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성민-
dc.creator손성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6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3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631-
dc.description.abstract국제화와 정보화의 시대에 세계 공용어로서의 영어는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것이되었다. 영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목적은 영어로써 유창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 중요한 영어 발음 교육은 오랜 동안 교실에서 소홀히 다루어져왔다. 따라서 영어발음의 효과적인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발음 지도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현대의 첨단 기술들은 영어 교육 방식에도 막대한 영향을 주기 시작하고있다. 교실에서 교재에만 초점을 맞춘 전통적 교수법들은 교실 밖에서 많은 멀티미디어를 접하고 있는 학생들의 관심을 더 이상 끌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음성분석 프로그램과 음성게시판을 사용한 학습자들을 비교하여 어느 것이 더 발음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발음 지도도구들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연구자는 40명의 영어교육 전공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12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발음에 대한 강좌를 수강하는 1학년생들로 음성분석 프로그램과 음성게시판을 사용하는 두 집단으로 각각 나뉘어졌다. 이들은 교실 안팎에서 발음교육 도구들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게시판의 계획된 대화문들을 연습하도록 하였다. 이번 연구의 기초 자료들은 음성분석 프로그램이나 음성게시판을 사용하기 전 참가자들에게 실시한 사전평가나 설문조사, 도구들을 사용하고 난 후에 실시된 사후평가로부터 수집되었다. 평가는 ‘진단 단락 읽기’와 ‘자연스런 상황에서 말하기’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고 이들은 학생들이 정확한 발음을 선택하는 능력을 계획되거나 계획되지 않은 상황들에서 모두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면담은 사전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세 명과 낮은 점수를 받은 세 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학습자들의 초분절음 발음에 대한 분석은 음성분석 도구를 사용하여 그 주파수와 지속시간 등을 측정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두 가지 도구가 학생들의 발음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유익했다는 점, 그리고 음성분석 프로그램 사용집단은 음성게시판을 사용한 집단보다 ‘억양’, ‘강세’, ‘이해가능성’ 면에서 ‘진단 단락 읽기’나 ‘자연스런 상황에서 말하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결과이다.이 사실은 학습자들이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배운 것을 반복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가진 것이 더 유용했다는 것을 반영한다. 두 번째로, 음성분석 프로그램이 음성게시판보다 ‘자기수정’. ‘자기감시’와 같은 전략의 향상에 더 긍정적이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것은 발음에 문제가 있는 학습자가 파형과 억양곡선을 보면서 스스로 발음 오류를 감시하고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음성분석 프로그램은 음성게시판보다 ‘흥미도’, ‘자신감’, ‘발음인식’과 같은 정의적 영역에서도 더욱 긍정적인 향상을 가져왔다. 게다가 음성분석 프로그램은 영어 발음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켜 더 대화하려는 동기도 촉발시켰다. 세 번째 결과로서, 학생들의 발음파형이나 억양곡선을 그 주파수나 지속시간을 측정하여 원어민의 것과 비교하여 분석할 때, 학습자들의 발음파형과 억양곡선이 실험 후에 향상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상위 학습자들은 억양에서 하위 학습자들보다 많은 향상을 보였다. 이것은 상위 학습자가 멀티미디어 사용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음성분석 프로그램과 음성게시판의 두 가지 도구를 사용한 발음연습 방법은 일상적으로 접하는 상황과는 다르지만 모두 학생들의 발음연습에 도움이 되었다. 두 도구들은 학생들이 연습 수준의 발음을 준비하는데 유용했다. 기억해야 할 것은 이들 도구가 실제 상황에서의 의사소통을 위해서 적용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단지 목표어를 EFL 틀 안에서 사용할 기회의 부족을 보충하는 것이다.교실에서의 전통적 지도법과 결합된다면, 이 도구들은 발음이 심각하게 화석화되어 말하는 습관을 수정하고 음조를 조율하여 그들의 발화를 다른 영어화자에게 더 이해시키는 특별한 방법이 필요한 학습자들에게 열쇠를 제공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결론이 발음교육에 대한 최선의 노력을 반영하고 있다고는 보지 않는다. 오히려, 앞으로의 연구에 있어서는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한 다양한 교육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According to social and educational needs, the importance of English speaking has been emphasized. The purpose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i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mmunicate fluently in English. English pronunciation teaching has been ignored in many English classrooms.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English pronunciation and apply it to the method of instructing pronunciation. Modern high-technology is beginning to have an overwhelming impact on English language teaching. Traditional methodologies, focused on textbooks in the classroom, are becoming short of attracting attention of student who are being exposed to the multimedia outside the classroom. The speech analysis tool has panes that shows waveform, spectrogram, pitch curve and a time axis interoperably. Meaning the tool co-exist in harmony with other panes at the same time. The online voice board is open source and the messages can be posted on board by voice and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tudents using the speech analysis program and those using online voice boards and to prove which is more useful to improve students' pronunciation skills. To study the effect of tools in teaching pronunciation, the researcher carried out an experiment on 40 female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at a university for twelve weeks. These students were freshmen taking pronunciation course.