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영민-
dc.contributor.author김선경-
dc.creator김선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6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4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607-
dc.description.abstractThe article 746 of korean civil code stipulates, "When property is endowed or labor is provided for illegal cause, it is not allowed to claim the restitution of the resulting profit, unless the illegal cause is attributable to the beneficiary only." Meanwhile, criminal law stipulates if those who keep the fortune of others illegally acquire it or reject restituting it, the embezzlement is established(article 355). Thus, it is a question to answer whether the embezzlement is established when those who are entrusted with fortune for illegal cause illegally acquire it or reject restituting it.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in the case of acquisition of property for illegal cause is related to both legal areas of civil law and criminal law and steady discussion has been made on its interpretation and punishability. With regard to this provision for illegal cause and embezzlement, the theories such as affirmative theory, negative theory and eclectic theory have confronted each other. Affirmative theory states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for the following grounds; ①the ownership belongs to the grantor ②the relation of trust exists ③ criminal law is independent from civil law. The grounds of negative theory for negating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are ① the ownership belongs to the grantee ②the relation of trust does not exist ③ the emphasis on the unity of all laws. Dividing the 'provision' and 'consignment' for illegal cause, eclectic theory states that while embezzlement is established when 'provision' has the intention of transference of ownership, it is not established when 'consignment' does not have the intention of transference of ownership. With regard to the issue; to whom the ownership belongs, the judicial precedent has consistently taken the position of negative theory since it construed that the ownership belongs to the grantee in the unanimous decision in 1979. Taking a bird's-eye view of the situation of discussion on this matter, it is found that theoretic structure is spread on the form-logical base. Without being confined in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concept-logical and plane interpretation of law, this dissertation sought the overall and balanced interpretation of law. The reason why embezzlement is not established for acquisition of property granted by illegal cause is not because the beneficiary acquires the ownership (In this content, the reversion of ownership is nothing but the expression of ownership that exists externally as the reflective effect owing to the negation of right of claiming restitution), but because the right of claiming restitution is negated in the civil law. Namely, the criminal law cannot protect the property and trust relation that is not protected by civil law. Thu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ownership includes even the position of ultimate possibility that can be legally enjoyed. The issue of dividing provision for illegal cause into 'provision' and 'consignment' needs to examine in the first pace whether civil law divides provision for illegal cause into 'provision' and 'consignment.' Considering the judicial precedent in the civil law, "Since the money provided to public official so as ask for employment is provision for illegal cause, the claim for restitution shall not be allowed in spite of the agreement on restitution of principal and interest in case that employment is not realized", if ‘intention that transfers ownership (provision)’ and ‘intention that does not transfer ownership (consignment)’ are divided, the expression 'in spite of the agreement on restitution' means 'intention that does not transfer ownership.’ Therefore, since civil law includes ‘intention that does not transfer ownership (consignment)’ in the category of 'provision', it cannot be concluded that 'provision' and 'consignment' are divided. For this reason, dividing provision and consignment is not feasible in that it will raise another problem. The doctrine of impossible attempt on account of the analysis of illegal structure recognizes the impossible attempt for embezzlement on the ground that “While illegal value of behavior based on intentional embezzlement is recognized, the infringement of legal profit that corresponds to the illegal value of result of convict does not exist. However, the third illegal value of result as the disturbance in the state of peaceful legal profit is recognized.” Since the embezzlement is based on trust relation, however, in case that consigned goods for illegal cause is embezzled, the violation of trust relation should be considered also as illegal value of behavior with illegal value of intention. If illegal act is diminished, because illegal value of result is not recognized and trust relation of consignment for illegal cause is not protected, it should be spread to the direction of non-formation of illegality instead of impossible attempt. Regarding the case where illegal cause is attributable to the beneficiary (the proviso of article 746 of civil code), the judicial precedent recognizes that though the illegal cause is attributable to some grantors, the claim for restitution should be recognized provided that the illegality of beneficiary is conspicuously large. When granting fortune for illegal cause, it would be rare that only beneficiary is illegal. That is, unless the grantor is somewhat involved in the illegality, such relation would not be formed. Thus, if the illegality of beneficiary is conspicuously large, it would be reasonable to recognize the claim for restitution, considering that only beneficiary is illegal. While the purpose and scope of study is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of this dissertation, the nature and establishing factor of embezzlement, the premise of discussion for this theme is examined in the body. Then, article 746 of civil code is examined. Investigating theory and judicial precedent about the provision for illegal cause and the establishment of embezzlement, the conclusion was made by reorganizing theory from the overall self-aligned viewpoint of law order. The findings of study made so far are arranged and the opinion of critics is stated in the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hat the embezzlement should not be established when the restitution of fortune granted for illegal cause is rejected or such fortune is illegally acquired. This is because the ownership and trust relation unprotected by civil law need not to be protected by criminal law.;민법은 제746조에서 “불법의 원인으로 인하여 재산을 급여하거나 노무를 제공한 때에는 그 이익의 반환을 청구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 불법원인이 수익자에게만 있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형법은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그 재물을 영득하거나 반환을 거부할 경우 횡령죄가 성립됨을 규정하고 있다(제355조). 따라서 불법원인급여에 기하여 재물의 위탁을 받은 자가 그 재물을 영득하거나 반환을 거부하는 경우 형법상 횡령죄가 성립하는가가 문제된다. 