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난지-
dc.contributor.author정보원-
dc.creator정보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5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3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50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비토 아콘치( Vito Acconci 1940- )의 초기 작업에 내재된 상호 소통성을 확인해보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퍼포먼스, 비디오, 설치, 조각, 건축, 공공미술 프로젝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현재까지도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생존 작가이다. 본 논문이 연구 범위로 삼고 있는 1969년에서 1973년까지는 아콘치가 직접 작품 속에 등장했던 극히 짧은 기간으로써 작가로서의 출발을 알리는 때였고 이후의 작업 방향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시기였다. 그런데 그의 초기 신체 미술은 후기 공공미술과의 비교 속에서 자기 독백적 경향을 띤 모더니즘적 시기로 규정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본 고는 아콘치 초기 작업에 내재된 상호 주관적 특성이 부각되지 못한 점이 형식주의적 시각을 견지한 비평가들의 시각의 한계에 따른 것으로 보고 이를 ‘장소’라는 신체의 물리적이고도 경계적인 속성과 관련지어 논의해 보고자 했다. 우선 아콘치는 미니멀리즘과 세라의 프로세스 아트의 영향 속에서 작업 토대가 될 자신의 신체를 발견하였고 자아와 타자, 남성과 여성, 개체와 환경이라는 사적·공적 영역의 교차를 행하였다. 그런데 이 두 영역의 교차는 신체 자체의 경계적 속성에 따른 것이기도 했다. 즉 신체는 의식주체이자 물체이며 자아가 담지된 공간이자 타자와 만나는 독특한 공간으로서, 자신을 알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타자화 시키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신체 미술은 작품 해석에 있어 관람자와의 관련성을 배제할 수 없고 작가 정체성도 외적 상황에 의해 규정된다. 아콘치가 자신을 또 다른 타자로 분열시키고 관람객과의 적극적인 상호 소통을 추구하였으며 자기 충족적이고 일관된 남성성의 안티테제로서 여성이 되고자 했던 것은, 자기 정체성이 상호 주체성과 맞물리는 신체의 경계적 속성에 근거한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작가가 매개가 되어 작업실과 전시공간을 서로 교차시킴으로써 공간의 소통을 시도하기도 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의 작업에 나타난 신체는 타자에게로 열린 장소였음을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사적·공적 공간이 역전되고 관람자의 참여 속에 작품이 완성되는 설치나 후기 건축 작업은 이미 초기 신체 미술의 상호 소통적 양상이 밖으로 전개된 것이었다. 아콘치는 이러한 상호 소통성을 통해 주체, 객체라는 이원화된 틀을 벗어나 자기 응집을 위한 노력이 타자에의 개방 속에서 가능함을 보여줌으로써 작품의 주체임을 주장하는 모더니즘적 자아상 뿐만 아니라 타자들의 욕망에 따라 분열된 탈주체적 양상에도 반대한다. 또한 그는 사적·공적 영역으로 규정된 공간의 전복을 통해 제도비판을 행하고 여성으로 성전환을 시도하는 의도적인 일탈행위로 젠더 규범을 문제시하여 여성, 유색인종, 동성애자들이라는 주변적이고 비정상적인 타자의 문제가 표면화되는 지금의 몸 담론을 예고하기도 했다. 본 고는 아콘치의 초기 신체미술에 나타난 자아와 타자, 사적·공적 영역, 나아가 중심과 주변이 상호소통하는 경계적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그가 주체 개념의 강화나 축소가 아닌 확장이라는 대안으로서의 주체상을 일찍부터 시연하였음을 밝히고자 했다. 그리고 그의 작업이 타자의 문제나 젠더, 계급 등의 사회·문화적 층위와도 겹치게 되는 과정을 살피면서 신체에 대한 심리적이고 형식적인 탐구라는 기존의 평가에 대해 새롭게 접근하고자 하였다.;This thesis is carried out to understand Vito Acconci’s (1940~) attempt to interact with the audiences during his early stages of his career. While Acconci is currently focusing most of his works on architectures and public art, his early works involved around performance art, video installations and sculptures. His early period of works (1969~1973) were mainly focused around photographies, performance, and video art, and during the time span that could be best described as ‘mid-period’ of his works, (1974~1979) he concentrated most of his works on installations and furniture sculptures. From then onwards (1980~) his primary involvement was with architecture and public art. The timeline of this thesis’s primary focus, which covers the early stages of Acconci’s work, was the defining period of his future artistic ideology. This was also the time where most work actually featured him. Critics comparing his early body art to his later public art generally agreed to define this period of his early work as being modernistic, enclosed and individualistic. Some other instances, critics labeled this period of Acconci’s work as experimenting with the body as a material and expressing psychological autobiography. In other words, although his early art work has been descried as ‘the relationship in private and public’, most critics have not given much discussion to it because of their formalistic views. By reviewing their limited points of view, this thesis examines his body,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was not just a material but a site which was related to the boundary where his self and others met. Initially, Acconci had an attention to his body through Minimalism and Process art of Serra, and he carried out cross experimentation of the realm of the private and the public such as himself and others, male and female, individual and surroundings. The body became the border of this crossing of the realm between them. That is to say, the body can be both a subject and an object, a space which contains the self and a meeting place with others; thus, to understand the self, it requires a process of objectification of self from others’ perspective. This also leads to Acconci’s theory of the intimate and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s, and the defining of the performers’ intention by the audiences’ perception. The reason for Acconci’s attempts to dissolute himself, encouraging bi-lateral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ist and the audiences and creating himself as a female to be the antithesis of narcissistic male stereotype stemmed from his trials to understand himself. Not only this, but his attempts at communication through space by exchanging his studio and an exhibition space also runs parallel with his theory. From this, we can say that definition of ‘body’ in his artistic world was a site that is always open to others. Therefore, his later installations and public architecture projects, which were reversed the spa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are not something new but an extension of his early work just expressed using alternative means. Through bi-lateral communication, Acconci wanted to breakaway from the conventional subject/object relationship category, and also showed that attempts of self-coherence could be achieved by opening up of his self to others. In addition, he forecasted body-discourse with female, non-white people, and homosexual issues by his intentional breakdown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boundaries and mocked attempt at changing sexes. This thesis tries to explore and redefine some conventional and some superficial interpretations of critics’ view of Vito Acconci’s works by proving that the main theory behind his subject/object, public/private and central/periphery relationships shown in his early body art career was not about the strengthening or curtailment of the subject or psychological and formal exploration of the body but about exp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an object, artist and the view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Ⅱ. ‘장소’의 의미와 그 속성 = 9 1. 아콘치 작품 속의 신체와 공간의 관계 = 9 2. 자아 정체성의 반영물로서의 장소 : 나르시시즘과 상호주체성 = 20 Ⅲ. ‘장소’개념에 내재된 확장과 순환 = 27 1.수행주체와 대행자로서의 자아분열 = 27 2. 작가와 관람자의 인접과 소외 = 38 3. 남성성과 여성성의 전환 = 49 4. 작업실과 전시공간의 소통 = 60 Ⅳ. 결론 = 69 참고문헌 = 73 도판목록 = 79 도 판 = 83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1218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비토 아콘치(Vito Acconci) 초기 작업(1969-1973)에 나타난 ‘장소(Site)로서의 신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Body as site during Vito Acconci’s early period of works (1969-1973)-
dc.creator.othernameCheong, Bo Won-
dc.format.pagev,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