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홍미림-
dc.creator홍미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7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2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77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과 관련변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에서 어머니 및 유아 행동특성 각각의 속성을 결정지어줄 수 있는 하위변인을 추출하고, 그들 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상호작용 관련변인인 애착 안정성, 유아의 기질, 발달연령이 유아 행동특성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변인들을 종합하여 유아 행동특성을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변인을 알아보고 그 변인들의 상대적인 설명력 또한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반포, 신촌, 은평, 분당, 일산)에 거주하는 만 30개월부터 43개월 사이의 유아와 어머니 33쌍이다. 측정 도구로는 우선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4가지 과제 상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4가지 과제 상황은 Erickson, Sroufe와 Egeland(1985)가 최초로 고안한 과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과제를 근거로 정지나(1997)와 서문옥(2000)이 선택 및 번안하였고, 이것을 다시 성희용(2004)이 일부분 수정하고 통합하였다. 과제 수행시의 어머니-유아 간 상호작용의 측정을 위해서 Erickson, Sroufe와 Egeland(1985)의 교수전략 평정척도(Teaching Strategies Rating Scale)를 정지나(1997)가 번안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애착 안정성 측정을 위해 애착 Q-set(Waters, 1987)을, 유아의 기질 측정을 위해서는 Toddler Temperament Scale(TTS; Saslow, 1993)을 백경숙(1996)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발달연령 측정을 위해서는 베일리 유아 발달검사 2판(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Second Edition : BSID-Ⅱ; Bayley, 1993)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 시 어머니 행동특성은 주로 구조화, 유아에 대한 믿음, 과제지시가, 유아 행동특성은 주로 순응성, 긍정적 경험, 긍정적 정서가 각 변인의 속성을 결정지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은 주로 이러한 행동특성들을 중심으로 설명될 수 있는 점을 시사 해 준다. 둘째, 애착 안정성과 문제해결 상호작용에서의 유아 행동특성의 관계를 알아보았을 때, 애착 안정성은 유아 행동특성 중 긍정적 경험, 긍정적 정서, 과제에 대한 열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기질을 구성하는 하위변인들 중 유아 행동특성 각각을 설명해 줄 수 있는 변인은 무엇이고 그것이 얼마나 설명력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유아의 기질 중 적응성이 긍정적 경험을 17% 정도, 기분이 의존성을 12% 정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넷째, 발달연령 집단에 따른 유아 행동특성의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는데, 37개월 이상의 유아들이 37개월 미만의 유아들보다 어머니의 과제지시 및 제안에 더욱 순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 행동특성 및 관련변인(애착 안정성, 기질, 발달연령)들이 유아 행동특성을 얼마만큼 설명해 줄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 행동특성에서 구조화가 유아 행동특성 중 순응성(69%), 인내력(61%), 회피(50%)에 대하여, 어머니의 유아에 대한 믿음은 유아의 긍정적 정서(64%)와 긍정적 경험(57%)에 대하여 높은 설명력을 지녔다. 그리고 어머니의 과제지시는 유아의 과제열정(46%)에 대하여, 유아의 기질 중에서 기분이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의존성(12%)에 대하여 유의한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 행동특성들 대부분은 어머니의 행동특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었고, 예외적으로 유아의 의존성은 어머니 행동특성이 아닌 기질 하위변인인 기분에 의해 설명될 수 있었다. 반면에 애착 안정성이나 발달연령은 유의한 설명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제해결 상호작용 상황에서 보이는 유아 행동특성은 주로 어머니 행동특성과 기질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학습 수행 및 학습 태도는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및 유아의 개인적인 특성 등과 같이 다양한 사회적·개인적 요인을 고려했을 때 더욱 명확하게 설명됨을 알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ther-Child Interaction during Problem Solving and Related Variations(attachment security, temperament, developmental age). The subjects were 33 infants, age 30-43 months, with their mothers. In order to assess to Mother-Child Interaction, each mother-child dyad was observed in the Problem-Solving Session(Eriksons, Sroufe, & Egeland, 1985). The mother's behavior and the child's behavior were assessed using the Teaching Strategies Rating Scale(Erikson, Sroufe, & Egeland, 1985). Attachment security was