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2 Download: 0

말기암 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말기암 환자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Predicting caregiver's quality of life with terminal cancer patient
Authors
하상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purpose ; The objectiv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aregiver's quality of life(QOL) as a study focused on the plan about improving caregiver's QOL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caregiver's QOL. methods ; This study is secondary analysis. Participants were drawn at 5 hospice·palliative care organization in Korea. June 1, 2003 to December 31 2003, 169 terminal cancer patient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in family were included in my study, and the question survey were performed by concrete questionnaire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 and family, medical aspects of patient, family function(apgar), patient's quality of life(EuroQol, EQ-vas), and caregiver's QOL(CQOLC). results ; The QOL score of caregiver in family is 66.4(SD;16.0) and scores of the four subscales were as follows: burdens 17.8(7.0); disruptiveness 12.6(5.3); positive adaptation 15.2(5.1); financial concern 5.8(2.5). Caregiver's QOL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 and family were not significant, but among medical characteristics, poor performance status heightened the caregiver's QOL.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tient's QOL(EuroQol; r=.264, p<.05, EQ-VAS; r=.434, p<.001), family function (apgar; r=.221, p<.01) and caregiver's QOL. The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that patient's performance status was the main predictor of caregiver's QOL and accounted for 18.7% of the variance in caregiver's QOL. family function, economic state of family and EuroQol accounted for 4.4%, 3.4%, 3.0% of the variance in caregiver's QOL, respectively. conclusions ; Patient's performance status, family function, economic state of family and patient's QOL(EuroQol)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variables in caregiver's QOL.;암은 환자나 그의 가족들에게 육체적, 심리적 안녕에 커다란 위험을 줄 뿐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영적인 면에 걸친 전체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말기암 환자는 증상의 심화와 신체적 기능 상실과 동시에 죽음을 다루게 되면서 이들 환자와 가족이 겪는 어려움은 더욱 크다. 그러나 지금까지 암과 관련된 삶의 질 연구는 대부분 환자에 초점을 두어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근래에는 치료기법의 발달로 환자가 더 오래 살게 되고 또한 의료비 상승 등으로 인해 암환자의 가족들은 스트레스가 더욱 가중되므로 이들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보다 요청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말기암 환자의 간병으로 인한 가족의 전반적인 삶의 질 수준을 살펴보고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말기암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사업적 개입에 유용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데이터를 통한 2차 분석 결과이다. 연구 대상은 5개의 호스피스시범사업기관을 이용한 말기암환자 가족 169명을 대상으로 말기암 환자의 주간병 가족원의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 및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환자의 삶의 질, 가족기능이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에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단순적률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말기암 환자를 주로 간병하는 가족의 삶의 질 수준은 평균 66.38점으로 일반 암환자 삶의 질보다 약간 높았다. 둘째, 환자 및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의 삶의 질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질병관련 특성 중 환자의 활동도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환자의 활동도가 좋을 때 전체 삶의 질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한 EQ-5D와 EQ-VAS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넷째,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이 지각한 가족기능은 중정도 이상으로 좋은 편으로 나타났고, 가족기능과 가족의 삶의 질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r=.221(p<.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다섯째, 말기암 환자를 간병하는 가족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예측요인을 살펴보면, 환자의 활동도, 가족기능, 경제적 수준, 환자의 삶의 질(EQ-5D) 순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의 활동도의 경우, 삶의 질 하위차원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변수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해 보면, 첫째, 환자의 활동도가 간병관련 가족의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었고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간병의 역할을 줄이기 위한 자원봉사자 및 간병인과 같은 인적, 물적 자원의 연결이 요구된다. 둘째,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간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임에 따라 간병을 통해 느끼게 되는 불안, 갑작스런 죽음에 대한 두려움, 우울, 상실감 등의 심리적 문제는 가족 뿐 아니라 환자와 전체 가족에게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말기암 환자 가족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가족의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영적 문제에 대해 심리치료적 상담을 하거나 중재역할과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며 말기암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호스피스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가족이 지각한 가족기능과 가족의 삶의 질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짐으로써 말기암환자 가족에 대한 사회사업적 사정시 이들의 가족기능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사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가족의 경제적 수준은 가족 전체 삶의 질 뿐 아니라 방해 및 경제적 걱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확인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사회경제적 평가 및 중재가 요구되며 근본적으로 말기 암환자의 의료비를 줄이기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