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文振娥-
dc.creator文振娥-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6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4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616-
dc.description.abstractA concern in family laws in Korea is how to guarantee a true equality between a husband and a wife regarding management of marital property. This thesis is to analyze laws and research a legal basis for true equality and a safe and prompt deal in the current civil law on the basis of study in American and British judicial systems. The thesis is composed of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Development History of Management System of Property in Marital Relations in American and British Judicial Systems, Chapter 3: Division of Property during Marriage in American and British Judicial Systems, Chapter 4: Division of Property at Divorce in American and British Judicial Systems, Chapter 5: Devolution of Property at death of one party in Marital Status in American and British Judicial Systems, Chapter 6: Issues and Problems on Current Civil Raw Regarding the Property Division in Korea, and Chapter 7: Conclusions. Chapter 1 describ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range of the research, and the methodology used in the research. Chapter 2 includes the change history of division of property in marital status in American and British judicial systems.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the Common Law, married women were treated as a person without legal capacity and right although a widow or an unmarried woman was not. Settlement in division of property in marital relations in American and British judicial systems evolved in order to get rid of such discrimination. Property system evolved from the Married Women's Property Act passed in the U.S. in 1839 and in the U.K. in 1882, which has been amended and become comprehensive. Chapters 3, 4, and 5 have the research on the property system during marriage, at divorce and at death of a party especially focusing on the property system at divorce. The property system in the U.S. is classified into the community property system and the separate property system. The community property states are Arizona, California, Idaho, Louisiana, Nevada, New Mexico, Texas, Washington and Wisconsin. The states, which apply the separate property system,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make a strict title application of the common law(only Mississippi State), and an application of the common law within the equitable distribution principle. Most of the separate property states are equitable distribution states. In the states, which apply the community property system, in general, all separate property will be given to the person who owns it, and all community property states will be divided so that each person receives the same net amount with the exception of debts to each parties in a way that makes the net value of the property received less the debts assigned the same for both spouses. In the separate property states within equitable distribution, each party keeps his(her) own property and the property acquired prior to the marriage by gift or inheritance upon divorce. But, the equitable distribution states give the judge a free hand to make a decision on division of the marital property, alimony, child support, etc. Nowadays In the U.S. the marital property tends to include new property such as various pensions, retirement benefits, insurance plans, any investment done while married, employee stock options, any anticipated income from professional education or certification done during