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인영-
dc.contributor.author김지혜-
dc.creator김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7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4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793-
dc.description.abstractThough understanding of the family violence and social intervention in the family abuse has increased recently, sibling violence has been ignored for the most part by the public and even social welfare scient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ctual rate of occurrence of sibling violence and effectiveness and relations among the family-related variables, school-related variables, media-related variable and sibling violence. The model for this study is based on the social learning theory and system theory.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Kyung-gi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the study the conflict tactics scale, general family function scale, child neglect scale and etc.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t-test, x2,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regression were used. Result of the study had demographic-social characteristic and the rate of family violence occurrence including sibling violence, partner violence, child abuse and child neglect. School violence including teacher violence and peer violence and the level of exposure to the violent media also were measured. With this, it showed the different level of sibling violence according to respondent's demographic-social characteristics. And it showed correlation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sibling abuse. Based on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the effectiveness among the variables was shown. Additionally, it showed the differences of in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group with sever sibling violence and the one without it. From this,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policy relevance may be suggested. It has become established that the necessity for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sibling violence and development of the social service for sibling violence. An Integrated and detailed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hould be made to prevent other forms of violence from happening including sibling violence caused by the transmission of violence. And the study has proved the necessity of programmes and education to make teacher find out sibling violence and to reduce physical punishment toward students. Lastly, the study has confirm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right use of media for adolescence, activities of monitoring in community, and the intensity of political control to protect adolescence from violent media.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a document of suggestions on the future studies are also attached;근래 가정폭력과 관련한 법률 제정 이후 가정폭력에 대한 개인과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사회·제도적 대응도 현저히 강화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가정폭력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졌으며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도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개입하는데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폭력의 한 유형으로서의 형제자매간 폭력은 아내폭력이나 아동학대에 비해 연구된 바가 거의 없고 이를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의 개발도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청소년기는 형제자매로부터 받는 영향력이 더욱 커지고 인격과 가치관이 급격히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형제자매간 폭력은 주의깊게 다루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의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상호작용은 가족 구성원간에 학습되어 순환될 수 있으며 나아가 다음 세대에까지 전승(transformation)될 수 있음을 고려해볼 때, 형제자매간 폭력은 반드시 가정폭력의 한 유형으로서 연구되고 개입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형제자매간 폭력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청소년기에 있는 중학생들로서,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재학중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서는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이들이 경험하는 가정폭력, 학교폭력, 폭력매체에의 노출 실태를 살펴보았다. 또한 형제자매간 가해 및 피해 실태를 파악하고 가족관련 요인, 학교관련 요인, 대중매체 관련 요인과 형제자매 폭력 가해와의 상관관계 및 이들 세 요인이 형제자매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형제자매 폭력 발생이 심각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어떠한 요인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Straus(1979)의 갈등관리행동 척도(CTS), 최자은(1998)과 신정님(1998)의 교사폭력 척도, 이신옥(2003)의 또래폭력 척도, 이선경(1997)이 번안한 일반적인 가족기능 척도(GFS), 홍은주(1998)가 번안한 아동방임 척도, 최자은(1998)의 폭력매체노출 척도 등의 내용을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10월 26일부터 11월 6일까지 약 2주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367부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가정폭력, 학교폭력, 그리고 폭력매체 노출 경험 정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부폭력을 더 많이 목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아동학대와 방임, 교사폭력과 폭력매체 노출 정도에서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경제수준에 따라서는 아동방임과 폭력매체 노출 정도에서 평균차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형제자매간 폭력 발생 실태에 관하여 응답자의 약 85%가 가해 경험이 있으며 약 84%가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더 많이 형제폭력 가해 및 피해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형제폭력 피해 경험이, 학년이 높을수록 형제폭력 가해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형제폭력과 관련한 형제관계로는 여자 청소년의 남동생 폭력이 다소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형제와의 성(性)차는 동성과 이성이 거의 동일한 비율을 차지하였다. 형제와의 나이차는 2~4년 미만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형제폭력과 관련한 형제의 실제 나이를 살펴본 결과 나이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형제폭력이 줄어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 가운데 학년을 제외한 모든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독립변수가 형제자매간 폭력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아동학대와 부부폭력 등이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형제자매간 폭력에 미치는 요인들로는 아동학대, 성별, 교사폭력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아동학대, 성별, 교사폭력, 폭력매체 노출이 언어적 폭력에, 아동학대, 아동방임, 교사폭력이 경미한 신체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한 신체폭력에는 아동학대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자매간 폭력 실태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고 심각성이 파악되어 문제의식의 고취 뿐 아니라 이의 예방과 해결을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의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결과를 통해 가정폭력의 순환성과 전이현상이 다시 확인됨에 따라 통합적이고 면밀한 가정폭력 사정과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형제폭력의 발견과 지도를 위한 학교사회사업가 및 교사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폭력이 형제폭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알리고 학생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체벌을 줄일 수 있도록 돕는 교육과 서비스가 필요하다. 넷째, 폭력매체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의 감독 뿐 아니라 정책적인 규제가 강화되어야 한다. 청소년들이 올바르게 대중매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실시하고, 지역단위의 청소년 모니터링 모임을 가지는 동시에 정책적인 규제 강화를 통해 청소년이 유해폭력매체에 접근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있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목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가정폭력과 형제자매간 폭력 = 5 1. 가정폭력과 형제자매간 폭력의 정의 = 5 2. 형제자매간 폭력 유형 = 6 3. 형제자매간 폭력의 영향 = 9 B. 형제자매간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0 1. 가족관련 요인 = 10 2. 학교관련 요인 = 17 3. 대중매체관련 요인 = 19 C. 관련 선행 연구 = 21 Ⅲ. 연구방법 = 23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3 B. 연구 질문 = 24 C. 연구모형 = 25 D. 변수 정의 및 측정도구 = 26 1. 폭력경험관련 변수의 측정도구 = 26 2. 가족기능 척도 = 28 3. 아동방임 척도 = 28 4. 대중매체 노출 정도 측정 = 29 E. 분석 방법 = 29 F. 연구의 한계 = 30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31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1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31 B. 연구대상자의 폭력 및 방임 경험 = 35 1. 가정폭력 및 방임 경험 = 35 2. 학교폭력 및 폭력매체 노출 = 38 C. 형제 자매간 폭력 발생 실태 = 42 1. 연구대상자의 형제자매간 폭력 발생 = 42 2. 형제폭력 경험 청소년의 형제관계 = 49 3. 형제폭력 발생시 부모 개입 = 54 D. 형제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6 1. 일반적 특성과 형제폭력 가해와의 상관관계 = 56 2. 독립변수와 형제폭력 가해와의 상관관계 = 56 3. 형제폭력 가해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형제폭력 차이 = 59 4. 형제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61 5. 형제폭력 가해 발생 고·저집단의 비교 = 66 Ⅴ. 결론 및 제언 = 69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 69 1. 청소년들의 폭력 및 방임 경험 정도 = 69 2. 형제자매간 폭력 발생 실태 = 71 3. 형제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72 4. 형제폭력 가해 발생 고·저집단 비교 = 72 B. 제언 = 74 1.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제언 = 74 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77 참고문헌 = 79 부록 - 1 <독립변수간 상관관계> = 84 부록 - 2 <설문지> = 85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08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청소년기 형제자매간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ibling Violence in Adolescence-
dc.creator.othernameKim, Jee Hye-
dc.format.pageⅷ,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