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귀자-
dc.contributor.author임진아-
dc.creator임진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6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2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603-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에는 예전에 보지 못했던 다양한 음악들이 공존한다. 그 중 12음 음악기법은 조성적 화성의 규범성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질서와 규칙을 찾기 위한 것으로 Schoenberg와 Berg, Webern을 중심으로 한 제 2의 빈 악파에 의해 창안?발전되었으며, 이 기법은 제 2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미국과 유럽의 전역에 급속도로 퍼져, 1950년대 말기까지엔 음열개념의 영향을 받지 않은 작곡가가 별로 없을 정도에 이르렀다. 제 2의 빈 악파의 영향을 받은 작곡가들로는 스칼코타스(Nikos Skalkottas, 1904~1949), 크셰넥(Ernst Krenek, 1900~1991), 달라피콜라(Luigi Dallapiccola, 1904~1975), 스트라빈스키(Igor Stravinsky, 1882~1971), 밀튼 배빗(Milton Babbitt, 1916~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12음열을 순수하게 기본음열대로만 사용하지 않고, 음열 사용방법을 더욱 확대, 발전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Milton Babbitt의 초기 음열작품 중 12음 기법을 확대시키기 위해 처음으로 작곡된 Three Compositions for Piano을 분석함으로서, 이 곡에 나타난 음열 구조를 중심으로 세 곡에 사용된 음열들의 연관성과 각 곡에 나타나는 음열작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곡에서는 Babbitt의 곡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는 트라이코드 배열(trichord array)과 집성(aggrigate), 트라이코드나 헥사코드를 사용한 군 작법(group composition), 그리고 추출음열(derived set), 그리고 전 음열주의(total serialism)과 같이 좀 더 발전되고 확대된 12음 기법을 볼 수 있다. 제 1곡은 음열원칙을 음고 뿐만 아니라 리듬, 다이나믹스의 요소들도 음열화 시켰으며, 제 2곡은 제 1곡의 음열을 바탕으로 한 세 개의 추출음열을 사용하여 음역에 따라 분리된 4라인(Lyne)을 트라이코드 배열로 구성된다. 제 3곡 또한 제 1곡의 기본음열에 의한 두 가지 추출음열이 사용되었으며, 제 2곡과 같이 네 개의 트라이코드가 음역에 따라 네 개의 라인으로 형성되거나 헥사코드로 분할되기도 한다. 세 곡 모두 곡 전체에 수직적인 집성을 나타내며 각 부분이 대칭구조를 갖는다.;In the 20th century, various music techniques coexist simultaneously, compared with what they used to be in former times. Among these, the twelve-tone technique which aims for pursueing new systems and rules which substitute principal of tonal harmony, had been developed by Arnold Schoenberg, Alban Berg, and Anton Webern of the second Viennese school. This technique rapidly spread out to Europe and America for several years after the World War Ⅱ. Many composers; Nikos Skalkottas (1904~1949), Ernst Krenek(1900~1991), Luigi Dallapiccola(1904~1975), Igor Stravinsky(1882~1971), Milton Babbitt(B.1916), etc.; are influenced by twelve-tone technique since the second Viennese school in 1950s. But these composers not only used the twelve-tone row in conventional method as did the Viennese composers but also extended and developed the row in various ways. This study analyzes "Three compositions for Piano" which is utilized techniques of set extensions among the early works of Milton Babbitt, and investigates pitch structure and correlation of each twelve-tone row. Developed and extended twelve-tone techniques, including trichord array and aggrigate,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Babbitt's works, group composition of trichord and hexachord, utilization of derived set, and total serialism, are used in "Three compositions for Piano". The first composition is serialized the principal of set not only pitch but also elements of rhythm and dynamic. In the second composition, there exist three derived sets based on the first composition’s row and consist of four lynes with trichord array according to register. The third composition also utilizes two derived sets from the first composition’s row. Four trichords divide four lynes according to register as did in the second composition, or several different types of hexachords are used. The vertical aggrigate appeares in all of three compositions, furthermore each section shows symmetrical struc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 개요 Ⅰ. 서론 = 1 1. Milton Babbitt의 음악적 배경 = 1 2. Babbitt의 연도별 작품목록 = 4 Ⅱ. 본론 = 9 1. Three Compositions for Piano, No. 1 = 9 2. Three Compositions for Piano, No. 2 = 23 3. Three Compositions for Piano, No. 3 = 42 Ⅲ. 결론 = 56 참고문헌 = 58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016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Milton Babbitt의 Three Compositions for Piano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n Milton Babbitt’s 『Three Compositions for Piano』 - centered on pitch structure--
dc.creator.othernameLim, Jin A-
dc.format.pageⅶ,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