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8 Download: 0

가정결손 여부가 저소득 가정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결손 여부가 저소득 가정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Intelligence Between the Types of Deficiency includes single-parent families, parentless families, and families of parents and Social Skills
Authors
박민주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In the modern society, the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face more difficult situations as their number grows from various reasons. Existing researches, however, emphasized on how the children from the low income families behave negatively compared to those from the normal ones; in other words, those researches supported ideas that the children from the low income families cannot achieve appropriate personal development, thus cause problems and misdemeanors. But this type of research topics cannot answer the question of which children, among the low income families, adapt well to the society and which do not. Mainly focused on the children from the low income families, this research first constructed a model of channels between children's social skills and family deficiencies with social support and social intelligence -defined as the protective factors in this research- as the mediators. Then, this research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model. Despite the family deficiencies -defined as the dangerous factor in this research- social support and social intelligence act as the protective fectors for the children from the low income families and aid the development of their sociality. Ninety elementary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who attends tutoring institutions and local welfare facilities around Seoul and Kyung-gi district, were chosen to carry out such purpose. This research conducted surveys on teachers to examine children's social skills. It used self surveys on the children to investigate their social support and executed the WISC-R to figure out their social intelligence. All these materials investigated the children's social skills based on the types of deficiency. This research also analyzed the channels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rinsic variables of social skill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dangerous factor and the intermediary effect of the protective factor.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ly, children's own perception on social support, their intelligence, and their social skills varied in relation to the types of deficiency. Children from parentless families perceived lower social support. They had lower intelligence based on "Picture Arrangement subtest" Teachers recognized the children's low level social skills. Secondly, children's social support, their social intelligence, and types of deficiency in their families were highly related to the children's social skills. Thir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amily deficiencies and their socialities, the intermediary effect of the children's social support and their social intelligence is proven to be influential. Types of family deficiency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social support and their social intelligence while indirectly affecting their social skills. Therefore, social support and intelligence act as the protective factor to deliver positive effect to the children exposed to the family deficiencies and the other dangerous factors. Fourthl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dangerous factors and the protective factors. In other words, social support including its subordinate variables - peer support, family support, and teacher support - and social intelligence based on "Picture Arrangement subtest" and "Comprehension subtest" directly affects a child's social skills in the matter of cooperation, self-assertion, and self-control. "Picture Arrangement subtest" affects a child's cooperation the most while peer support and family support being the second and the third influential variables. Different from cooperation, self-assertion and self-control are affected mostly by family support. Teacher's support did not affect any variables of social skills. Peer support and family support, rather than teacher support, are the significant component of a child's social skills. In Conclusion, the researcher's hypothesized Path-Model for a child's social skills was proved to be true. Therefore, this research provides the new perspective that the children from low income and deficient families do not lack adaptation ability if friends, family, and teacher supports them and if they possess enough social intelligenc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of a child's social skills were social intelligence, types of deficiency, and social support, in order. The important variables of social support includes peer support and family support. When developing programs for juvenile social skills improvement, the participation of peers and family members should be very helpful for increasing a child's social support. Also, children from economically underprivileged families lack intellectual and emotional support, casually made troubles, acted passively and depressively, or behaved in offensive ways, according to their teachers. Children with this kind of risk factors should be aided by schools with various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and intelligence to create healthy adolescence and adulthood.;현대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저소득 가정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안에서 자라는 아동들 또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선행 연구들에서는 정상가정 아동과의 비교를 통한 저소득 가정 아동의 부적응만을 다루고 있다. 즉, 저소득 가정 아동은 사회·환경적 위험요소들 때문에 발달과업을 성취하기 어렵고 여러 가지 학교문제와 비행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로는 ‘저소득 가정에서 성장한 아동들 중에서 어떤 아동은 적응을 잘 하고, 어떤 아동들은 그렇지 않은지’와 같은 질문에는 대답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 아동의 사회성에 초점을 맞추어, 보호요소인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 지능을 매개로 한 가정결손 여부와 아동의 사회성 간의 경로모형을 구성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즉, 저소득 가정 아동이 처한 가정결손이라는 위험요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 지능은 보호요소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울과 경기지역의 지역사회복지관 및 방과 후 공부방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저소득층 초등학교 1~6학년 아동 9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아동의 사회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고,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를 알아보기 위해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적 지능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을 대상으로 개인용 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대상아동의 가정결손 여부에 따라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아동의 사회적 지능 및 사회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사회성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소의 영향력과 보호요소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상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아동의 사회적 지능 및 사회성은 가정결손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결손가정의 아동일수록 사회적 지지는 낮게 지각되었고, 차례맞추기 소검사에 따른 사회적 지능도 낮았으며, 교사들도 아동의 사회성을 낮게 지각하였다. 둘째, 아동의 가정결손 여부,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지능은 아동의 사회성과 높은 수준의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아동의 가정결손 여부와 사회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 지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지능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정결손과 같은 위험요소에 처한 저소득 가정의 아동이라도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 지능이 보호요소로 작용하여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성을 높이거나 낮추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위험요소가 아니라 보호요소란 점도 밝혀내었다. 다시 말해, 가정결손 여부는 사회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보호요소인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능의 매개적 완충과정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보호요소들은 사회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소득 가정 아동의 사회성은 가정결손 여부보다는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지능의 수준에 따라 더욱 많은 영향을 받는다. 넷째, 위험요소인 가정결손 여부, 보호요소인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지능, 사회성의 각 하위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 사회적 지지의 각 하위 변인인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와 사회적 지능인 차례맞추기, 이해 소검사 점수는 아동의 사회성인 협동, 자아주장, 자기통제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직접적인 영향력을 주며, 가정결손 여부는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지능을 통해 아동의 사회성에 어떠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협동에는 사회적 지능인 차례맞추기 소검사 점수가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며, 친구의 지지가 두 번째로 많은 영향을 주었고, 다음으로 가족의 지지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장과 자아통제 하위 변인에는 협동과는 달리 가족의 지지가 친구의 지지보다 더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교사의 지지는 사회성 변인 어디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아동의 사회성에는 교사의 지지보다는 친구와 가족의 지지가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지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연구자가 저소득 가정 아동의 사회성에 대해 가설을 세운 경로모형이 지지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결손가정이라는 상황에 처한 저소득 가정 아동이라도 친구와 가족과 교사의 지지가 적절하고, 사회적 지능이 높으면 사회에 적응하고 상호작용하는 능력은 부족하지 않다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위 사실은 가정결손 여부보다는 아동 주변의 사회적 지지와 아동 자신의 사회적 지능이 사회성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뜻하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또한 아동의 사회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 지능, 가정결손 여부, 사회적 지지 순이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교사의 지지를 제외한 나머지 친구지지, 가족지지가 중요한 예측변인이 됨을 밝혔다. 이는 추후 아동의 사회성을 높여주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사회적 지지를 높여주기 위해 또래 아동들과 가족의 참여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교사에 따르면, 경제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처해있고 지적ㆍ정서적 자원이 부족한 저소득층 아동들은 학교에서 문제행동을 보이거나 우울, 위축된 아동도 있고, 공격성이나 과잉행동을 나타내는 아동도 많다고 한다. 이와 같은 위험요인을 지닌 집단의 아동이 더 큰 적응의 문제를 나타내기 전에 적절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지능 형성을 위한 자원과 학교기반 개입을 제공한다면, 향후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보일 수 있는 문제로 발전해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