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부모의 정서표현 및 유아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Title
부모의 정서표현 및 유아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uthors
한영민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정애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와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정서표현 및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부모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하며,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유아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부모의 정서표현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4. 유아의자기조절능력은부모의정서표현수용태도와어떠한관계가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세, 만 5세, 만 6세 유아 522명과 그들의 부모 어머니와 아버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水野 利惠 & 本城 秀治(1998)가 개발하고 연구자가 번안, 수정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모의 정서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Halberstadt(1995)의 정서표현척도(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Saarni(1990)가개발하고이지선(2002)이 번안하고 수정한 PACES(Parent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를 사용하였다. 연령 및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문항의 일부를 수정한 후 사용하였다. 자료는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ronbach‘s α ,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scheffe의 사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통해 분석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전체적인 자기조절능력은 성별과 연령간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정서표현은 부모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에서 아버지의 경우 유아의 연령에 따른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하위영역 중 행복에 대한 아버지의 정서 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The study has the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a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Specific subjects of study by this are as fallows :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s a function of gender and ag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function of parent's gender? A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parant'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function of children's gender ans age? 3. Is any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4.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22 triads as children aged 4-6, and their mothers, and father. Children's self-regulation was assessed by teacher rating scale on children's self-regulation developed by 水野 利惠 & 本城 秀治(1998).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assessed by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 which is self-report scale developed by Halberstadt(1995). Parent'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assessed by PACES(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which is self-report scale developed by Saarni(1990).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Cronbach's a, two-way ANOVAs, Pearson's, correlation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a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s a function of gender and ag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 of parent's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function of parent's gender. In father's cas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parent'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function of childres's gender and age. 3.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ach of mother's and fa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4.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only in fa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on happy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