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준환-
dc.contributor.author최용미-
dc.creator최용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4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3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1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윌리엄스(William Carlos Williams, 1883-1963)의 시학이 내포하고 있는 “불일치”(dissonance)의 요소가 미국의 문화 정체성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그의 시학이 지닌 미학적 의미와 사회 문화적 의미를 통합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기존의 윌리엄스 비평은 “지역성”과 “접촉”의 시학을 바탕으로 “관념이 아닌 사물로”라는 시인의 원칙이 그대로 실현되었다고 간주함으로써 실제 창작의 과정에서 윌리엄스가 직면한 딜레마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었다. 윌리엄스는 기본적으로 지역성이야말로 진정한 보편성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하고 감각적 경험과의 “접촉”이 글쓰기의 필수적인 토대임을 강조한다. 그러나 그는 또한 상상력의 추상적 구성에 의해 자신의 작품이 현실과 구별되는 정체성을 확보할 것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그의 시학은 현실과의 접촉과 예술적 완성을 위한 분리라는 역설적 요구가 발생시키는 불일치의 요소를 내포하게 된다. 『미국의 기질』(In the American Grain), 『봄과 모든 것』(Spring and All), 그리고 『패터슨』(Paterson)에서 윌리엄스는 독자적인 미국의 문화 정체성 및 시적 정체성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는 북미 유럽 중심적 모델에 의거한 단일한 역사적 관점과 관습적인 예술적 관행을 해체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봄과 모든 것』, 장시 『패터슨』에서 언어와 사물, 예술적 디자인과 현실 사이의 불일치가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윌리엄스는 『패터슨』에서 글쓰기의 딜레마로 다가오는 불일치를 끊임없는 변화와 새로운 발견의 동력으로 수용하게 된다. 그 결과 그는 자신의 형식을 하나의 전체로 완성해야 한다는 부담감에서 벗어나 현실의 복수성에 대해 텍스트를 열어두게 된다. 이는 『패터슨』을 통해 구현하고자 한 미국의 문화정체성 역시 단일한 정의로 고정되는 대신에 커다란 질서 속에서 변화하는 상대성을 포용할 수 있는 열린 개념을 지향해야 함을 시사하게 된다. Ⅱ 장은 윌리엄스의 지역성과 접촉의 시학을 살펴본다. 그의 지역성에 대한 강조는 단순히 구체적이고 즉물적인 묘사를 위한 것이 아니라 유럽과 구별되는 미국의 독자적 문화 정체성을 구축할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는 미국이 문화적으로 유럽의 식민지 상태로 있는 것은 초기 정착민들이 신대륙과의 첫 만남에서 구체적인 지역적 맥락에 맞는 언어를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그는 자신의 텍스트를 미국어의 발견을 통해 고유한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할 수 있는 미학적 장으로 인식한다. 『미국의 기질』은 유럽의 신화에 의해 가려진 미국 역사를 새로 쓰는 수정주의적 기획이다. 윌리엄스는 이 작품에서 단일한 역사적 관점을 해체하고 공적 역사에 의해 억압되었거나 침묵당했던 다양한 목소리들을 복원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는 자신의 텍스트에서 역사의 다양한 시작점들과 접촉할 수 있는 토대 구축의 작업을 실천한다. Ⅲ 장은 시와 산문의 혼용을 보여주는 실험적 시집 『봄과 모든 것』에 나타나는 불일치의 요소를 살펴본다. 이 시집의 산문 부분에서 윌리엄스는 관습적 예술로부터 자신의 시를 해방시키기 위한 대담한 상상력 이론을 펼친다. 상상력은 현실과의 접촉에 기반을 두면서도 또한 그것과 분리된 새로운 예술적 질서인 “디자인”의 창조를 가능하게 해준다. 그러나 실제 시 창작에 있어서는 그러한 예술적 디자인이 항상 수월하게 성취되지 않는다는 점이 엿보인다. 시집 안에는 상상력에 의한 시적 구성에 대한 낙관을 보여주는 시들도 있지만, 그에 대한 불안과 회의를 보여주는 시들 또한 공존한다. 『봄과 모든 것』은 이처럼 시인의 원칙과 실천 사이의 괴리 및 상충되는 요소들 간의 긴장으로 충만한 이질적 텍스트로서 『패터슨』의 형식을 예고한다. Ⅳ 장은『패터슨』에 나타난 불일치를 살펴보고, 그것이 미국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지니는 의미를 고찰한다. 『패터슨』은 시인의 언어와 형식을 통해서 미국의 현실을 새로운 질서로 끌어올리려는 서사적 시도이다. 윌리엄스는 시와 산문을 꼴라쥬 텍스트 안에서 병치시키는 방식으로 이들을 하나로 통합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시와 산문 사이의 불일치는 시인 자신이 설정한 전체적 상징체계를 반복적으로 전복하고 해체시킨다. 이 과정에서 그는 처음에 의도한 통합, 즉 결합의 형식을 얻는 데 실패하지만 현실의 다양성에 대해 텍스트를 열어두는 데 성공한다. 구성과 해체가 반복되는 텍스트의 미학은 윌리엄스가 자신의 텍스트를 통해 구현하고자 한 미국의 정체성 또한 최종적 정의로 고정되거나 통합될 수 없다는 점을 함축한다. 결과적으로 『패터슨』의 미학은 다문화적 욕구와 통합에의 필요성 사이의 갈등이 여전히 진행 중인 미국 사회에 상상력에 의해 활성화된 끊임없는 인식론적 수정과 도덕적 관용의 필요성을 인식시킨다.;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William Carlos Williams’ poetics of “dissonance” and its relation to American cultural identity. Previous readings of Williams’ poetry have focused on his poetics of “contact,” “locality” and imagistic description of “things,” with the result that they ignore his dilemma in between “no ideas but in things” and autonomy of his artistic design. Though Williams emphasizes “locality” and “contact” as the basis of universality, he also attempts to attain artistic autonomy of his art works separated from reality through imagination. Therefore, his poetics basically contains the potentiality of dissonance generated by the paradoxical demands, that is, contact with reality and separation from it. In In the American Grain, Spring and All and Paterson, Williams attempts to reshape the cultural identity of America and the poetic identity of his texts. He aims to overcome the single historical perspective and artistic conventions based on Anglo-European models. In this