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5 Download: 0

유아에 대한 교사의 호감도, 교사 행동에 대한 유아의 지각,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간의 관계

Title
유아에 대한 교사의 호감도, 교사 행동에 대한 유아의 지각,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 fo teacher's favorable feeling, child's perception and teacher' attribution
Authors
김민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호감도, 교사 행동에 대한 유아 지각,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에 대해 알아보고 교사호감도, 교사행동에 대한 유아지각, 유아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 간에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에 대한 교사 호감도,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 교사 행동에 대한 유아지각은 어떠한가? 1-1. 교사 호감도는 어떠한가? 1-2. 유아 지각은 어떠한가? 1-3. 교사 귀인은 어떠한가? 2. 유아에 대한 교사 호감도, 교사 행동을 대한 유아지각,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교사 호감도와 유아지각사이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교사 귀인과 유아지각사이의 관계는 어떠한가? 2-3 교사 호감도와 교사 귀인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5개의 유치원의 만5세반 10개 학급에 재원중인 유아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교사는 각반의 담임을 맡고 있는 10명이며 유아는 총 244명으로 남아 138명, 여아 106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교사 호감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는 전체 유아를 대상으로 교사의 호감 정도를 알아보는 체크리스트와 교사가 호감을 가지고 있는 유아와 호감을 가지고 있지 않은 유아의 이름을 적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교사 행동에 대한 유아 지각을 알아보기 위해서 유아에게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의 호감도를 묻는 질문지를 통해 선택된 호감을 가지는 유아와 호감을 가지고 있지 않은 유아를 대상(호감아 50명, 비호감아, 50명)으로 하여 교사에게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의 귀인 성향을 알아보는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유아에 대한 교사 호감도, 교사 행동에 대한 유아 지각,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았다. 또한 교사 호감도, 교사 귀인, 유아지각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에 대한 교사 호감도, 교사 행동에 대한 유아 지각,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아에 대한 교사 호감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유아의 신체운동, 인지, 사회, 정서, 언어, 외모가 교사의 호감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유아는 교사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하였는데 유아는 교사의 행동을 반응적이라고 지각하는 동시에 애정적, 참여적, 수용적이라고도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 성향을 보면 교사는 유아의 부정 행동은 내적, 안정성, 통제 불가 즉 부정적으로 귀인하고 있었으며 긍정 행동에 대해서는 내적, 안정적 즉 긍정으로 귀인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유아에 대한 교사 호감도, 교사 행동에 대한 유아 지각,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유아에 대한 교사 호감도와 교사 행동에 대한 유아 지각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가 유아에게 호감을 가질수록 유아는 교사 행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하였으며 유아가 교사 행동을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교사는 유아의 신체운동, 사회, 언어, 정서에 대한 호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인지와 외모에 대한 교사 호감도는 교사 행동에 대한 유아 지각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과 교사 행동에 대한 유아지각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가 유아의 긍정 행동에 대해 긍정으로 귀인할수록 유아는 교사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보았으며 교사가 유아의 긍정 행동에 대해 부정으로 귀인할수록 유아는 교사의 행동을 부정적으로 보았다. 유아에 대한 교사 호감도와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 귀인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가 유아에 대해 호감을 가질수록 교사는 유아의 긍정, 부정 행동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귀인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eacher's favorable feeling on children,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s behavior and child's perception on teacher's behavior, and examine the relations among favorable feeling on children,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s behavior and child's perception on teacher's behavior. The study task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eacher's favorable feeling on children,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s behavior and child's perception on teacher's behavior 1-1. What is the teacher's favorable feeling on children? 1-2. What is child's perception on teacher's behavior? 1-3. What is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ren' behavior? 2. Relations among teacher's favorable feeling, teacher's attribution and child's perception? 2-1.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favorable feeling and child's perception? 2-2.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attribution and child's perception? 2-3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favorable feeling and teacher'sattribu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argeting 10 classes of 5-year-old children and the teachers in charge of those classes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number of children was 244. Among them, boys were 138 and girls were 106. To attain the goal of this study, teacher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 in which they were requested to write the names of children on whom they had favorable feeling, and no favorable feeling. Also, the teachers were surveyed through checklist to identify the degree of teacher's favorable feeling on children among the entire target children. Individual interview was conducted to children. Through the questionnaire in which teachers were requested to write the names of children on whom they had favorable feeling and non favorable feeling, five favored children and fity non-favored children were selected Also, teachers were asked to fill the questionnaire to identify teacher's attribution tendency on children's behavior with these favored and non-favored children.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measured to find out general trend on teacher's favorable feeling on children,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s behavior and child's perception on teacher's behavior in terms of data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 among factors by sub-domains of teacher's favorable feeling, teacher's attribution and child's percep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was conducted. Also,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relations among teacher's favorable feeling, teacher's attribution and child's perception.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eacher's favorable feeling on children was high. In terms of relations in the sub-domains, significant relations were found among physical movement, perception, sociability, emotion, language and appearance. Namely, teacher's favorable feeling had correlation with child's development area and appearanc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rong behavior of child, it was stable and uncontrollable in terms of inner investigation, while a trend of instability was shown in the external investigation. As for child's perception on teacher's behavior, it was shown that children had positive perception on teacher's behavior in general. As a result of relations among sub-domains of child's perception, the significant relations were indicated among sub-domains. It was shown that children perceived teacher's behavior as responsive as well as affectionate, participative and acceptable. As a result of examining teacher's favorable feeling and teacher's attribution, teachers tended to attribute positively as they had favorable feeling on children in general.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eacher's attribution trend on the behaviors of favored and non-favored children. There was a tendency to attribute negatively in terms of non-favored children's behavior, while there was a tendency to attribute positively for behavior of favored childre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favorable feeling and child's perception, as a teacher had favorable feeling on a child, the child perceived teacher's behavior as responsive, participative and acceptable. As a child perceived teacher's behavior positively, it was shown that the teacher had favorable feeling on the physical movement, sociability, language and emotion of the chil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s behavior and child's perception on teacher's behavior, children saw teacher's behavior as affectionate as the teacher positively attributed children's behavior. As teachers attributed children's positive behavior negatively, children regarded teacher's behavior as non-accepta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