불법원인급여물의 영득행위의 횡령죄성부의 문제는 민법과 형법 두 법영역이 관련되는 문제로서 그 해석과 가벌성에 관하여 꾸준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불법원인급여와 횡령죄의 성립에 관하여 긍정설·부정설·절충설의 학설의 대립이 있다. 긍정설은 횡령죄의 성립을 긍정한다. 그 근거로는 ①소유권이 급여자에게 있는 것으로 보고 ②급여자와 수탁자 사이에 신임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며 ③형법의 민법에 대한 독자성을 강조한다. 이에 비하여 횡령죄의 성립을 부정하는 부정설의 근거로는 ①소유권은 수탁자에게 있는 것으로 보고 ②양자 사이에 신뢰관계가 존재하지 않으며 ③법 전체의 통일성을 강조한다. 또한 부정설의 입장에서 불법원인 ‘급여’와 ‘위탁’을 구별하는 견해가 있다. 절충설은 소유권이전 의사가 없는 ‘위탁’의 경우에 횡령죄의 불능미수로 보는 불능미수설과 횡령죄로 보는 횡령죄설의 대립이 있다. 대법원은 소유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가에 대하여 1979년 전원합의체판결에서 ‘소유권은 수탁자에게 귀속 된다’고 해석한 이후 일관하여 부정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나름의 분석을 통하여 부정설을 지지한다. 불법원인에 기하여 급여된 재산을 영득한 행위가 횡령죄를 구성하지 않는 이유는 대법원의 견해와 같이 소유권이 수탁자에게 귀속하거나, 소유권이 수탁자에게 귀속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민법상 반환 청구권이 부인되기 때문이다(‘소유권이 귀속된다’ 함은 반환청구권이 부인되는 결과 ‘반사적 효과’로서 외관상 존재하는 소유권의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 민법이 보호하지 않는 재산 그리고 신임관계를 형법이 보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유권은 그 형식적 존부 뿐 아니라, 합법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궁극적 가능성의 지위까지를 포함한 것이라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불법원인급여를 ‘급여’와 ‘위탁’으로 구분하는 문제는 민법상 불법원인급여가 ‘급여’와 ‘위탁’으로 구별되는지가 선결문제가 된다. 그런데 민법이 ‘공무원에게 취직청탁의 교제비명목으로 교부한 금전은 불법원인급여이므로, 취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그 원금과 이자를 반환하기로 하는 약정이 있더라도 반환청구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취지의 대법원 판결을 볼 때, ‘소유권을 이전하는 의사(급여)’와 ‘소유권을 이전하지 않는 의사(위탁)’가 구별되는 경우에도, ‘소유권을 이전 하지 않는 의사(위탁)’를 ‘급여’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어 ‘급여’와 ‘위탁’을 구별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없다고 하겠다. 불법구조의 분석에 기한 불능미수설은 “횡령고의에 기초한 행위반가치성은 인정되나 (기수범의 결과반가치에 상응하는 법익침해는 없지만)법익평온상태의 교란이라는 제3의 결과반가치는 인정 된다”고 하여 횡령에 대한 불능미수를 인정한다. 그러나 횡령죄는 신뢰관계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의도반가치와 더불어 신뢰관계의 위반도 행위반가치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결과반가치가 인정되지 않고 불법원인에 기한 위탁의 신뢰관계는 보호받지 못하여 행위불법도 감소된다면 이 사안은 불능미수가 아니라 불법의 불형성의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대법원은 민법 제746조 단서 ‘수익자에게 불법원인이 있는 경우(민법 제746조의 단서)’에 대하여 ‘불법원인이 일부 급여자에게 있어도 수탁자의 불법성이 현저히 큰 경우에는 반환청구를 인정’하였다. 불법원인으로 재물을 급여할 경우에 수익자에게만 불법이 있는 경우란 사실상 드물 것이고, 급여자의 다소간의 불법에의 관여가 없어서는 수탁-위탁관계는 형성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대법원의 태도와 같이 수익자의 불법이 현저히 큰 경우는 수익자에게만 불법이 있는 것으로 보아 반환청구를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 2 Ⅱ. 횡령죄의 성격 및 성립요건 = 3 A. 횡령죄의 성격 = 3 B. 횡령죄의 성립요건 = 5 1. 재물의 타인성 = 5 2. 위탁관계 = 7 Ⅲ. 민법 제 746조에 관한 고찰 = 9 A. 의의 및 입법취지 = 9 1. 논의의 필요성 = 9 2. 의의 = 10 3. 연혁 = 11 4. 입법취지 = 12 B. 민법 제746조 본문의 적용요건 = 13 1. 불법 = 13 2. 급여원인 = 14 3. 급여 = 15 C. 민법 제746조의 단서와 불법성 비교이론 = 16 Ⅳ. 불법원인급여와 횡령죄의 성부에 관한 학설과 판례 = 19 A. 불법원인급여와 횡령죄의 성부에 관한 학설 = 19 1. 긍정설(적극설) = 19 가. 재물의 타인성에 대한 긍정 = 19 나. 신뢰관계의 배반에 대한 긍정 = 21 다. 형법의 독자성에 대한 강조 = 21 라. 소결 = 22 2. 부정설(소극설) = 22 가. 법질서 전체의 통일성에 대한 강조 = 23 나. 재물의 타인성에 대한 부정 = 24 다. 신뢰관계의 배반에 대한 부정 = 26 라. 소결 = 28 3. 절충설(제한적 긍정설) = 28 가. 불능미수설 = 29 나. 횡령죄설 = 29 B. 불법원인급여와 횡령죄의 성부에 관한 대법원 판례 = 30 1. 조선고등법원시대의 판례 = 30 2. ‘소유권의 이전’을 명백히 한 판례 = 30 3. 전달뇌물에 대한 횡령죄의 성부에 관한 판례 = 31 4. 민법 제 746조의 단서 조항에 관한 판례 = 33 Ⅴ. 학설과 판례의 검토 = 35 A. ‘소유권 귀속’ 문제 = 35 B. ‘신뢰관계’에 관한 문제 = 38 C. ‘급여’와 ‘위탁’의 구별 문제 = 39 D. ‘불능미수’의 문제 = 42 E. ‘불법성의 비교’에 관한 문제 = 45 Ⅵ. 결론 = 48 참고 문헌 = 51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93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불법원인급여와 횡령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llegal Cause Grant and Embezzlement-
dc.creator.othernameKim, SunKyoung-
dc.format.pageⅶ,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