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기업내 웹기반 교육에서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에 관한 연구

Title
기업내 웹기반 교육에서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Trainee Engagement on Web-Based Training in Corporate Settings
Authors
孫奇映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지식과 정보가 기업경쟁력의 핵심적 원천으로 등장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기업 구성원들의 능력과 자질을 개발하기 위한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이 어느때 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기업구성원들의 교육훈련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써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웹기반 교육이며,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는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많은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교육의 많은 부분을 웹기반 교육으로 진행 중이거나 높은 관심속에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정부에서도 이러한 웹기반 교육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어 더욱더 웹기반 교육의 확대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그러나 웹기반 교육에 대한 늘어나는 관심과 기대와 더불어 이의 학습효과에 대한 의문이 또한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즉 웹기반 교육은 높은 자기통제적, 자기조절적 학습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육참가자 개인의 학습에 대한 관심과 몰입이 전제되지 않으면, 원하는 학습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학술적으로 미흡한 기업 내 웹기반 교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런 문제제기를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교육에 관한 여러 논의 중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2차에 걸친 측정과정과 분석을 거쳐 진행되었다. 우선 1차 분석은 웹기반 교육의 참가자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2차 분석에서는 참가자의 몰입이 실제 기업성과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고, 조직의 상황적 요인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업과 기업의 실무자들이 대처할 수 있는 바람직한 웹기반 교육훈련의 관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요인과 효과성 요인의 관계에 있어 교육훈련 참가자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을 통해, 웹기반 교육에 있어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을 중심으로 한 통합적인 학습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교육개발센터가 존재하여 자체적으로 웹기반 교육을 개발하고 운영중인 대기업 3사(H사, L사, S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육내용의 차이에 따른 여러 효과들을 통제하기 위하여, 경영일반교육을 받고 있는 참가자들로 대상자를 한정하였다. 종단적 연구를 위하여 1차, 2차에 걸쳐 설문지를 발송하였으며, 1차 설문의 경우 총 245부, 1차 설문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2차 설문의 경우는 총 129부를 회수하였고, 분석에 사용되기 어려운 설문지를 제외하고 1차 총 225부, 2차 총 121부의 설문지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 참가자 몰입의 선행요인으로 개인적 특성으로써 학습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을 선정하였고, 프로그램 특성으로써 내용적 요인으로 내용유용성을, 설계적 요인으로써 참가자 통제형 설계와 동기설계를 제시하였고, 연구결과 선행요인으로 제시된 다섯 개의 변수 모두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에 따른 교육훈련의 효과성으로는 전이성과, 학습성과, 교육훈련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참가자의 몰입도는 교육훈련의 효과성 모두에 긍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도와 교육훈련효과성과의 관계를 조직의 상황적 요인이 조절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직의 상황적 요인으로는 상사의 지원과 지속적 학습 분위기를 제시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지속적 학습 분위기가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도와 교육훈련의 전이성과에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독립변수와 교육훈련 효과성 변수와의 관계에 있어 참가자 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학습 자기효능감, 참가자 통제형 설계, 동기설계와 전이성과와의 관계에 있어 참가자 몰입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와 성취점수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참가자의 몰입이 매개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개인적 특성과 프로그램의 특성은 모두 참가자의 몰입을 통해 교육훈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는 이론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우선 이론적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웹기반 교육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미흡한 국내의 상황에서 웹기반 교육이 가장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있다고 판단되는 국내 대기업 3사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둘째, 웹기반 교육에 있어 가장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참가자 개인에 초점을 두고, 이들의 학습과정을 분석적으로 연구함으로써 교육훈련 참가자들의 몰입의 관계변수들을 밝혔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셋째, 2차에 걸친 종단적 측정을 통해 측정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1차 분석에서는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과 프로그램의 특성을 밝히고 있으며, 2차 분석에서는 이러한 훈련 참가자의 학습과정에 대한 몰입이 실제 전이성과와 학업성취도 및 만족과 연계되어 있음을 검증하였고, 이 과정에서 조절변수로써의 상황적 요인의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참가자 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을 통해 웹기반 교육훈련의 학습과정과 전이에 관한 통합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넷째, 교육훈련 참가자들의 몰입과 교육훈련 효과성이 조직의 상황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실무적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웹기반 교육의 실질적인 관리과정에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무자들이 통제할 수 있는 핵심적 요인인 프로그램의 설계적 요인이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둘째,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과 교육훈련 효과성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의 상황적 요인을 분석함을 통해 조직의 지속적 학습문화의 개발과 정착의 필요성에 대하여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법을 활용하여, 개인의 주관적인 지각정도만을 판단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참가자들의 태도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의 설계적 측면과 전이성과 등이 변수로 포함되어있는바,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기준으로 측정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웹기반 교육의 경우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참가자들을 독려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운영자의 역할이 강조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고려가 없었던 바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 참가자의 몰입에 있어 프로그램의 분야와 내용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육 분야 중 경영일반분야의 교육을 받고 있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을 한정시켰다.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엄격한 프로그램에 대한 통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Despite the active interest and proliferation of Web-based training, the effectiveness of Web-based training is continuously put in question. Because trainees and tutors are separated in time and space, as opposed to face-to-face training, Web-based training relies heavily on the trainee's self-direction. Due to that particularity of Web-based training, it is bound to fail through demotivation or defection if trainees do not exhibit strong motivation and engagement. Therefore, in order to reap the benefits of Web-based training and maximize its effectiveness, the learning processes of the trainees must be clarified and their behaviour analyzed, so that the training program can be planned and designed according to the various elements who have the most effect on the essential self-direction factor of the trainees, which is their engagement. This study focusses on the trainees in Web-based training and analyzes the critical factors involved in their learning processes in order to clarify the factors that lead to the maximiz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programs. Concretely, the study has the following objectives. One, to examine prior studies of Web-based training and highlight the effectiveness issues accompanying their application in corporate settings. Two, to focus on the learning processes of trainees in Web-based training,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ainee's engagement factor, to develop a structured model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Web-based training. Three, to study the effect of program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to extract concrete information to be used by program developers and HRD departments in developing and putting in practice Web-based trainings. Four, by analyzing the effect of trainee engagement to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and introducing environmental factors that moderate this relationship, a number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e proposed that will lead to the maximization of a training's outcomes. The model in this study is as follows ◁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Three major Korean corporations that are known to practice systematic Web-based training have been selected and employees participating in Web-based training at the time of the study have been targeted for a two-step questionnaire. The first questionnaire was submitted in the midst of the training, and the second one one month after the end of the training. 1800 questionnaires have been sent out between June and September 2004 via e-mail. 225 useful returns for the first steps were received, and 121 returns covering the second ste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One,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have been proposed as initial factors for trainee engagement and as program characteristics: for content characteristics, content utility; for design characteristics, learner-controlled design and motivational design. All five factors have been found to have an effect on trainee engagement. Two, usefulness percepti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have been proposed as outcome variables of trainee engagement. The analysis has shown that trainee engagement has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ll outcome variables. Three, the organization's environmental variables have been introduced as moderating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engagement and training outcomes. Supervisor support and continuous learning culture have been introduced as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learning culture factor has been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e engagement and perceived usefulness of the training. Four, the mediating effect of trainee engagement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outcome variables has been analyzed. As a result, trainee engagement has been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one hand, and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Also, the effect of learning self-efficacy, learner-controlled design and motivational design on usefulness perception was found to be mediated by trainee engagement. However, trainee engagement was not shown to be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achiev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