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3 Download: 0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Factors that Impact Life Satisfa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uthors
이종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1990년 중반을 기점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입국이 크게 증가하기 시작한 이후 2004년 6월 상반기까지 남한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은 총 5천117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이 증가하게 되자 정부는 이들의 입국 특성에 따라 지원정책을 마련해 왔으며, 현재 1997년 제정된「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과 2000년 제정된「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안내」을 통해서 북한이탈주민의 지원 정책 방안을 시행해오고 있다. 하지만 현재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상당수가 극심한 경제적 어려움과 생활상의 곤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 여부는 스스로 삶에 있어서 어느 정도 행복감을 느끼는지 그 수준에 따라 적응도를 가름해 볼 수 있다. 현재 발생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문제들은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만족도(Life Satisfaction)에 대한 이해와 체계적이며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서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연구해보고자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구자의 판단 하에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요인(성별, 연령, 주관적 건강 상태, 직업유무, 수입)과, 북한이탈주민 특성요인(해외체류기간, 해외체류시 외상경험, 가족입국형태, 북한/제 3세계 잔존가족여부, 남한거주기간), 정부정착지원제도 특성요인(하나원제도, 정착지원금제도, 주거제도, 남한교육제도, 보호담당관제도), 사회적 지지 요인 등을 포함하여 이중 어떠한 요인이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3년 8월 이전에 입국하여 남한에 거주한 기간이 1년 이상이 되는 18세 이상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였다. Dinner, Emmonson과 Larsen, Griffin(1985)이 개발한 생활만족도척도(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를 Won(1989)이 한국말로 번안하여 표준화시킨 생활만족도 척도와 박지원(1985)의 사회적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10월 26일부터 11월 26일까지 약 4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사전조사 설문지 5부를 포함하여 총 115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영문판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scheffe를 이용한 사후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나타난 주요 변수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주관적 건강상태(p<.05, F=4.759), 직업 유무(p<.05, t=2.621) 그리고 수입(p<.001, F=8.532) 요인과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과 연령요인과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입국특성에 따라 주요 변수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해외체류시 외상경험유무(p<.05, t=-2.623), 입국형태(p<.05, t=3.130) 요인과 생활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해외체류시간, 북한/제 3세계 잔존가족여부, 남한거주기간 요인과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정부지원정착제도에 따라 주요 변수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착지원금제도(p<.01, F=7.850), 주거형태(p<.01, t=2.779), 남한에서의 교육 경험유무(p<.01수준, t=3.412)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를 차이를 보였으나, 하나원 교육 경험 요인과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호담당관제도의 경우 거주지보호담당관(p<.05, t=2.111)과 취업보호담당관(p<.01, F=2.647) 경험 요인과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신변보호담당관 경험 요인과 생활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53.4%의 설명력을 갖으며, 사회적 지지(β=.299, p<.001)가 높을수록, 해외체류시 외상경험(β=.252, p<.01)이 없을수록, 건강상태(β=.243, p<.05)가 좋을수록, 해외체류기간(β=.212, p<.05)이 길수록, 수입(β=.196, p<.05)이 많을수록, 보호담당관제도(β=.168, p<.05)의 접촉이 있을수록, 남한교육경험(β=.162, p<.05)이 있을수록, 정착지원금제도(β=.152, p<.05)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으며, 영구임대아파트(β=-.157, p<.05)에 거주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함의로는 우선 본 연구가 국내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소수 있는 상태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 입국관련특성, 정부지원제도 특성, 사회적 지지 요인 등 북한이탈주민을 둘러싼 다각적인 차원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을 고려했다는 점과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경험적 근거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실천적 함의로는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밝혀진 결과에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 및 정착에 있어서 생활의 만족 상태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 차원의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강조할 수 있었으며, 이와 더불어 남한사회이해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 개발, 심리안정 프로그램 마련 및 사례관리 등의 개입의 필요성을 발견 및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정책적 함의로는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아홉 개의 요인들 가운데 특히 정부지원제도특성요인 중 네 개 요인이나 포함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의 생활의 만족 상태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정부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 및 강조할 수 있었다. 특히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인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 제도개선 방안’ 내용에 대해서 타당성 및 보완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North Korean defectors' life satisfaction. The North Korean defectors take three different stages when they defect from North Korea and enter into South Korean society to settle. At the first stage of initial entry assistance, they receive interrogation and investigation by governmental inter-agency investigation team. At the second stage of protection and assistance, they receive readjustment training in the settlement support facilities. At the stage of incorporation to the South Korea society, they receive various and security guarantee for self-reliance and self-living. In general North Korean defectors take many difficulties in living to the South Korea society because of their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weak competition in labor market, no social network and mental instability etc. Life satisfac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measure general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a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North Korean defectors' life satisfaction and explored some relationships among demographic factors(sex, age, subjective health state, occupation, mean monthly income), entry character factors of the North Korea defectors(Duration of staying in the Third countries, traumatic experience, family entry type, broken families in the Third countries or in the North Korea, Duration of staying in the South Korea), governmental support system factors(Hanawon education system, the settling funds system, housing system, education experience in South Korea, local office system) and social support.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Seoul, those who are over 18 years old and have been stayed in South Korea over a year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analysis. Data were drawn from a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The survey lasted around four weeks from October 26th to November 26th of 2004. Total of 115 research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final research analysis. For the study accumulati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and social support scale were used. The statistic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model accounted for 54% of variance in life satisfaction. The major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were subjective health state, mean monthly income, Duration of staying in the Third countries, traumatic experience, the settling funds system, housing system, education experience in South Korea, local office system and social suppor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for developing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to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for improvement of their general life satisf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