아동의 사회적응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의 조합의 정도에 따른 가족탄력성 성향으로 볼 때,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이 각각 강한 재생성은 정적 유의미한 영향을 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설명력은 40.4%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이 각각 높은 가족탄력성은 아동의 사회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간질아동의 사회적응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과의 상호 작용효과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가족탄력성의 가족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은 아동의 사회적응에 부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기능하였으나, 이는 상대적으로 간질 아동에게 미치는 가족스트레스의 양을 줄이는 완충효과(Buffering effect)를 나타내었다. 모델의 전체 설명력은 59.6%이었다. 이상과 같은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가족탄력성은 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 요인을 중심으로 가족탄력성의 개발 및 강화를 통하여 가족의 적응 및 아동의 사회적응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이론적 함의는 가족탄력성이 간질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는 강점관점에서의 연구를 통하여 현재까지의 결핍관점의 연구방향에 커다란 시사점을 주게 되었다. 특히 간질아동가족을 대상으로 가족탄력성요인으로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의 중요성을 밝혀내었으며, 이들 요인들의 개발 및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또한 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조절변인으로 기능함을 밝혀냄으로서 탄력성연구의 이론구축에 기여한 것으로 본다. 2. 임상적 함의는 아직 우리나라에 충분히 소개되지 않은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의 탄성적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함으로서 이들 요인을 중심으로 한 임상개입모색과 개발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특히 이들 요인들을 중심한 가족탄력성은 가족적응과 아동의 사회적응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그 중요성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개입실제에서 대상가족들에 대한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의 높고 낮은 정도를 확인하는 가족탄력성에 대한 사정(assessment)을 통하여 가족유형 및 가족특성에 따른 가족단위의 과학적 합리적 개입모색과 임상개입 개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3. 정책적 함의는 간질아동의 사회적응의 향상은 아동개인에 대한 심리사회적 접근과 함께 가족단위의 접근을 통하여도 이룩될 수 있는 것이므로 가족단위의 개입을 정책화하고 지원함으로서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가족탄력성은 생태적·발달적 관점을 포함하고 있어 가족탄력성에 차이를 주는 가족 월소득 및 가족건강 등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을 중심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정책을 지원하고 제도를 마련함으로서 가족의 적응 및 아동의 사회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the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and successful positive-adaptation of their families by applying strength perspectiv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deficit perspective such as difficulties of family of children with epilepsy and family stress, putting the main emphasis on the relief of maladaptation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epilepsy. Recently, it emphasized to the positive adaptation family rather than the negative side. A key part of this new trend is the study on family resilience. This study primarily investigate family resilience affect the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and the adaptation of families. The Regenerative Family Model of family system types as Regenerative, Durable, Secure and Vulnerable Family (McCubbin & Thompson, 1988) is achieved by assigning two levels(1ow and high) to the Family Coherence dimension and Family Hardiness dimension. The Family Coherence dimension is defined as a fundamental coping strategy families employ in the management of family problem. The Family Handiness dimension is defined as the family's internal strengths and durability. This study narrows the whole problem down into the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What ate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family resilience with family coherence and family hardiness on the adaptation of family with children with epilepsy? What are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family resilience with family coherence and family hardiness on the adjustment of the children with epilepsy? A survey was conducted upon 141 persons from the family of children with epilepsy with the age range 8 year old through 17 year old children who are treated with epileptic seizure at hospital of college of medicine or rose club. The survey tools was self control(social adjustment of the children), family adaptation, family sense of coherence, family hardiness, and family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11.0.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1.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the variables. The variables analyzed by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of study. Family stress depends on the duration of having epilepsy, the frequency of fit, other disease of disability, schooling of children with epilepsy and the educational level of mother, family income, and the health of the father. Family coherence was statistical difference across the age of the mother, family income, the degree of the health of father and mother. And family hardiness was statistical difference across the frequency of fit and schooling of children with epilepsy, the age of the mother, family income, the degree of the health of father and mother. Common statistical difference with family coherence and family hardiness was the age of the mother, family income, the degree of the health of father and mother. Family adaptation of family of children with epilepsy was statistical difference across the fit and frequency of children, and family income, the health of the parents.