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진경-
dc.contributor.author최인호-
dc.creator최인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5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3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502-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폴 고갱(Paul Gauguin, 1848-1903)이 전업화가로 전향한 시기인 1883년부터 1903년까지의 자아 개념을 통해 그의 회화를 분석한 연구이다. 여기서는 고갱의 자아를 19세기 시대상을 바탕으로 연구해봄으로서 작품에 형성된 고갱의 자아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의 작품에 드러난 강한 자아의 인식과 시대성을 연결하고 나아가 그의 작품이 지니는 독창성에 대해 재평가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자아는 타인과 구별되는 자기 고유의 모습이며 이는 우선 스스로에 대한 의식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자아는 타인과의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며 타인의 존재에 의해 더욱 부각되어 나타나기도 하는 특징적인 모습이다. 본문의 첫째 장은 고갱이 자아를 인식하고 이를 작품에 반영하는 것과 시대적인 영향관계를 분석한 장이다. 우선 19세기 프랑스는 정치혁명과 산업혁명을 거치는 과정에서 개인화되고 세속화되기 시작하면서 개인의 가치와 자아에 관심을 갖게 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좀더 시선을 좁혀 동시대 예술계 역시 예술가들의 자아에 관심을 갖게 되었음을 증명하였으며, 특히 예술가들의 자아는 남들과 구별되는 특성, 즉 개성과 창조성과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문의 두 번째 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19세기 사회상과 특히 예술계의 분위기를 바탕으로 고갱이 자아를 인식한 방식과 이것이 화면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본문 두 번째 장의 일절에서는 고갱이 예술가의 창조적 속성을 강조하는 동시대 예술계의 영향으로 그 역시 자신을 창조자로 인식하였다는 점을 작품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그는 예술가로서의 면모와 창조성을 인정하지 않는 가족과 사회의 인식 때문에 고통 받았으며 이를 수난 당하는 예술가의 모습으로 형상화하였다. 본문 두 번째 장의 이절에서는 고갱이 화단에서 다른 화가들과 구별되는 독창성을 지니기 위해 도입한 것이 야만성을 지닌 모티브이며 이 과정에서 고귀한 야만인을 이상적 자아로 설정하여 추구하였음을 살펴보았다. 고갱은 작품을 통해 스스로를 야만인으로 선언하기도 하였지만 이는 매우 소수에 한정되었다. 그래서 그는 원시적인 자연, 원시 종교 그리고 야만의 여인과 같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야만성을 지닌 모티브를 통해 야만인이라는 이상적 자아에 도달하고자 하는 자신의 욕구를 작품에 드러내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는 독창성을 지닌 아방가르드가 되고자 하는 그의 의지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고갱의 작품에 나타난 자아 개념을 살펴보았을 때, 그가 나타내고자 했던 자아의 모습은 19세기 시대상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갱은 자아에 대한 관심일 일어나기 시작한 19세기의 영향을 받아 화가의 자아에 관심을 갖고 이를 작품으로 형상화 할 수 있었으며, 더욱이 예술가의 독창성을 강조하는 예술계의 영향으로 그 역시창조적인 예술가가 되고자 했던 것이다. 또한 고갱은 자신의 독창성을 구축해 가는 과정에서 원시적 소재들을 주된 모티브로 사용하였으며, 원시성을 지닌 야만인이라는 이상적 자아를 작품에 간접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독창적인 아방가르드로서의 면모를 확고히 나타내고자 했던 것이다.;This thesis analyses the Paul Gauguin(1848-1903)'s self concept from 1883 to 1903 when he was a professional painter. It is based o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society. Self means a person's personality or character that makes them different from the others and it is emphasized especially when there is the other people.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French became aware their selves. There were a lot political revolutions and industrial revolutions in France at that period. And the French were interested in their inner self rather than complex outer world. Moreover the society individualized more and more stimulated by the secularization and new ideas such as the theory of evolution by Charles Darwin and the socialism by Marx. And exotic culture imported with the wide spreading of Imperialism gave an impetus to the selves of the French. In the field of art, the artist were forced to have their own individuality during late nineteenth century. There was no main stream after fading out Impressionism. So there were lots of new modes of painting like Neo-impressionism, Symbolism, Cloisonnism and the Nabis etc.. In this situation, the painter had to distinguished themselves by their own unique individualities. In addition there were no more patrons who supported painters. In these reasons the individualities of the painters were a kind of means to sell their works in the art market. Gauguin was concentrated on his individuality as an avant-garde artist after declining of Impressionism. And he was proud of his creativity and of himself as an avant-garde. He showed these self-esteem through representing himself as the Creator like Jesus and as a martyr who suffered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his family, critics and the ignorant public. What is more he concentrated on the primitive and exotic motives which were main subjects in his artistic world from 1883 to 1903. The reason why he was interested in savage culture was linked to his will to be a creative avant-garde painter, thereby there is room for consideration that the paintings of Gauguin are creative under the influence of late nineteenth centu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 개요 = ⅱ Ⅰ. 머리말 = 1 Ⅱ. 고갱의 자아 개념의 형성 배경 = 7 A. 19세기 프랑스에서 자아개념의 등장 = 7 B. 19세기 프랑스 예술계에 형성된 자아 개념 = 16 Ⅲ. 고갱의 작품에 구현된 자아의 표현 방식 = 22 A. 예술가로서 자기 존중의 표현 = 22 1. 창조적 예술가 = 22 2. 수난의 예술가 = 27 B. 이상적 자아의 구축을 위한 야만성의 수용 = 34 1. 원시적인 자연 = 37 2. 원시 종교 = 44 3. 야만적인 여인 = 51 Ⅳ. 결 론 = 63 참고 문헌 = 66 도판 목록 = 73 도판 = 81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282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폴 고갱(Paul Gauguin) 회화에 나타난 자아 개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AUL GAUGUIN'S SELF CONCEPT IN HIS PAINTINGS-
dc.creator.othernameChoi, In Ho-
dc.format.pagei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