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8 Download: 0

사이버대학의 질관리를 위한 핵심영역과 평가항목 규명

Title
사이버대학의 질관리를 위한 핵심영역과 평가항목 규명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riteria for Assuring Quality in Cyber Universities
Authors
이주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주영주
Abstract
인터넷과 접목된 현대사회의 교육은 교육의 대중화에 크게 공헌하였지만,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상의 교육의 질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어왔다. 국내에서도 국가차원의 정보화 지원정책과 맞물려 활성화된 이러닝의 붐은 사이버대학의 출현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으며, 2004년 현재 17개의 사이버대학이 학위수여의 정식 인가를 받아 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사이버대학의 사회적 인식은 긍정적이라 할 수 없으며, 운영 중인 17개 대학도 낮은 등록률 등으로 현실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사이버대학의 질에 대한 불신이 있음 또한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일 것이다. 따라서, 사이버대학이 교육기회의 확대에 기여하고, 양질의 교육이 활성화되는 교육의 장으로서의 위상을 갖추어, 교육 현장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질이 확보되어야 함이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인가 기준에 있어서도 질관리를 위해 어떠한 구체적인 절차나 조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국내 사이버대학의 현실을 감안할 때, 사이버대학의 질을 향상시키고 보증하기 위한 현실적 노력이 반드시 수반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도 이와 관련된 여러 연구가 시행되어왔으나, 기존의 연구들은 국내 상황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보다는 관련된 국외 연구 고찰을 통한 이론적 연구로서 실증적인 수준으로까지 발전하지는 못 하였다는 데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이 교육의 질을 접근함에 있어서, 중요시 하는 관점에 따라 상이한 결론으로 이끌어지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이해관계자들의 통합적 관점을 제시해주지는 못 하고 있었으며, 연구의 주제도 질관리의 전체적인 체제나 모형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질관리 체제 개발을 위해 가장 기초적 작업이 될 수 있는 질관리의 준거 도출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의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 국내 사이버대학의 질관리 체제 개발을 위해 지침이 될 수 있는 준거 개발을 위한 실증적 차원의 연구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또한, 준거 설정에 있어, 국내 사이버대학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현장 관련 전문가들을 연구대상에 다수 포함시켰으며, 모든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통합해, 어느 한편에 치우치지 않는 기준점을 찾는 원칙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구체적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1. 사이버대학의 질관리를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핵심영역은 무엇인가? 2. 사이버대학의 질관리를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핵심영역에서의 세부 평가항목은 무엇인가? 3. 사이버대학 질관리를 위한 핵심영역과 세부 평가항목 규명에 있어 관련된 이해관계자간의 어떠한 관점 차이가 존재하는가? 4. 사이버대학 질관리의 핵심영역과 세부 평가항목의 중요도와 현재적용수준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들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3단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 연구는 정해지지 않은 미래의 준거 도출 등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델파이 연구를 시행하여, 사이버대학의 질관리를 위한 핵심영역과 이에 대한 세부 항목들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였다. 2단계 연구는, 이해관계자의 관점 차이를 극복하고, 국내사이버대학의 현실 여건을 반영하기 위해 사이버대학의 현장 운영자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로부터 산출된 결과를 재검증하였다. 아울러, 국내사이버대학의 현재 질관리 수준이 점검되었다. 마지막으로 3단계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적 특성을 지닌 사이버교육에서 학습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기존 연구에서는 도외시되었던 학습자의 관점을 반영하기 위해, 학습자를 대상으로 결과의 타당성을 재검증하였다. 이로서, 1단계에서 3단계 연구과정에 참여한 상이한 세 집단간의 관점 차이가 있는가가 검토되었으며, 세 집단간에 공통적으로 중요시되는 질관리의 핵심영역과 세부 평가항목이 채택되었다. 결과적으로, 전문가 집단과 운영자 집단, 학습자 집단의 합의를 이룬 사이버대학 질관리의 7개 핵심영역과 이에 대한 하위범주로서의 세부 평가항목 70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의 질관리를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핵심영역으로는 총 7개영역이 집단간 합의를 이룬 질관리의 핵심영역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핵심영역은 (1)기관의 지원 및 행정, 조직구성 영역, (2)시스템 영역, (3) 교수설계 및 개발 영역, (4)인적자원 영역, (5)학습자 및 교수자 지원 영역, (6)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내용 영역, (7)평가 및 사정 영역이 선정되었다. 