process, he faces with the dissonance between language or artistic design and things or reality. This dissonance appears implicitly in Spring and All, and explicitly in Paterson. But Williams comes to accept the dissonance in Paterson as dynamics of incessant writing and new discovery as well as the dilemma of his writing in Paterson. As a result, he frees himself from the burden of making Paterson a closed whole to which each part is forced to belong. For Williams, opening up his text towards the plurality of reality is the opening up of monological cultural identity of America towards it multiple cultural identities. Chapter Ⅱ examines Williams’ poetics of “locality” and “contact.” Williams emphasizes the locality and contact not simply for depicting things as concrete images, but also for constructing an independent cultural identity of America distinguished from that of Europe. According to Williams, the cultural colonialism of America originates from early settlers’ failure to discover new language proper to the specific local context in their first encounter with the New World. He considers his own text as an aesthetic field where he can create distinctive cultural identity through the discovery of new American language. In the American Grain is Williams’ revisionary project to re-write American history which has been veiled by European myths. Here, Williams aims to deconstruct a single historical perspective and to include multiple voices which have been repressed or silenced by the tyranny of History. In this way, he tries to re-construct the ground for “contact” with various beginnings of American identity in his own text. Chapter Ⅲ examines the “dissonance” implied in Spring and All, an experimental work composed of poetry and prose. Williams develops an audacious theory of “imagination” in the prose section to liberate his poetry from conventional art. Imagination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new order or “design,” which is not only based on contact with reality but also detached from it as well. But Williams’ artistic design is not consistently achieved in his poetic practice. Some poems show his success in the poetic composition by imagination, but others reveal his doubt and anxiety about it. Therefore, Spring and All is a heterogeneous text filled with tensions between the two contradictory elements, which anticipates the form of Paterson. Chapter Ⅳ explores the “dissonance” in Paterson and examines its relation to American cultural identity. Paterson is an epic attempt to lift American local realities to a new cultural order by the poet’s language and form. Williams tries to synthesize the abstract form and reality by juxtaposing poetry and prose in various forms of collage. But the dissonance between poetry and prose repeatedly subverts and decomposes the symbolic system imposed by the poet himself. As a result, he fails to achieve the synthesis he intended, but succeeds in opening up his text toward the multiplicity of reality through the process of his writing. The textual aesthetics of Paterson repeating composition and decomposition implies that the American cultural identity also cannot be fixed or unified in a final definition. The aesthetics of Paterson makes readers aware of the necessity of constant self-revisioning and its consequent tolerance of diversity activated by imagination in America where there are still contradictions between multicultural desires and the need for a cultural un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Ⅱ. 지역성과 접촉의 시학 = 19 A. 시적 토대로서의 미국의 발견 = 19 B. 시작으로서의 역사 새로 쓰기: 『미국의 기질』 = 36 Ⅲ. 텍스트를 통한 정체성의 확보: 『봄과 모든 것』 = 59 A. 상상력에 의한 해방과 구성 = 59 B. 문화적 위기와 상상력의 곤경 = 83 Ⅳ. 『패터슨』에 나타난 불일치의 시학 = 106 A. 결합의 형식에 대한 탐색 = 115 B. 불일치의 수용과 확산의 가능성 = 165 Ⅴ. 결론 = 191 참고문헌 = 196 Abstract = 2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568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의 불일치의 시학과 미국의 문화 정체성-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William Carlos Williams’ Poetics of Dissonance and American Cultural Identity-
dc.creator.othernameChoi, Yong-Mi-
dc.format.pageⅷ, 20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