marriage, for example advanced degree, MD, JD, CPA, etc. Statue law and case principle become the most important reference and the judge has an extensive discretionary authority in separate property system in the U.K. It catches our attention that a matrimonial home among various assets of marital property is especially treated with caution in the U.S. and the U.K. It is due to their concept toward ownership and the right of residence. Chapter 6 discusses issues and problems and provides suggestions in the current property system in Korean civil law with respect to one during marriage, at divorce and at death of a party. Judicial precedents and opinions are cited to do so. Conclusions in Chapter 7 suggest plans to improve the property system in Korean civil law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of American and British judicial system. First, the rights of a spouse who holds legal title to the property should be reconsidered. The regulations of restriction on the power to revoke an earlier disposition of the asset without consent of a spouse should be introduced in Korea to protect a spouse who doesn't have the right of legal title like that in the U.K. Second, labor of housekeeping and raising child(ren) should be re-evaluated to be rewarded as much as that of the income earner. Third, a fixed portion or amount of inheritance should be succeeded to the surviving spouse for "ancillary relief". Fourth, if it is essential, alimony(or maintenance) should be paid to the custodial parent(or one party) like the U.S. and the U.K. Fifth, separate regulations on the right of ownership and the right of occupation in case of a matrimonial home should be introduced for the interest of minor child(ren). Sixth, legal title for the property for husband and wife should be registered for the equal rights or the shared rights to protect wife who doesn't have the right of legal title in most cases in Korea. Lastly, in case that one party doesn't want to divorce and just want to protect marriage asset, claims for distribution of property should be guaranteed during marriage as well as at divorce.;오늘날 가족법의 관심사 중 하나는 부부재산관계에서 부부간의 실질적 평등을 어떻게 보장하는가이다. 이 논문은 영국과 미국의 부부재산관계를 검토한 후, 현행 민법 규정 하에서 부부간의 실질적 평등과 거래의 안전 · 신속성을 위한 법해석을 도모하고 법적 개선 방안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제1장 서론, 제2장 영미법상 부부재산제도의 유형 및 변천과정, 제3장 영미법상 혼인중의 부부재산관계, 제4장 영미법상 이혼시의 부부재산관계, 제5장 영미법상 일방배우자의 사망시 부부재산관계, 제6장 우리나라 현행 민법상의 부부재산제도와 그 문제점, 제7장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힌 후,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영미법상 부부재산제도의 유형 및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19세기에 이르기까지의 커먼로에서, 독신이나 과부여성과 달리 기혼여성은 법적으로 무능력자 취급을 받았다. 영국과 미국의 부부재산제도는 이러한 기혼여성의 법적 무능력을 철폐할 필요성에서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미국과 영국의 부부재산제도는 미국에서는 1839년에, 영국에서는 1882년에 기혼여성재산법(Married Women's Property Act)이 등장하면서부터 변천되어 오늘날의 제도에 이르렀다. 제3장과 제4장, 제5장에서는 영미법상 부부재산관계를 혼인중, 이혼시, 일방배우자의 사망시로 나누었으며, 특히 이 논문에서는 이혼시 부부재산관계를 중심으로 하였다. 미국의 부부재산제는 공동재산제(community property system)와 별산제(separate property system)로 대별된다. 또한, 별산제를 취하는 州에는 엄격한 커먼로의 적용이 있는 州와 커먼로를 적용하지만 형평법상의 분배(equitable distribution)를 허용하는 州가 있다. 공동재산제 州에서 이혼시 재산분배는 원칙적으로 혼인중 취득한 공동재산 중 부부 각자의 개별채무를 제외한 나머지 공동재산을 동등하게 분할한다. 별산제 州(대부분의 별산제 州는 형평법상의 분배를 허용함)에서 각 배우자는 이혼시 재산분배에서 혼인중 자신의 명의로 보유하고 있던 재산을 그대로 가지게 된다. 그러나, 별산제 州이면서 형평법상의 분배를 허용하는 州에서는 이혼시에 법관에게 재산의 분배 및 부양료(alimony) 지급명령에 관한 광범위한 재량권을 부여하고 있다. 오늘날 미국에서는 이혼시 분배되는 혼인재산의 범위에 군인연금, 퇴직금, 전문적 지위 및 자격증에 의하여 취득 가능한 재산, 영업권(goodwill), 근로자 주식 선택권(Employee Stock Options : ESO)과 같은 신종재산(new property)이 포함되는 추세에 있다. 