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8 Download: 0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와 쓰기 관계 연구

Title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와 쓰기 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ading and Writing Relations for Korean High School Learners: The Effect of English Reading Journal Writing on Reading-Writ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Authors
성민선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English has increased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day by day as the official languag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 ultimate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lies in the development of fluent communicative competence along with this historical flow. Hereupon, the current 7th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s on integrated uses of four skills in language,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task-based instruction. However,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in high school puts too much emphasis on receptive skills centered in reading and listening; in addition, reading instruction is mostly limited to the passive reading activity due to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writing instruction as an individual province is even more limited than the reading instruction. Moreover, the well-organized and effective teaching in reading and writing based on the level of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can hardly be adopted. Considering these points i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within a high school level. Although argument about reading and writing and its relation in the province of English education has been continuously issued, most studies are limited to L1study, and numerous studies clarifying the relation between reading and writing under the circumstances of EFL or ESL are still insufficient.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teaching instruction using English reading journal, which enables to combine reading and writing effectively, and the relation between reading and writing of high school learners will be clarified after writing instruction using English reading journal to be applied to the real class situations. Also, reading and writing ability in English, the change of learning attitude and the qualitative change of reading journal writing according to the contents, the difficulty and the types of the genres of the reading texts will be figured out. Hence, the experiments based on reading-oriented activity, writing-oriented activity, and reading journal writing activity were conducted for 8 weeks, with 180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within higher and lower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The texts practiced for reading materials were two types narrative and descriptive writing. Once a week, three different treatments were given to separate groups as following: continuous reading-oriented activity to group 1, writing- oriented activity through free writing with deductive writing instruction to group 2, and reading journal writing activity to group 3.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reading journal writing activity, one of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has much improved in writing assessment scores for narrative and descriptive writing that the learners can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advancement of their writing abilities by attending the class and practicing reading journal writing. It is clarified that bidirectional hypothesis theory emphasizing an interaction of reading and writing has been proved in the aspects of the relevant theories to reading and writing relations. However, when the results were examined separately by the group level, the higher level group showed that reading journal writing class was effective in the higher level, but in case of the lower level group, writing-oriented group showed a clear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y; thus, writing-oriented activity was much more effective than other methods in the lower level. Therefore, as considering the level of learners, bidirectional hypothesis theory concentrating on the interaction of reading and writing was verified only in the higher level group. Secondly, the most effective class in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has not been clarified because all three experimental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ding assessment scores for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Thus, the related theory between reading and writing has not been proved. Also,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by the higher and lower level of the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ults, and any verified hypothesis theory of reading and writing rel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ers has not been found. Thirdly, as the result of surveys researching the effects on learning attitudes in reading and writing in English of high school learners, interests, self-confidence, faith, motivation, autonomy of learning attitude in writing, and relationship with instructor, interaction with instructor, meta-cognitive strategy in learning attitude as well as interests, necessity, faith, motivation, participation, and autonomy of learning