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주신영-
dc.creator주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7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4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2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36-
dc.description.abstract본고의 목적은 1980년대 창작국악의 한 분파로 등장한 창작국악찬양곡의 전개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창작국악찬양곡은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점차적으로 다양하게 변화 발전되어 왔다. 이렇게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되어온 국악찬양곡의 전개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앞으로의 보다 바람직하고 체계적인 창작국악찬양곡의 방향을 찾아가는데 보탬이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창작국악찬양곡을 ‘1980년대의 창작국악찬양곡’·‘1990년 - 현재까지의 창작국악찬양곡’으로 나누어 ‘시대적 상황·작품현황·창작국악찬양곡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80년대까지의 창작국악찬양곡은 한국 기독교 교회음악의 토착화에 중점을 두고, 국악찬양으로 전도와 하나님께 찬양을 돌리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이 시기에 창작된 곡들은 쉽고 빠르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시기의 대부분의 곡들은 우리나라 민요의 선율과 형식의 틀에 맞추어 창작되었으며, 가야금 병창곡이 주를 이루었다. 1990-현재까지의 창작국악찬양곡은 종교적인 목적도 지니고 있으나 종교적인 목적 외에 창작국악찬양곡의 대중화에도 초점을 맞추었다. 이 시기에 창작된 곡들은 1990년대 초반 가야금 병창곡의 경우 독주형태에서 합주형태로 연주인원 편성에 변화를 보여주었고, 1990년대 후반 순수 기악곡과 실내악곡, 관현악곡도 상당수 증가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악기편성에 있어서 국악기와 서양악기의 혼합편성(cross over) 된 곡들도 등장하였고, 개량악기 또한 등장하여 음역과 음량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리고 사물이 음악에 사용되면서 또 다른 모습의 곡들이 일부 등장하였다. 또한 관현악곡의 등장으로 인하여 서양의 음악양식이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다. 그 결과 이 시기에는 서양음악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곡들이 상당수 창작되었다. 이와 같이 창작국악찬양곡에 대해 살펴본 결과 1980년대까지의 창작국악찬양곡은 한국전통음악적 요소를 중심으로 창작되었다. 1990년대 초반에 조금 주춤한 상황에서 서양의 악기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1990년대 후반에 다양한 서양의 악기를 다수에 곡에서 수용하였다. 또한 몇몇 곡들은 서양의 악기뿐만 아니라 음악양식도 수용하여 비록 일부의 곡들이기는 하나 창작국악찬양곡의 본연의 개념을 상실한 곡들이 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has tried to look in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having appeared as a branch of Creative Traditional Korean Music in the first of the 1980.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has been changing and developing gradually and variously since 1984. Thus, investigating its development phenomena can help pursue the desirable and systematic direction of the future of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The study has divided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greatly into two parts:"The 1980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and "The since-1990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Then investigated them according to the period's situation, the work's condition, and their analysis. From 1980,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tried to settle itself into the Korean Christianity's church music and was used for missionary work and God praise. Therefore, the period's creative music works were focused on their easy and quick understanding. Most of them were based on our traditional-folk-song melodies and forms, mainly as Kayakum Chorus Music. Since 1990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was for religion and on the other hand, for its own popularization. Some of the period's works were the same genre as the previous ones, but the others varied. In the early 1990's Kayakum Chorus Music showed some change in organization of performance members as an ensemble, not a solo. In the late 1990's it considerably increased pure instrumental music, chamber music, and orchestral music. In organizing instruments, there appeared some works using both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as well as Western. Also improved instruments appeared, that brought some changes in compass and volume. Four percussion instruments began to be used in music, which created another type of music. The appearance of orchestral music brought positive acceptance of Western-music into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Accordingly, many of this period's creative works accepted Western-music elements.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the 1980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was focused on traditional Korean music elements; the early 1990's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partly accepted various Western instruments in many works, some of which accepted Western music and even lost the true conception of Creative Traditional Korean Praise Musi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 3 Ⅱ. 창작국악의 시대적 배경 = 7 Ⅲ. 창작국악찬양곡에 대한 연구 = 11 A. 1980년대의 창작국악찬양곡 = 12 B. 1990-현재까지의 창작국악찬양곡 = 28 Ⅳ. 국악찬양곡의 전개양상 = 72 Ⅴ. 결론 = 75 Ⅵ. 참고문헌 = 77 Abstract = 80 부록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4805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기독교 창작 국악찬양곡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ⅶ,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