영국의 별산제에 있어서는 부부의 재산권 결정에 관한 제정법과 판례의 원칙이 중요한 판단기준이 되며, 판사에게 광범위한 재량권이 주어져 있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영국과 미국에서는 소유권과 거주권 분쟁이 야기되는 대상인 혼인주택을 특별히 취급하여 처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혼인주택도 부부의 일반재산과 동일하게 취급하고 있는데 불과한 것을 비교해 볼 때 영미법상의 혼인주택 제도는 우리나라 법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제6장에서는 우리나라 현행 민법상 부부재산제도 및 그 문제점에 관하여 혼인중, 이혼시, 일방배우자의 사망시로 나누어 논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경우에 관한 논의와 판례를 살펴본 후, 그에서 도출되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아울러 제도의 개선점도 논하였다. 제7장 결론에서는 앞에서 고찰한 영미법상 부부재산관계의 논의에 따라 우리나라 현행 민법상 부부재산관계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에 관하여 견해를 제시하였다. 첫째, 영국에서 혼인중 명의 없는 일방배우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명의자의 혼인중 재산양도에 대하여 명의 없는 배우자가 취소를 청구할 수 있는 제도가 규정되어 있는 것과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혼인 중에 명의자인 배우자의 일방적인 재산처분이나 은닉행위로부터 명의 없는 배우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영국과 같은 취소청구제도를 두거나, 혼인생활의 기반이 되는 혼인주택과 가재도구는 상대방 배우자의 동의 없이는 처분하지 못하도록 하는 처분권 제한규정을 두어야 한다고 본다. 둘째, 영미법에서와 같이 우리나라도 전업주부의 가사노동에 대한 가치를 夫의 소득활동과 동가치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 셋째, 생존배우자의 상속분에 있어서는 생존배우자의 상속분을 고정적으로 책정하든가 상속재산이 많지 않은 경우에도 생존배우자가 최소한의 생활을 할 수 있을 만큼으로 상향조정해야 할 것이다. 넷째, 영국과 미국은 모두 부양료 청구권을 인정하고 있는 바, 우리나라에서도 필요한 경우에는 부양료 지급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혼인주택에 관하여는 미성년자의 자녀가 있는 경우 혼인주택은 부부간의 재산분할에서 형평분배의 원칙보다는 자녀의 복리와 가족의 생활환경 보호에 우선점을 두어 거주권과 소유권을 분리하여 별도의 규정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혼인주택이 대부분 夫명의로 되어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지분권이 없는 처를 보호하기 위하여 혼인주택만큼은 2분의 1씩 공유등기나 합유등기로 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이혼시에만 재산분할청구권이 인정되지만, 이혼을 원하지 않고 가정과 재산을 지키려는 일방배우자를 위하여 혼인중에도 재산분할청구권이 인정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目次 論文槪要 Ⅰ. 序論 = 1 1. 硏究의 目的 = 1 2. 硏究範圍 및 方法 = 3 Ⅱ. 英美法上 夫婦財産制의 類型 및 變遷過程 = 3 1. 序 = 3 2. 別産制(separate property system)의 變遷過程 = 6 (1) 美國 = 6 (2) 英國 = 7 3. 共同財産制(community property system)의 變遷過程 = 9 Ⅲ. 英美法上 婚姻中의 夫婦財産關係 = 11 1. 別産制(separate property system) = 11 (1) 美國 = 11 (2) 英國 = 13 1) 夫婦財産權을 決定하는 基準과 原則 = 13 2) 婚姻住宅(matrimonial home) = 14 (가) 所有權(ownership) = 14 (나) 居住權(occupation) = 15 2. 共同財産制(community property system) = 17 (1) 共同財産制州의 財産分類 = 17 (2) 共同財産制를 취하는 각 州의 法規 = 19 (3) 共同財産의 管理 = 21 (4) 婚姻中 形成된 財産의 混合性 問題 = 23 Ⅳ. 英美法上 離婚時의 夫婦財産關係 = 24 1. 美國 = 24 (1) 커먼로(common law)州와 衡平法上 分配州(equitable distribution States)의 財産分配 = 25 (2) 共同財産制州의 財産分配 = 28 1) 夫婦共同財産制 州의 財産分割 比率 = 29 2) 共同財産制를 취하는 각 州의 法規 = 30 3) 第3者와의 關係 = 31 4) 共同財産制 州에서 家事勞動의 評價 = 32 (3) 新種財産 (new property) = 32 1) 年金(pension) = 33 (가) 年金受給權과 관련된 主要 槪念 = 33 (나) 年金受給權에 관한 立法 = 36 (다) 年金의 分割 方法 = 38 (라) 年金受給權의 執行禁止規定과 財産分割의 關係 = 39 (마) 軍人年金 (Military Pensions) = 40 (바) 民間 서비스 年金 (Civil Service Pensions) = 41 (사) 社會保障受給勸(Social Security benefits) = 41 2) 專門職 資格證, 免許로 인하여 增價된 收入 能力 = 42 3) 勤勞者 株式 選擇權(Employee Stock Option: ESO) = 43 (4) 婚姻住宅 (matrimonial home) = 44 (5) 扶養金(alimony/maintenance) = 46 2. 英國 = 49 (1) 離婚 後의 扶養과 財産分割 = 49 (2) 離婚 後의 經濟에 관한 法院의 權限 = 52 (3) 婚姻住宅(matrimonial home) = 53 Ⅴ. 英美法上 一方配偶者의 死亡時 夫婦財産關係 = 57 1. 美國 = 57 (1) 死亡配偶者의 遺言이 있는 경우 = 57 (2) 死亡 配偶者의 遺言이 없는 경우 = 58 (3) 共同財産制州의 경우 = 59 (4) 生存配偶者의 住宅使用權 = 59 2. 英國 = 60 Ⅵ. 우리나라 現行 民法上의 夫婦財産關係에서의 問題点 = 63 1. 序 = 63 2. 婚姻中의 夫婦財産關係 및 그 問題点 = 64 3. 離婚時의 夫婦財産關係 및 그 問題點 = 66 4. 一方配偶者의 死亡時 相續分에서의 問題点 = 72 Ⅶ. 結論 = 74 參考 文獻 = 79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92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英美法上의 夫婦財産關係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Management System of Property in Marital Relations in American and British Judicial Systems-
dc.creator.othernameMoon, Jin-A-
dc.format.pageⅶ,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