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was statistical difference across the age, schooling, other disease or disability, duration of having epilepsy, frequency of fit, and the health of father. 2.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 Family resilience of the family with children with epilepsy assigned to the family coherence and to the family hardiness showed regenerative 41.1%, durable 7.2%, secure 11.396, and vulnerable 39.7%.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formed and the control factor was the age of children with epilepsy, duration of epilepsy, frequency of fit, the health of the mother, and family income. 1) Hypothesis test on family adaptation of children with epilepsy. The family stress and adaptation are in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of family adaptation by family stress is 36.2%. Family resilience of regenerative, durable, secure have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of family adaptation by family resilience is 54.8%. It showed that family resilience is a direct effect on family adaptation. And family resilience of durable and secure functioned to moderate family adaptation between family stress. Therefore, it concluded that family resilience is not only a direct effect on family but also in relation to family stress have interaction effect. 2)Hypothesis test on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of epilepsy. The family stress and social adjustment in epileptic children are in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by family stress is 54.8%.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and family resilience of regenerative has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of social adaption by family resilience is 40.4%. And family resilience functioned to moderate social adjustment in epileptic children between family adaptation between family stress as buffering effect with decreasing family stress on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family resilience with family coherence and family hardiness showed positive role on to the family adaptation of family with epilepsy and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3. Implication of study These findings have provided theoretical, practical political implications. Theoretically, this study shows that family resilience is strength perspective, it makes turning point to research trend. The family resilience by family coherence and family hardiness is not only direct effect on family adaptation but also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And it shows in relation to family stress have interaction effect. This result will. contribute the build of theory not only study on family resilience but also study on family stress and adaptation. Practically, this study shows that the role of resilience constructed by family coherence and family hardiness, it has important positive role on family adaptation and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This ows that strength perspective-based intervention can be effective in family adaptation, and adjust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Politically, this study shows that health of parent and family income are important to the family resilience, family adaptation, and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Supporting family health and sustaining family income with long standing view point will improve family adaptation and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as family resilience has ecological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 5 C. 연구의 의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간질아동과 가족 = 7 1. 간질 = 7 2. 간질아동과 가족의 적응 = 8 B. 가족에 대한 강점관점: 가족탄력성 = 12 1. 가족탄력성의 개념 = 13 2. 적응적 가족모델 = 17 C. 가족탄력성요인과 재생적 가족모델 = 19 1.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 = 19 2. 가족통정감과 가족강인성에 의한 재생적 가족모델 = 24 D. 가족의 적응 및 아동의 사회적응에 관한 선행연구 = 27 1. 가족탄력성 = 27 2. 간질아동 가족의 적응 = 30 3. 아동의 사회적응 = 32 Ⅲ. 연구방법 = 37 A. 연구모형 = 37 B. 연구가설 = 38 C. 조사설계 및 표본선정 = 40 1. 연구대상 = 40 2. 표본선정 및 연구절차 = 41 D. 변수의 정의 및 측정 = 42 1. 아동의 사회적응 = 42 2. 가족적응 = 43 3. 가족탄력성 = 43 4. 가족스트레스 = 45 5. 통계변수(control Factor) = 46 E.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47 Ⅳ. 연구결과 = 49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 49 1. 간질아동의 인구사회학적·질병 특성 = 49 2. 간질아동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50 B. 가설검증을 위한 사전 분석 = 52 1. 주요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 52 2.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변인과의 비교 = 53 3. 주요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 = 62 C. 가설검증 = 64 1. 가족탄력성 성향에 따른 빈도분표 = 64 2. 가족탄력성 성향과 연구변수와의 차이 = 65 3. 가족스트레스, 가족탄력성 성향과 간질아동가족의 적응에 관한 가설검증 = 66 4. 가족스트레스, 가족탄력성 성향과 간질아동의 사회적응에 관한 가설검증 = 72 Ⅴ. 결론 및 제언 = 79 A. 분석결과의 요약 = 79 1.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 = 79 2. 가설검증 = 81 3. 분석 결과의 요약 및 결론 = 83 B. 연구의 함의 = 85 1. 이론적 함의 = 86 2. 임상적 함의 = 87 3. 정책적 함의 = 90 C.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91 1. 연구의 한계 = 91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92 참고문헌 = 95 부 록 간질아동과 가족에 대한 연구 = 107 ABSTRACT =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777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간질아동-
dc.subject가족-
dc.subject가족통정감-
dc.subject가족강인성-
dc.title간질아동과 가족의 적응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가족통정감(family coherence)과 가족강인성(family hardiness)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with Epilepsy and Adaptation of Family : With Family Coherence and Family Hardiness-
dc.format.pagexi,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