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Webern의 String Trio, Op.20 분석 연구

Title
Webern의 String Trio, Op.20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nton Webern's 'String Trio, Op.20'
Authors
허지혜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귀자
Abstract
Webern (3 December 1883 ~ 15 September 1945) is called 'The Second Viennese School' together with Schoenberg (1874~1951) and Berg (1885~1935). Webern's works are classified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style of the works. The first is the period of tonality (1899-1908), the second is that of the atonality (1908-1924) and the third is that of twelve-tone music (1924-1945). In this study we analyzed 'String Trio, op.20' out of the works in the 3rd period, the period of twelve-tone music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art of Webern's tone-row technique and the traditional music factors in the process of composition are connected to the modern music by analyzing the tone-row structure, division, melody and rhythm structure through the tone-row. The first movement of 'String Trio, op.20' consisting of two movements is presented in the Rondo Form classified as Introduction-A-B-A-C-Introduction-A-B-A-Coda. The R4 - P4 tone-row forming the symmetrical structure used in the introduction appears reversely as P4 - R4 in Coda which induces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the whole tune. When we consider that the starting tone-row of A Part is I4, I2 and RI8, the last two tone-row of A Part have the same two tetrachord as I4 and R3, the last tone-row of C Part forms the combinatoriality with I4, it may be fairly said that T4 plays a role of Tonic in this tune. The repeated parts give the uniformity to the tune by using the same tone-row. Tetrachord and hexachord manifest themselves in the tone-row division which can be seen in the Introduction and Coda. The second movement is constructed as Sonata Form which is distinguished for Introduction - Exposition - Development - Recapitulation - Coda. As in the first movement the second movement starts with P0 of Introduction and ends R0 with Coda. In this tune the traditional proceeding of Ⅰ-Ⅴ-Ⅰ is embodied through the modulation of the tone-row. And the exposition and the recapitulation give the tune the uniformity through almost the same length, the use of the tone-row of the same number-excluding two tone-row with 5 bars with extended closing- and the conformity of the content of Introduction and Coda. And it is a conspicuous feature that the tone-row is arrayed in polyphony to make the tune proceed. In the rhythm the first theme features the ratio 2:3 rhythm division, and the second theme does the dot tone-value rhythm respectively. In this respect we can see this tune keeps the principle of the technique of twelve-tone music composed of the modern musical art but in the structure of the tone-row the structure of the formative music, the uniformity of the content of each part and the embodiment of clear tonic etc. reflects the features of the traditional music. That is to day, we can see Webern attempted to combine the reformative twelve-tone music's technique based on the traditional music.;베베른은 쇤베르크, 베르크와 더불어 제 2 빈 악파(The Second Viennese School)로 불린다. 그의 작품은 작품양식에 따라 3기로 나뉘는데 제 1기는 조성 음악의 시기(1899-1908)이고, 제 2기는 무조 음악의 시기(1908-1924)이며, 제 3기는 12음 기법의 시기(1924-1945)이다. 본 연구에서는 12음 음악의 시기인 제 3기의 작품 중 'String Trio, op.20'을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은 이 곡에 나타난 음열, 선율과 리듬의 구조적인 특징을 통해서 베베른 음열 기법의 일부와 작곡과정에 있어서의 전통음악적 요소가 현대음악에 어떻게 접목되어 나타나는가를 음열구조와 분할 그리고 선율과 리듬구조에 대해 살펴보는 형식을 사용하였다. 두 악장으로 구성된 'String Trio, op.20' 의 제 1 악장은 론도 형식으로 Introduction-A-B-A-C-Introduction-A-B-A-Coda로 구분된다. Introduction에 사용되어 대칭구조를 이루는 R4 - P4 음열은 Coda에서 P4 - R4 로 역행되어 나타나 곡 전체의 대칭구조를 유도한다. A부분의 시작음열이 I4 인 점과 A부분의 마지막 2음열인 I2와 RI8이 I4와 동일한 2개의 tetrachord를 가진다는 점 그리고 C부분의 마지막 음열인 R3이 I4와 조합(combinatoriality)을 이룬단 점등을 감안할 때 이 곡에서 T4는 Tonic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반복되는 부분들은 동일한 음열을 사용함으로 곡에 통일성을 부여한다. 음열분할에 있어서는 tetrachord와 hexachord가 나타나는데 Introduction과 Coda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제 2 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Introduction - Exposition - Development - Recapitulation - Coda로 구분된다. 2악장도 1악장과 마찬가지로 Introduction의 P0로 시작하여 Coda의 R0로 곡을 마친다. 이 곡에서는 전통적인 Ⅰ-Ⅴ-Ⅰ진행을 음열의 전조(modulation)를 통해 구현한다. 또한 exposition과 recapitulation의 거의 정확하게 같은 길이, 동일한 수-closing의 확장된 5마디의 두 음열 제외한-의 음열 사용 그리고 Introduction과 Coda의 내용의 일치를 통해 곡에 통일성을 부여한다. 그리고 음열을 다성부(polyphony)적으로 배열하여 곡을 진행시킨 점이 눈에 띄는 특징이다. 리듬에 있어서 제 1 주제는 2:3 리듬 분할을, 제 2 주제는 점(dot) 음가 리듬을 각각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서 이 곡이 12음 기법의 원칙을 지키며 현대 음악기법으로 구성되긴 하였으나 음열의 구조에 있어서의 조성음악적 구조, 각 부분들의 내용에 있어서의 통일성 그리고 명확한 tonic의 구현 등은 전통음악의 특징이 반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Webern은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12음 음악기법을 융합시키려 했음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