전문가 집단과 운영자 집단을 대상으로 핵심영역들에 대한 가중치를 조사해 본 결과, 교수설계 및 개발 영역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내용이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최우선시되었으며, 다음으로는 시스템 영역, 기관의 지원 및 행정, 조직구성 영역, 인적자원 영역, 학습자 및 교수자 지원 영역, 평가 및 사정 영역 순으로 우선 순위가 서열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이버대학의 질관리를 위한 핵심영역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질관리의 핵심에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활동이 있고, 이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설계 및 개발 영역이 필수적으로 뒷받침되고 있다. 또한, 성공적인 교육을 이끌어내기 위해, 기반 인프라와 각종 지원체제가 기본 요소들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영역으로는 시스템의 인프라에 해당되는 역할을 하고, 학습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학습자 지원, 교수자 지원, 그리고, 사이버대학에 관련된 양질의 인적 자원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포괄적인 차원에서 이러한 인적자원과 교수-학습 과정을 운영해 나가는 운영체제가 각 영역들의 활성화를 위한 근간이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기관의 지원이나 행정, 조직구성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영역 들에 대한 평가가 총체적이고 순환적인 과정에서 시행되어, 각 영역들에 대해 영향을 미칠 때, 이상적인 질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사이버대학의 질관리를 위한 세부 평가항목은 첫번째 연구문제의 결과로 도출된 7개 핵심영역의 구체적인 평가항목들로 총 70개의 세부평가항목들이 규명되었다. 이를 보다 세분화하여 간단히 정리해보면, (1)기관의 지원 및 행정, 조직구성 영역의 세부 평가항목으로는 대학의 비전 설정 및 발전전략, 재정지원 등의 기관 차원의 지원과 행정에 관련된 요소들과, 조직구성체계 등 조직 구성에 관련된 요소들로 구성된 총 10개 세부 평가항목이 선정되었으며, 10개 항목의 총 평균값은 4.00이었다. (2)시스템 영역의 평가항목으로는 시스템의 안정성, 시스템의 속도 등 시스템 전반에 걸친 13개의 평가항목이 선정되었고, 13개 항목의 총 평균값은 4.22였다. (3)교수설계 및 개발 영역의 평가항목으로는 교수설계 전략의 적절성, 매체선택의 적합성 등으로 구성된 10개 항목이 최종 선정되었고, 이들의 총 평균값은 4.00이었다. (4)인적자원 영역의 평가항목으로는 양질의 교수자원 확보, 운영인력 보유 등으로 구성된 8개 항목이 선정되었고, 이들의 총 평균값은 4.26이었다. (5)학습자 지원 및 교수자 지원 영역에는 커뮤너티 지원, 학습환경 및 자원 제공 등으로 구성된 학습자 지원의 평가항목들과 보조인력 지원, 연구개발비 지원 등으로 구성된 교수자 지원의 평가항목들로 총 14개 항목이 선정되었고, 14개 항목의 총 평균값은 4.16이었다. (6)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내용 영역에 해당하는 평가항목으로는 교육체계의 타당성, 상호작용의 적절성 등 9개 항목이 선정되었으며, 9개 항목의 총 평균값은 4.28이었다. (7)평가 및 사정의 세부 평가항목으로는 평가기준의 제시, 평가방법의 적절성 및 다양성 등 6개 항목이 선정되었고, 6개 항목의 총 평균값은 4.20이었다. 셋째, 사이버대학 질관리를 위한 핵심영역과 세부 평가항목 규명에 있어서 관련된 이해관계자간의 관점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문제에 대해서는 각 집단의 이해관계에 따라 중요도 평정에 있어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중요도 평가에 있어서는 모두 중요한 핵심영역과 평가항목으로 합의를 이루어, 핵심영역과 평가항목의 선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 했다. 넷째, 현장 운영자들을 대상으로는 국내 사이버대학의 현장적용수준을 평가하게 하여, 국내 사이버대학의 질관리 수준에 대해 탐색한 결과, 국내 사이버대학의 현장 적용수준은 질관리의 핵심영역과 평가항목의 중요도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평가되어, 향후 국내 사이버대학의 질 향상이 더욱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현재 질관리 수준과 사이버대학의 등록률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질관리 수준이 실제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 지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는데, 그 결과, 질관리의 현재적용수준과 사이버대학의 등록률과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사이버대학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질관리가 우선적인 필요조건이 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질관리 준거의 범위를 기관 차원의 수준에 한정시켜, 세부 프로그램 평가나 질관리의 전체적인 체제나 절차에까지는 연구의 범위를 넓히지 못했다. 따라서, 전체적인 질관리 체제나 모형 개발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실증적 차원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질관리의 수준이 현실적으로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 가에 대해서도 보다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질관리의 핵심영역과 세부 평가항목의 규명을 통해, 국내 사이버대학의 인가 정책과정에서 미쳐 다루지 못했던 사이버대학의 질에 관련된 문제를 구체화하고, 현실화하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가, 국내 사이버대학의 질 향상을 위한 목적 준거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여, 향후 사이버대학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education through internet, normally known as “Cyber Education” or “e-learning” has rapidly grown up in numbers. And its contribution in the field of mass education is well accepted