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진숙-
dc.contributor.author김수혜-
dc.creator김수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9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7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4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75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school uniforms, which are fit well, worn comfortably and express the traditional aesthetics of Korean clothing. Korean traditional clothing is getting ground for the use of active wear as well as formal wear such as wedding or holiday visiting. This is partly due to the adaptation of western clothing techniques into Korean style clothing for the purpose of practicality. The Korean style clothing with the adaptation is called ‘Practical Korean Clothing’. The developed school uniform could be regarded as a practical Korean school uniform.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follows:- 1.The first survey with 597 high school girls and boys of 5 high schools were carried out. The schools are using Korean style school uniforms. The survey was about satisfaction of the current designs, problems and design preferences of the Korean style high school uniforms. Girl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Korean style uniform than boys. Yet both girls and boys are nut too satisfied with the aesthetical and fashionable aspects. 2.The second survey was about design preferences about design features of Korean style school uniform. The design features were presented to the students as a design of 10 boy’s jackets, 6 boy’s pants, 12 girl’s jacket and 11 girl’s skirts. With the results of the second survey, the designs of Korean style school uniforms were developed. 3.In order to make the test garments, block bodice pattern for Korean style school uniform was developed. 4.Using the developed bodice block pattern, the test garments of 12 designs were made of wool. The 12 test designs were 3 boy’s jackets, 3 boy’s pants, 3 girl’s jackets and 3 girl’s skirts. 5.With the most preferred design features, school boy’s and girl’s Korean style school uniform designs were develop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were neck line opening and its finishing, AH and sleeve shape, embroidered traditional patterns and fastenings. Keep the wearing comfort, the whole design expressed the aesthetics of Korean Clothing.;본 연구의 목적은 남·여 고등학생에게 적합하고 활동적인 교복인 동시에 우리옷의 전통성에 청소년들의 미의식이 접목된 생활한복 교복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실제적인 생활한복 교복 만족도 및 문제점과 각 요소별 디자인 선호도 파악을 위하여 먼저 생활한복을 교복화 하고 있는 전국의 5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복 착용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구체적인 아이템별 디자인과 전통문양의 선호도 파악을 위하여 남·여 비율이 비슷한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아이템별 디자인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동작에 무리가 없이 신체에 맞음새가 좋은 상의 패턴 개발을 위해 생활한복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남·여 각각 두 종류의 상의원형을 제작하였고 동작 및 외관 착의평가를 통해 각 항목별 적절한 치수를 선정하고 이를 조합하여 새로운 연구원형을 개발하였다. 아이벰별 디자인 선호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남여 상하의 실험의류를 3 종류씩 선정하였고, 상의는 유의차 검증을 통해 그 적합성을 나타낸 상의 연구원형을 기본으로 하고, 하의는 서양구성법을 이용하여 패턴을 제작하였다. 또한 두 차례에 걸친 설문조사를 근거로 색상 및 문양을 적용하여 실물제작을 하였고 동작 및 외관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피험자와 검사자에게 동일 평가지로 디자인 선호도 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평가를 중심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실험의류를 각각 한 가지씩 선택하였으며, 이에 다른 실험의류의 우수한 항목들을 조합하고 부적합한 부위를 수정 보완하여 연구의류를 제작하였다. 첫째, 남자 상의는 실험의류2를 선정하여 목둘레 및 어깨길이를 수정하고 목판깃과 소매 부위에 배색을 하여 운문을 적용하였다. 또한 보다 손쉬운 탈착을 위해 스냅을 이용했으며 전통적인 장식적 효과로 매듭단추를 부착하였다. 둘째, 남자 하의는 실험의류2를 기본 형태로 하면서 허리의 여유량 확보를 위하여 허리둘레를 늘려주면서 턱을 사용하였고, 밑위가 길어 처지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뒤 밑위너비를 줄여주었다. 또한 발목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목에 고무줄을 삽입하고 대님의 너비를 넓혔으며, 운문을 적용함으로써 발목형태를 돋보이게 하였다. 셋째, 여자 상의는 실험의류A의 기본 치수 및 전체적인 실루엣은 그대로 이용하되 어깨 프린세스 라인과 더블 여밈으로 구성하였고, 둥근깃와 소매부위 배색에 운문으로 은은하게 문양을 적용하였다. 앞품이 벌어지지 않도록 앞목점을 높이고 어깨길이와 소매길이를 줄여 외관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넷째, 여자 하의는 실험의류B와 모든 부분에서 동일하게 구성하였고, 좀더 편안한 맞음새를 위하여 허리와 엉덩이둘레를 늘려주었다. 맞주름에 적용된 2개의 운문은 크기를 달리하면서 상·하로 배치하여 눈에 잘 띄이게 하였다. 제작된 연구의류는 기존의 최종 선택된 실험의류의 유의차 검증을 위해 동일한 조건에서 착의실험을 하였으며, 동작 적합성 및 외관평가에서 기존 실험의류보다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디자인 평가 또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남·여 고등학생의 신체에 적합하고 미적 가치관과 전통성이 함께 반영된 생활한복 교복을 개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xiii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내용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청소년기의 특성과 교복행동 = 3 B. 생활한복에 대한 고찰 = 7 C. 생활한복 교복에 관한 고찰 = 14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0 A. 고등학생의 생활한복 교복 착용실태 조사 = 22 B. 생활한복 교복 디자인 선호 조사 = 23 C. 생활한복 원형 제작 및 착의실험 = 23 D. 실험의류 설계 및 착의실험 = 47 E. 연구의류 개발 = 69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70 A. 고등학생의 생활한복 교복 착용실태 조사결과 = 70 B. 생활한복 교복 디자인 선호 조사결과 = 92 C. 생활한복 원형 제작 및 착의실험 결과 = 104 D. 실험의류 설계 및 착의실험 결과 = 144 E. 연구의류 개발 및 검증 = 198 Ⅴ. 결론 및 제언 = 226 A. 결론 = 226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228 참고문헌 = 229 Abstract = 232 부록 = 2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405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생활한복 교복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orean Style High School Uniform-
dc.creator.othernameKim, Su Hea-
dc.format.pagexiv, 2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