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3 Download: 0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재인과 읽기이해 관련 특성 변인 탐색

Title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재인과 읽기이해 관련 특성 변인 탐색
Other Titles
Variables related to the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Korean Child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ren
Authors
김화수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언어의 모든 영역에서 초언어적인 지식 습득에 어려움을 지닐 수 있고 혹은 언어의 특정 영역에서만 어려움을 보일 수도 있는데, 과연 읽기와 관련하여서는 어떠한 언어적 어려움이 걸림돌이 될 것인가는 최근 여러 해 동안 많은 학자들의 관심이었다. 선행연구들은 구문이해, 무의미단어반복과 숫자나 단어의 회상, 언어능력, 빠른 어휘인출(rapid word retrieval)과 음운인식(phonological awareness)과 같은 것을 읽기재인 및 읽기이해의 예측변인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표현언어에서만 낮은 점수를 지닌 표현형 언어장애 아동(SLI-E)과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모두에서 낮은 점수를 보이는 혼합형 언어장애 아동(Mixed SLI)으로 나누어 읽기재인과 읽기이해 능력을 비교하고, 이들의 읽기재인 및 읽기이해능력과 그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보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발달(재인과 이해) 지표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한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재인능력은 언어장애유형(표현형, 혼합형)에 따라 다를 것인가? 둘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이해능력은 언어장애유형(표현형, 혼합형)에 따라 다를 것인가? 셋째, 단순언어장애의 읽기능력을 읽기재인과 읽기이해로 측정했을 때 이 두 가지 지표에 영향을 주는 언어 및 인지과정 변인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어릴 때 단순언어장애로 진단받은 현재 나이 7세에서 8세까지의 표현형, 혼합형 단순언어장애 아동 60명을 대상으로 하여 읽기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읽기재인검사, 읽기이해검사를 실시하였고, 문헌연구를 통해 어휘이해능력, 구문이해능력, 언어표현능력, 빠른이름대기, 음소탈락, 철자대기, 숫자회상, 단어회상, 무의미단어반복을 읽기예측변인으로 선정하여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표현형 단순언어장애아동은 혼합형 단순언어장애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읽기재인능력을 보였다. 둘째, 표현형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읽기이해능력이 혼합형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읽기이해능력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표현형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재인점수는 예측변인들 모두에서 높은 상관을 보였는데, 특히 무의미단어 반복과 숫자회상에서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다. 빠른이름대기(속도)는 표현형 언어장애아동의 읽기재인점수와 높은 ‘부적’ 상관이 있었고, 철자대기, 음소탈락, 단어회상, 언어표현, 읽기이해 역시 매우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종속변인인 읽기재인점수의 경우 유의한 예측변인은 무의미단어반복점수와 숫자회상점수였다. 표현형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이해점수와 읽기변인들 간의 상관을 살펴보면 그림어휘력검사를 통해 얻은 어휘이해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토큰테스트를 통해 얻은 구문이해점수와 높은 상관을 보여 언어이해를 잘하는 아동이 읽기이해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어정의하기로 실시되는 지능검사의 소검사인 어휘점수, 즉 언어표현점수, 숫자회상점수, 단어회상점수 역시 읽기이해점수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형 단순언어장애의 읽기이해점수에 대한 유의한 예측변인은 그림어휘력검사를 통해 얻은 어휘이해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형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재인점수는 예측변인들 중 어휘점수로 나타내어진 언어표현을 제외하고는 모든 변인들에서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다. 빠른이름대기는 혼합형 언어장애아동의 읽기재인점수와 높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읽기재인능력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큰 설명력을 보이는 변인은 단어회상점수와 더불어 음소탈락점수, 구문이해점수, 무의미단어반복점수였다. 혼합형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읽기이해점수와 읽기변인들 간의 상관을 살펴보면 토큰테스트를 통해 얻은 구문이해점수와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음소탈락, 단어회상, 철자대기, 그림어휘력검사를 통해 얻은 어휘이해점수, 숫자회상, 무의미단어 반복하기 역시 상관이 높았으며, 빠른 이름대기는 읽기이해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형 단순언어장애의 읽기이해점수에 대해 유의한 예측변인은 토큰테스트를 통해 얻은 구문이해와 음소탈락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표현형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재인과 읽기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음운적 산출이나 음운기억을 증진시키고, 어휘이해와 같은 언어적 지식으로 확대하는 언어프로그램을 중재에 포함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혼합형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재인과 읽기이해능력 향상을 위해서 음소탈락을 포함하는 음운인식훈련, 단어회상, 무의미단어반복 등의 처리과정 훈련을 통한 작업기억의 증진뿐만 아니라 구문이해영역에 있어서 지속적인 언어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해준다.;Th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show a significant difficulty of metalinguistic knowledge acquisition in language area. Recently, many studies have highlighted the language difficulties in reading ability of SLI. Previous literatures have suggested several factors that may affect the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syntactic comprehension, expressive language ability, nonword repetition, digit span, rapid word retrieval,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1) to assess and to compare the ability of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SLI-E and mixed SLI, (2) to investigate correlation of reading factors and reading ability(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and (3) to analyze and to compare the predicting variables of reading in SLI-E and mixed-SLI. For these purposes, sixty children with SLI aged from 7 to 8:11 years old participated as subjects. All subjects were diagnosed as SLI in 5-6 years old by speech-language clinician. The reading test(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in order to measure reading. And with literature review, following factors were considered as the predicting variables: vocabulary understanding(picture vocabulary test), syntactic, semantic understanding(token test), expressive language or word definition(WISC-Ⅲ), rapid naming, phoneme deletion, digit span, word recall, and nonword repetition. The results were revealed as follows: 1. Word recogni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SLI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LI-E and mixed SLI. SLI-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ixed SLI. 2. In reading comprehension, SLI-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mixed SLI. 3-1. The word recognition of SLI-E shows high correlation to nonword repetition and digit span. In SLI-E's reading comprehension, correlation was revealed about picture understanding, syntactic understanding, expressive language, digit span and word recall. The regression analysis to each linguistic-cognitive processing variables revealed that nonword repetition variables, digit spa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ng variables of word recognition, and that picture word understand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ng variables of reading comprehension. 3-2. The word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mixed SLI had highest correlation to reading comprehension. But correlation with expressive language or word definition was not revealed significantly in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ord recall, phoneme deletion, syntactic understanding, and nonword repetition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ading variables in mixed SLI's word recognition ability. Additionally, syntactic understanding and phoneme deletion was significant predicting variable in mixed SLI's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reading characteristic of SLI-E and mixed SLI is different, therefore language intervention methods are adapted differently according to language deficit type. Based on the regression study, we could predict that word knowledge(picture word understanding) and phonological memory is important in SLI-E's reading. And we could predict that the cognitive and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y as phoneme deletion, word recall, and linguistic ability of syntactic understanding is preliminary factors in mixed SLI's read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