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3 Download: 0

관악영산회상 해금과 피리 선율 비교

Title
관악영산회상 해금과 피리 선율 비교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etween Two Musical Instrmwnts, Piri and Haegum, in the national Clssical Music of Kwanakyoungsamhoisang
Authors
김지민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관악 영산회상의 세 번째 곡인 세령산과 네 번째 곡인 가락덜이, 그리고 일곱째 곡인 타령을 해금 선율을 중심으로 피리 선율과 비교함으로서 동일한 경우와 유사한 경우, 다른 경우 등으로 분류하여, 이 결과를 토대로 두 악기의 선율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령산, 가락덜이, 타령의 해금과 피리의 선율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령산 총 140박 중에서 피리가 쉬는박은 4박(2.85%)으로 해금과 같이 연주되는 부분은 136박(97.14%)으로 나타난다. 그 중 동일선율은 99박(70.71%), 유사선율은 21박(15.00%), 다른선율은 16박(11.42%)이다. 세령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유사선율은 해금의 선율이 仲林(♩♪)이거나 仲(♩.)일 때, 피리의 선율은 仲林(♩♬)이거나 仲夾(♩♪)으로 나타나므로 부분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세령산에서 다른 선율은 장2도(A♭-B♭) (D-♭E♭), 장3도(B♭-D♭), 완전4도(B♭-E♭, A♭-D♭), 완전5도(G♭-D♭), 장6도(G♭-E♭)의 다른 음정으로 나타나는데, 주로 어울림 음정으로 나타나는 것이 대부분이며 장2도의 어울리지 않는 음정은 두 번에 불과하였다. 둘째, 가락덜이는 총 98박 모두 해금과 피리가 동시에 연주된다. 그 중에서 동일선율은 67박(68.36%), 유사선율은 16박(16.32%), 다른선율은 15박(15.30%)이다. 가락덜이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유사선율은 해금의 선율이 仲(♩.)일 때, 피리의 선율은 仲夾(♩♪)이거나 黃仲(♪♩)으로 나타나며, 해금의 선율이 林仲(♩♪)일 때, 피리의 선율은 林(♩.)으로 나타나서 부분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가락덜이의 다른 선율은 장2도(G♭-A♭, A♭-B♭, D♭-E♭), 장3도(E♭-G♭), 완전4도(B♭-E♭, E♭-A♭), 완전5도(E♭-B♭)의 다른 음정으로 나타나는데, 여기에서도 어울리는 음정의 다른 선율이 많았고 장2도의 어울리지 않는 음정은 적었다. 셋째, 타령 총 104박 중 해금과 피리가 쉬는박은 4박(3.84%)으로 해금과 같이 연주되는 부분은 100박(96.15%)으로 나타난다. 그중 동일선율은 45박(43.26%), 유사선율은 46박(44.23%), 다른선율은 9박(8.65%)이다. 타령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유사선율은 해금의 선율이 潢林(??♩), 夾黃(♪♩), 仲林(♪♩), 林(??)일 때, 피리의 선율은 無林(??♩), 仲黃(??♩), 夾林(♪♩), 仲林(??♩)으로 나타나므로 부분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선율이 유사한 경우는 같은 음이지만, 두 악기의 시김새나 리듬꼴이 서로 달라 유사선율로 나타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타령에서의 다른 선율은 장2도(A♭-B♭), 장3도(E♭-G♭) 완전4도(A♭-D♭)의 다른 음정으로 나타나는데, 어울리는 음정의 다른 선율이 안 어울리는 음정의 다른 선율보다 많았다. 넷째, 유사선율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금이 어떤 음을 연주할 때 피리는 그 음에 잔가락을 더하여 연주하고, 반대로 피리가 어떤 음을 연주할 때 해금이 그 음에 잔가락을 더하여 연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악기마다 독특한 가락이나 시김새로 인하여 음악을 더욱 다양하고 풍요롭게 표현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또한 해금의 잉어질 주법이 연주될때, 피리의 서침연주 기법도 항상 같이 연주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is study examines the identical, similar and different things by comparing and classifying the 3rd, 4th and 7th pieces of "Youngsanhwoesang", "Seryungsan", "Karakdeoli" and "Taryung" respectively in focusing on melodies of Haekeum (Korean fiddl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a flute and concluded the following things in relation to those produced melodies of two musical instruments such as fiddle and flute. First, total 140 rhythms of Seryungsan consists of 4 ones of mute flute (2.85%) and 136 ones of ensemble (97.14%) of fiddle and flute. Among them, the identical melody is in 99 rhythms (70.71%), the similar one is in 21 (15.00%) and the different one is in 16 (11.42%). The frequent melodies in Seryungsan are expressed that fiddle's ones are in "Joongrim" (♩♪) or Joong (♩) and flute's ones are in "Joongrim" (♩♬) or Joonghyup (♩♪) in similar ways. The different melodies in Seryungsan are expressed as major 2 tones (A♭, B♭) (D-♭, E♭), major 3 tones (B♭, - D♭), complete 4 tones (B♭,-E♭, A♭, -D♭), complete 5 tones (G♭, -D♭) and major 6 tones (G♭, -E♭). Most of them represents harmonious tones and just two cases are in cacophony such as major 2 tones. Second, Karakdeoli is interpreted by total 98 rhythms of simultaneous fiddle and flute. Among them, the identical melodies are in 67 (68.36%), similar ones in 16 (16.32%) and different things are in 15 (15.30%). The frequent similar melodies are expressed that fiddle's one is in Joong (♩) while flute's one is in Joonghyup(♩♪) or Hwangjoong (♪♩) or fiddle's one is in Imjoong (♩♪) while flute's one is in Im (♩). Thus, they are represented partially in similar way. The different melodies in Karakdeoli are expressed as major 2 tones (G♭ -A♭, A♭ -B♭, D♭, -E♭,), major 3 tones (E♭, - G♭), complete 4 tones (B♭,-E♭, E♭, -A♭) and complete 5 tones (E♭, -B♭). Most of them represents many tones in cacophony and just few cacophonous cases are in major 2 tones. Third, total 104 rhythms of Taryung consists of 4 ones of mute flute (3.84%) and 100 ones of ensemble (96.15%) of fiddle and flute. Among them, the identical melody is in 45 rhythms (43.2%), the similar one is in 46 (44.23%) and the different one is in 9 (8.65%). The frequent melodies in Taryung are expressed that fiddle's ones are in Hwangrim (♩♪) or Hyuphwang (♩♪) Joongrim (♩♪) and Lim (♩) and flute's ones are in Moorim (♩♪), Joonghwang (♩♩), Hyunlim (♪♩) and Joongrim (♩♪) partly in similar ways. Thus the similar melodies are represented in same tone but their different ornament and tone make the music in similar melody in most cases. The different melodies in Taryung are expressed as major 2 tones (A♭, -B♭), major 3 tones (E♭, - G♭), complete 4 tones (A♭,-D♭) in different ways. But harmonious tones are more than others. Fourth, as a phenomenon of representation of similar melodies, when a fiddle is played, a flute adds the small melody while a fiddle adds the small melody when a flute is played. This phenomenon indicates the rich and full representation of each instrument in individual unique melody and ornament. And fiddle's "Ingeo method" and flute's "Seochim method"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every ca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