attitude in reading have been advanced positively. This finding displays that the class applying reading journal writing had the most positive and educational effects in the affective aspects of learners. However, the learning attitude of reading and writing in English had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groups. Fourthly,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ir compositions to verify the effects of two types of reading text such as narrative and descriptive writing used in the study, several structural linguistic features of narrative and descriptive writing were reflected in learners' productive writings. Such findings showed distinctive result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groups. To state specifically, the higher level learners learned more structural and linguistic features of narrative and descriptive writing and demonstrated much more them on their writings than the lower level. In particular, reading journal writing group showed more excellent advancement in learning ability of the typical features of reading texts like narrative and descriptive writing. Yet, in case of the lower level learners as comparing to the higher level, they showed no improvement featuring the types of the reading texts on their compositions in a structural and linguistic view at all, and even if they showed some improvements, it was very insignificant. Accordingly, in terms of hypothesis theory of reading and writing relation, this finding supports bidirectional hypothesis theory emphasizing the fact that reading and writing are mutually interacted for the case of the higher level group in that reading journal writing activity was the most effective. Fin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ading journal focusing on the contents and the difficulty of the reading texts, and the post additional survey and interview for reading journal writing activity, it was concluded that more interested and familiar the contents were, high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ory were drawn from the learners in class. Particularly, the lower level group, contrary to the higher level group, the contents of the reading texts was so influential that it played an absolutely important factor for the effective reading journal writing class of the lower level. In addition, in terms of the difficulty of the reading texts, it was seen that more difficult they were, learners showed lower understanding and completion of the task in general. However, they showed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groups; the lower level learners as compared to the higher level were so sensitive to the difficulty that it had direct impacts on the length and contents of their writings, and their interest and motivations of the class.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additional survey and interview, these results found out that reading journal writing activity indicated considerably positive effects not only in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and the use of grammar in writing ability, but also in the aspects of the satisfaction of classes and the improvement of overall English ability, and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lso, in the aspect of decreasing the fear and anxiety, the higher level learners showed very affirmative responses both in reading and writing, but the lower level learners responded very negatively for the same category. As shown from these results of the study, the class using English reading journal writing proved tha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improvement of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s well as the affective change of learning attitude of reading and writing, and this suggests that English writing education, which is negligent in the real field of English education, can be activated as applying in a form of reading journal writing. However, in case of the beginning level of learners, some clear guidelines of an instructor are more needed to be efficient in reading journal writing.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linguistic abilities and necessities of learners, the types of the genres of reading texts should be diverse or chosen appropriately. A careful guide of an instructor is also needed to choose the right one considering contents, familiarity, and difficulty when the instructor selects reading texts. In this study, unfortunately, the satisfactory results in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are not brought out. However, the continuous practice of reading journal writing for a long term might be the effective guidance of the integrated instruction which can enhance both reading and writing ability mutually. Eventually, this might contribute to the final goal of English education, the extension of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cultivation of advanced intellectual ability.;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유창한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에 있다. 여기서 의사소통 능력이라 함은 말과 글로써 자신의 견해를 제대로 표현하고 상대방의 말과 글을 바르게 이해하는 능력을 지칭한다. 이에 현 7차 교육과정은 언어의 4가지 기능의 통합적 사용을 강조하고, 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교육, 과업 중심의 지도를 강조한다. 그러나 현 고등학교 영어 교육은 읽기와 듣기 위주의 이해 기능에 편중되어 있다. 읽기 교육은 대학 입시 시험이라는 제약아래 수동적 읽기 활동에 그치고, 쓰기 교육 역시 개별적인 영역으로 읽기 교육보다 더 제한되어 운행되고 있다. 