by public. Despite the growing use of cyber education, however, there educational quality has been in question. There are now existed 17 cyber universities in Korea offering degree programs since 2001. Nevertheless, excepting a few schools, most cyber universities are hard to manage because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online education and low enrollment rates The prime objective of those institutions to sustain as an educational organization is to improve educational quality, and yet there are no practical guidelines and/or conditions set up by any standards.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conducted in this field. However, those studies tend to represent a particular area not covering other problems properly. Some studies mainly focused on quality models based on theories, and have shown limitations in reflecting domestic needs. Also,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have reached disparate results in accord with the different stakeholders' view,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actical guidelines that meet every stakeholder’s needs.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by identifying criteria for quality assurance that are properly adapted for domestic needs and are based on empirical evidenc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listed below. 1 What are the key areas that a system for assuring the quality of cyber universities needs to certify? 2 What are the quality indicators that such a system should use? 3 What are the disparities in the different stakeholders’ expectations for quality criteria? 4 How does the perceived importance of quality assurance compare with the actual existence of established quality indicato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sisted three phases. First,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search for quality criteria. Second, the results found through the Delphi method were verified through surveys of field practitioners. Finally, they were verified through surveys of students in cyber universities. As a result, seven key areas and seventy sub-item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ven kea areas essential for quality assurance in cyber universities are: 1)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2)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3) System, 4) Student and Faculty support, 5) Human Resources, 6) Institutional Support,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 7) Evaluation and Assessment. In each area, there are sub indicators essential for ensuring quality in cyber universities lead to the final list of indicators including 70 distinct items. In addition, a survey of field practitioners was administer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quality assurance and the actual existence of quality indicators. The survey revealed a substantial disparity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quality assurance and the actual existence of established quality indicators. This fact reveals the necessity for endeavors that can lead to greater assurance of quality in domestic situations. Although this study identified quality indicators on an institutional level, to construct a complete quality assurance system, more studies need to be done on the quality indicators to assess specific programs. It also requires more precise investigations for determin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of quality assurance and the actual existence of established quality indicators. These investigations could be useful for providing assurance that educational quality might strengthen cyber institutions’ competitiv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