assessed by Attachment Q-set(Waters, 1987), temperament was assessed by the Toddler Temperament Scale(TTS; Saslow, 1993), and development age was assessed using the BSID-Ⅱ(Bayley,1993). The data of this study was analyzed by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mother's behavior and positive child's behavior(excepting reliance of mother for help). Highlighted by th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s the mother showed better structure, stronger confidence, and better quality of instruction, the child tended to comply with mother's task direction, more positive experience for the session, and more affection towards the mother. 2. Attachment security score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child's experience for the session, child's affection towards the mother, and child's enthusiasm. 3. Among the temperamental factors perceived by the mother, the child's positive adaptability explains positive experience for the session. The child's negative mood explained the reliance of the mother for help.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s compliance according to developmental age. That is, children 37 months and over of developmental age expressed more compliance. 5. Us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most of the child's behavior is explained by the mother's behavior, but the child's reliance on his mother for help was explained by the child's negative as mood perceived by the mother. Consequently, the child's behaviors during Problem-Solving Session were mainly related to mother's behavior and temperament. This study suggested that various psycho-social factors contributed to child's accomplish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 = 7 1.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 = 7 2. 선행연구를 통한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 방법론에 관한 고찰 = 9 B.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 관련변인 = 12 1. 애착 안정성 = 13 가. 유아기의 애착 안정성 = 13 나. 애착 안정성과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 = 15 2. 기질 = 18 가. 기질의 개념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 18 나. 기질과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 = 20 3. 발달연령 = 24 가. 발달연령의 개념 = 24 나. 발달연령과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 = 25 Ⅲ. 연구 방법 = 28 A. 연구 대상 = 28 B. 실험 도구 = 31 1.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 = 31 가. 구조화된 4 가지 상호작용 과제 = 31 나. 상호작용 과제에서의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측정 = 32 2. 애착 안정성 측정(애착 Q-set) = 33 가. 애착 Q-set = 33 나. 애착 Q-set 분류 및 점수화 방법 = 34 3. 유아 기질 검사 (Toddler Temperament Scale : TTS) = 35 가. Toddler Temperament Scale(TTS) = 35 나. TTS의 하위 내용과 채점 방법 = 36 4. 발달연령 측정(BSID-Ⅱ) = 38 가. 베일리 유아 발달검사 2판(BSID-Ⅱ) = 38 나. BSID-Ⅱ의 구성 및 측정내용 = 39 C. 연구 절차 = 40 1. 예비 실험 = 40 2. 본 실험 = 40 3. 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 행동특성 분석 및 평정 = 41 D. 자료 분석 = 42 Ⅳ. 연구 결과 = 44 A. 문제해결 상호작용 시 어머니 행동특성과 유아 행동특성 간의 관계 = 44 A-1. 정준상관관계분석을 위한 예비분석 = 45 A-2. 정준상관관계분석을 통한 어머니 행동특성과 유아 행동특성 간의 관계 = 48 B. 문제해결 상호작용 시 관련변인과 유아 행동특성 간의 관계 = 53 1. 애착 안정성과 유아 행동특성 = 53 2. 기질과 유아 행동특성 = 54 3. 발달연령과 유아 행동특성 = 55 C. 유아 행동특성에 대한 어머니 행동특성 및 관련변인들의 상대적인 설명력 = 56 Ⅴ. 결론 및 제언 = 60 A. 결과 요약 및 논의 = 60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66 참고문헌 = 70 부록 = 79 영문초록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65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dc.title어머니-유아 문제해결 상호작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other-Child Interaction during Problem Solving and Related Variations-
dc.creator.othernameHong, Mi Rim-
dc.format.pageⅴ,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