또한 학습자 언어 능력 수준에 따른 읽기와 쓰기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지도는 거의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읽기와 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고려해 볼 때,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읽기와 쓰기 관계의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물론 지금까지 영어 교육 분야에서 읽기와 쓰기의 역할과 그 관계에 대한 논의는 끊임없이 있어 왔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제 1언어 연구로 제한되고, 외국어로서의 영어(EFL)나 제 2언어로서의 영어(ESL) 상황에서의 읽기와 쓰기 관계를 조명하는 다양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읽기와 쓰기를 효율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영어 독해 일지 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이를 교실 현장에 적용하여 고등학교 학습자들의 읽기와 쓰기 관계를 모색하고, 영어 읽기와 쓰기 능력 및 학습 태도 변화, 그리고 독해 지문의 장르적 특징 영향과 독해 내용, 친숙도, 친숙도에 따른 독해 일지 작문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 180명을 대상으로 읽기 중심 활동, 쓰기 중심 활동, 독해 일지 쓰기 활동을 각 세 실험 집단에게 상·하위 수준 별로 나누어 8주간 실시하였다. 읽기 자료로 활용된 독해 지문은 이야기체 글과 묘사체 글인 두가지 유형이었고, 실험 1 집단에는 일주일에 한 번씩 지속적인 읽기 중심 활동이, 실험 2 집단에는 명시적인 작문 지도와 함께 자유 작문 위주의 쓰기 중심 활동이, 실험 3 집단에는 영어 독해 일지 쓰기 활동이 각각 진행되었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실험 집단 가운데 독해 일지 쓰기 활동 집단이 이야기체 글과 묘사체 글에 대한 쓰기 능력 평가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독해 일지 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영어 읽기와 쓰기 관계 가설과 관련지어 보면, 읽기와 쓰기가 상호 작용한다는 양방향성 가설이 검증됨을 제시한다. 그러나 상·하위 수준 별로 살펴보면, 상위 집단의 경우 독해 일지 쓰기 수업이 효과적이었지만, 하위 집단의 경우 쓰기 중심 집단이 쓰기 능력의 향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쓰기 중심 활동이 오히려 더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읽기와 쓰기 관계 가설이 학습자 언어 수준에 따라 읽기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즉 상위 집단에서만 읽기와 쓰기가 상호 작용한다는 양방향성 가설이 검증이 확인되었다. 오히려 하위 집단의 경우 쓰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읽기보다 집중적인 쓰기 능력의 지도가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둘째, 세 실험 집단이 읽기 능력 향상에 있어서는 세 실험 집단 모두 영어 읽기 능력 평가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수업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지 못 하였고, 이에 읽기와 쓰기 관계 가설을 검증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상·하위 수준 별 읽기 능력 향상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읽기와 쓰기 관계 역시 학습자 수준별 가설 검증 결과를 도출하지 못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 진행 기간이나 사전·사후 읽기 능력 평가지의 난이도 등과 같은 문제에서 기인할 수 있었다고 사료된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영어 읽기 능력의 평균 점수는 높아진 것으로 미루어 보아 장기적으로 실험이 지속된다면 영어 읽기 능력의 유의미한 향상을 기대할 수도 있다고 본다. 셋째, 읽기 중심, 쓰기 중심, 독해 일지 쓰기 집단의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읽기 및 쓰기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읽기 학습 태도의 흥미도, 필요성, 신념, 동기, 참여도, 자율성 영역과 쓰기 학습 태도의 흥미도, 자신감, 신념, 자율성 영역, 그리고 영어 학습 태도의 교사와의 유대감, 교사와의 상호 작용, 상위 인지 전략 영역에서 긍정적인 향상이 나타났다. 이에 독해 일지 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서도 가장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하위 수준별로는 영어 읽기 및 쓰기 학습 태도가 학습자 수준에 따라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작문에 나타나는 독해 지문의 장르 유형(이야기체 글, 묘사체 글)의 영향을 보고자 작문을 분석한 결과, 독해 지문의 장르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의 작문은 구조와 언어적 측면에서 장르의 유형적 특징이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자 상·하위 수준 별로 그 결과가 다소 상이하게 도출되었다. 상위 집단의 경우 학습자들이 독해 지문으로 읽은 이야기체와 묘사체 글의 구조와 언어적인 특징이 학습자들의 작문에 상당히 높게 학습되어 나타났고, 특히 두 집단 중 독해 일지 쓰기 집단의 장르의 유형 학습 능력이 더 뛰어났다. 하위 집단의 경우 학습자들이 읽었던 이야기체와 묘사체 글의 구조와 언어적인 특징은 거의 학습되지 못하거나 아주 미비한 수준에서 이야기체 글의 구조적 특징만이 반영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읽기와 쓰기 관계 가설 검증과 관련하여 고찰해보면, 상위 집단에서는 읽기만 지속적으로 실시한 읽기 중심 집단보다 읽기와 쓰기를 함께 병행한 독해 일지 쓰기 집단이 독해 지문의 장르 유형 학습 효과가 더 뛰어났다는 점에서 읽기와 쓰기가 서로의 학습에 영향을 미쳐 읽기와 쓰기가 상호 작용한다는 양방향성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독해 일지 쓰기 활동에서 독해 지문의 내용과 난이도에 따른 독해 일지 분석과 사후 심화 설문 및 면담 결과, 독해 지문의 내용이 흥미롭고 친숙할수록 상·하위 집단 모두 독해 일지에 대한 참여도와 수업 분위기가 향상되었지만, 하위 집단의 경우는 상위 집단과는 달리 지문 내용에 대한 흥미도와 친숙도가 수업의 참여, 흥미, 작문의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하위 집단의 효과적인 독해 일지 수업을 위해서는 지문의 내용이 절대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해 지문의 난이도에서는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전반적인 과제의 완성도나 이해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습자들의 수준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상위 집단의 경우는 난이도가 높다고 해서 글의 길이나 내용, 수업 분위기와 참여도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지만, 하위 집단의 경우 지문의 난이도가 높아지면 글의 길이나 내용이 크게 달라졌고, 수업에 대한 흥미나 동기가 많이 감소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사후 심층 설문 결과에 의하면 독해 일지 쓰기 수업이 쓰기 능력 중 어휘 향상도와 문법 활용도 측면에서 상당히 긍정적인 것으로 제시되었고, 수업의 만족도와 일반 영어 능력, 그리고 읽기 및 쓰기 능력 향상에 있어도 긍정적이었다는 반응이 나타났다. 한편 읽기와 쓰기에서 거부감이나 두려움 감소는 상위 학습자들은 읽기와 쓰기 모두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반응하였지만, 하위 학습자들은 쓰기에 대한 거부감과 두려움 감소 항목에서는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처럼 독해 일지 쓰기 활용 수업이 인지적인 읽기 및 쓰기 능력 향상과 정의적인 읽기와 쓰기의 학습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 것은 영어 교육 현장에서 소홀히 다루고 있는 영어 쓰기 교육을 영어 독해 일지 형태로 적용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단, 아주 초보적인 수준의 학습자일 경우 자유롭게 쓰는 형식보다는 약간의 명시적인 교사의 지도가 유용하다. 또한 독해 지문의 선택에 있어서도 학습자의 언어 수준, 독해 지문의 장르 유형, 그리고 독해의 내용, 친숙도, 난이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교사의 세심한 지도가 요구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읽기 능력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오지는 못 했지만, 독해 일지 쓰기가 장기간 지속적으로 활용된다면 학습자들의 읽기와 쓰기를 상호 작용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 지도의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영어 교육의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신장과 고등 정신 기능 함양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