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경-
dc.contributor.author원수경-
dc.creator원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7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3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790-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친구관계에서 또래 집단에 수용되는 유형에 따라 왕따외톨이와, 외톨이 집단, 비외톨으로 분류하고 세 집단간의 딸과 어머니 가가의 애착 수준 및 사회성의 수준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위의 세집단에서 딸과 어머니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의 여자 중·고등학생 딸과 그 어머니로 구성된 312쌍 (딸; 312명, 어머니; 312명, 총; 624명)을 대상으로 왕따 질문지와 외톨이 질문지를 실시하여 또래집단에 수용되는 유형을 분류하였다. 애착유형Armsden과 Greenberg(1987)의 애착측정도구(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를 사용하였다. 사회기술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중앙 적성 연구소에서 이상로, 변창진, 진위교가 제작한 성격 진단 검사의 사회성 질문 30문항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왕따외톨이 집단, 외톨이 집단, 비외톨이 집단 세 집단 간 애착수준 및, 사회성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삭분석(ANOVA)을 실시하고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하였다. 그리고 집단 내에서의 모-녀 애착수준과 사회성의 관계 정도를 보기 위해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가설과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각 집단의 애착수준과 사회성의 점수는 왕따외톨이 집단, 외톨이 집단, 비외톨이 집단 순서로 낮을 것이다. 연구 결과 가설 1에서 예측한대로 애착 수준과 사회성에서 왕따외톨이와, 외톨이 집단, 비외톨이 집단 순으로 낮은 평균 점수를 보였고 삼후 검증 실시 결과 비외톨이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애착수준은 통계적으로도 .01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성 점수는 모든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01에서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보였다. 가설 2, 세집단의 어머니들 애착 수준과 사회성 점수는 여학생 집단과 같이 왕따 외톨이 집단이 가장 낮고, 다음은 외톨이 집단이 낮으며 비외톨이 집단의 어머니들은 두 집단 보다 애착수준과 사회성 수준이 모두 높을 것이다. 연구 결과 가설 2에서 예측한 대로 어머니 집단의 애착 수준과 사회성에서 왕따외톨이 집단, 외톨이 집단, 비외톨이 어머니 집단 순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점수차이는 없었다. 가설 3, 왕따 외톨이 집단과 외톨이 집단의 어머니와 딸의 사회성과 애착수준 사이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을 것이다. 왕따 외톨이 집단에서는 어머니의 애착수준과 딸의 애착수준은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사회성에서는 상관이 없었다. 외톨이 집단에서의 어머니 와 딸의 애착수준과 어머니와 딸의 사회성 수준 모두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이와는 달리 비외톨이 집단에서는 어머니와 딸의 애착수준, 어머니와 딸의 사회성 수준 모두 상관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비외톨이 집단과는 달리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의 하위 유형 중에서 왕따외톨이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어머니와의 애착관계에 많은 영향력을 받으며, 외톨이 집단은 어머니와의 애착과 함께 사회성에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아 친구들에게 직접적인 가해를 받지 않는 외톨이 집단에게는 대인 관계에 대한 사회 기술 능력이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래 관계가 미흡한 두 집단에게 어머니와의 직접적인 애착수준 또한 중요하게 시사됨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the peer groups in the relation with their mother. And I also divided their mother groups by the same criteria and tried to extract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ter doing this pre-investigation, I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 of the characteristics between student's and their mother's. In this paper, I've divided the students into three groups and their mother into also three groups by what peer group her daughter is. In each group, I tried to find the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of mother-attachment relationship and sociability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mother's. I've used the 'self-report type survey' and collected the final 317 survey sheets which have the information of both the students'(daughters) and their mother's. I made peer groups by the percentage. I used IPPA and the criterion from the questionnaires of sociability in korean-version diagnostic personality test. I compared the mean and scrutinized the correlation among the each group. Wangttaoiettolie is rejected and disregarded from the peer group and Oiettolie has no friends. Wangttaoiettolie group has the lowest scores in attachment and sociability and Oiettolie has lower scores than non-Oiettolie in these two facts. The differences of the score among the groups have been proved to hav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Specially, mother attachment and sociability between the daughter and her mother in Oiettolie group als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Unlike non-Oiettolie, Wangttaoiettolie who has the difficult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are more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mother attachment than any other groups. As Oiettolie group is likely to be affected by mother attachment and sociability, the sociability to mother of the Oiettolie who is not directly rejected or withdrawn from the peer group primarily acts in the interaction among the friends. Moreover, I've found that the mother attachment level also can be importantly considered in two groups such as Oiettolie, Wangttaoiettolie Which have low level relationship with frien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문제 및 가설 = 6 Ⅱ. 이론적 배경 = 7 Α. 집단따돌림과 또래관계 = 7 1. 집단 따돌림에 대한 개념 정의 = 7 2. 또래관계의 유형 = 9 B. 청소년의 모녀 애착과 집단따돌림(또래괴롭힘)간의 관계 = 12 1. 청소년기의 애착 = 12 2. 청소년기의 모-녀 애착 = 15 3. 부모-자녀 애착과 또래에 의한 괴롭힘의 관계 = 18 C. 청소년기의 사회성 = 22 1. 사회성의 발달 = 22 2. 사회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24 3. 부모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 26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 대상 및 절차 = 28 B. 측정도구 = 29 1. 집단따돌림을 당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외톨이 유형 구별 척도 = 29 1) 외톨이 질문지 = 29 2) 왕따 질문지 = 29 2. 애착 척도 = 30 3. 사회성 척도 = 32 C. 자료 분석 = 33 Ⅳ. 연 구 결 과 = 34 A. 왕따외톨이, 외톨이 및 비외톨이 집단의 분포 = 34 B. 왕따외톨이, 외톨이, 및 비외톨이 집단 여학생의 애착수준과 사회성의 차이 비교 = 35 C. 왕따외톨이, 외톨이, 및 비외톨이 집단 어머니의 애착수준과 사회성의 차이 비교 = 40 D. 각 집단에서의 어머니와 딸의 애착 수준과 사회성의 상호상관은 어떠한가? = 43 Ⅴ. 논의 = 46 참고문헌 = 53 부록 = 62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58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청소년의 또래집단 수용 유형에 따른 여자 청소년과 어머니의 애착수준 및 사회성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ce Accepted Pattern in the Peer Group (daughters & their's mothers) and Attachment(to mother) and Sociability-
dc.creator.othernameWon, Su-Kyung-
dc.format.pageⅶ,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