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used the speech analysis program and the other used online voice boards. Both groups were supposed to use the tools either in class or outside of class and practiced planned dialogues on the boards. The data on which this study is based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 pre-test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before using the speech analysis program and online voice boards and a post-test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after using the tools. The tests consist of two parts: a diagnostic passage and a free speech sample. These were designed to measure the students' abilities to choose accurate pronunciation for planned and unplanned situation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students selected from three high-scoring and three low-scoring learners on the pre-test. An analysis of learners' suprasegmental pronunciation was carried out by measuring frequency and duration using the speech analysis too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ools benefit enhancing students' pronunciation ability. However, the speech analysis program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 than the online voice board group in intonation, stress and comprehensibility in both the daiagnostic passage and free speech sample. This reflects that it is more useful for learners to have many chances to articulate what they have learned by using the speech analysis program. Second, the speech analysis program yielded more positive improvement than the online voice board on strategies such as in self-correcting and self-monitoring. It shows that learners who have pronunciation problems can correct and monitor pronunciation error by visualizing the waveform and pitch contour by themselves. Also speech analysis program yielded more positive improvement than online voice board on affective aspects in certain areas like interests, confidence and recognition of pronunciation. Moreover, it reduced the burdens of pronouncing English, and thus motivated speaking. Third, analyzing the learner's waveform and pitch contour, by measuring the frequency and duration compared to the native speaker's value, the speaker's waveform and pitch contour were improved after the experiment. Especially the high scoring learners showed more improvement in intonation than low scoring learners. This is because in practicing the high scoring learners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using multimedia. In conclusion, the method of pronunciation practice by both tools are rather different from the procedure that we encounter in a real situation, but using the speech analysis program and online voice board are both helpful for students to practice pronunciation. Both tools are useful for students to prepare their pronunciation on practice level.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these tools can not substitute communication in a real environment. These are only supplements for the lack of opportunities to use the target language in an EFL setting. When combined with traditional classroom instruction, they may provide the key for working with learners whose pronunciations are severely fossilized and thus need special assistance in how to adjust their speech habits and fine-tune their vocal apparatus to make their speech more intelligible to other English speakers. However, we do not know if these conclusions represent the best method of pronunciation teaching, but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to utilize a speech analysis program more effectively in future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 개요 = ⅸ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1. 초분절음 지도의 중요성 = 4 2. 음성분석 프로그램의 기본 원리와 발음 지도 = 9 3. 선행 연구 = 11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6 1. 연구 질문 = 16 2. 연구 대상 = 17 3. 연구 도구 = 17 4. 연구 절차 = 28 5. 자료 분석 = 31 6. 연구의 제한점 = 3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3 1. 음성분석 프로그램과 음성게시판 활용이 발음 향상에 미치는 영향 비교 = 33 2. 음성분석 프로그램과 음성게시판 활용에 따른 정의적 측면 변화 비교 = 39 3.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자들의 발음 질적 분석 = 45 4.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자들의 개방형 설문에 대한 응답 분석 = 66 Ⅴ. 결론 및 제언 = 69 참고 문헌 = 72 부록 = 77 Abstract = 83 Acknowledgements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934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음성분석 프로그램과 음성게시판의 사용이 한국 대학생 학습자들의 발음 향상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mpacts of Speech Analysis Program and Online Voice Board on English Pronunciation and the Emotional Aspects of Korean University EFL Students-
dc.creator.othernameSohn, Sung Min-
dc.format.pageⅹ,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