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3 Download: 0

1950년대 비평의 독립성과 전문화 연구

Title
1950년대 비평의 독립성과 전문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dependence and specialization of criticism in the 1950s
Authors
김세령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현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various critical recognition and practice in literary criticism of the 1950s and to turn out the achievement and limitation in view of criticism history with attention to the independence and specialization of literary criticism thorough the appearance of professional critics. By way of this intention the analysis of theoretical study, critical argument, and practice of criticism in the context of the 1950s were investigated and reconstructed in the meaning of criticism history. Chapter Ⅱ shows the theoretical study and the settlement of the independence in the literary criticism. Many professional critics' appearance made a new criticism possible who based on the theory of the 1950s, including existing critics such as Cho Youn-hyun, Kwak Jong-won, Jung Tae-yong, Baek Chul, etc. They pursued the dignity of criticism as an independent literary genre not existing criticism which creation is superior to. Besides diverse recognition and assignments as the role of critic manifested a strong self-consciousness of criticism and made the phase of criticism firm. They also made efforts to establish the standard and moral of criticism as fundamental work for the independence of criticism. For which they criticized a wrong critical attitude and indicated a new direction. In this process they showed criticism with a differ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 of human life or knowledge and considered critical attitude connecting to critical method. In order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criticism which didn't exist at that time, they researched into a specific critical method. The method of the analysis that criticism is superior to creation was sought newly by the interest of language and new criticism in the 1950s and it remained the important achievement of criticism in pursuit of the general method of criticism beyond the existing limitation of dichotomy. Such a theoretical search made the independence of criticism maintain after the 1950s. In chapter Ⅲ the specialization of critical argument and individual criticism were investigated. The argument of “the liberty of criticism” and “a monthly review” between You Jong-ho and Kim Woo-jong caused other arguments and made them the significant achievement of criticism through their interactions. The argument of "the liberty of criticism" attained their self-reflection in process that professional critics with self-consciousness of criticism introspected basic problems of criticism, and revealed the liberty, the dignity, the responsibility of criticism and exposed the importance of moral in criticism to the literary world. And the problems of "a monthly review" of the day was raised by critical argument related to it, which made them find out the critical meaning of "a monthly review" getting out of criticism that a work is superior to anything.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a monthly review" was emphasized. And it could be recognized that a professional critic should be in charge of "a monthly review", which headed for specialization. Existentialism, modern, and tradition argument showed the differentiation of the recognition of criticism through their confrontation.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western theories, existentialism argument conflicted with between the acceptance of exact knowledge for western theories and their applicable possibility in Korea. Modern argument shows the recognition of the day for modern and regards modern as a transitional and typical period which is negative or as a new modern apart from pre-modern. And it places emphasis on modern which is different from pre-modern in quality and reveals historically particular reality of Korea. Tradition argument, connected to the recognition of tradition, considers tradition as a ethnic and native element and as classical culture which has meaning of the present. It tries to discover the literature of the present and historical tradition with meaningful reality through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classic. Therefore the critical argument in the 1950s takes on a specialized aspect of each criticism away from the literary criticism with the confrontation of group ideology. The practice of criticism and the specialization of works and writers were investigated in chapter Ⅳ. Recognizing reality of novel of the day, arguing self-consciousness, and overcoming confrontation between lyricism and intelligence show understanding and literary estimation in the 1950s. Reality recognition and self-consciousness argument were discussed deeply by the Hwang Soon-won and Son Chang-sub's leading role. The absence and limitation of reality recognition in Hwang Soon-won's novels and the meaning of self-consciousness in Son Chang-sub's novels were proved, which indicated a new direction beyond limitation of novel of the day. And the dichotomy between lyricism and intelligence was approached critically according to the various critical views. From this research the confrontation headed for generalization and pointed out a new direction of modern poetry combining lyricism and intelligence. The arrangement and succession of Korean literary achievement of the day as well as the practice of literary criticism in the 1950s were accomplished actively. Critics in the 1950s reflected and estimated Korean literature through access of literary history revealing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literary criticism and literary history. In accordance with critical view, other critical objects were highlighted and remained the significant accomplishment which connected literary criticism with sight of literary history. On the other side there was the research for finding out the present value in works and writers of the past. It is related to whether today there is inheritable value in the midst of literary inheritances. The same things were estim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critical interest. Therefore the practice of criticism in the 1950s showed not fragmentary criticism relying on impression but gradually concrete attitude for research and the specialization for works and writers. The independence and specialization of criticism in the 1950s rendered criticism a leading role in literature and developed it with various fields. Though there were meaningful attempts before the 1950s, many professional critics began to research in earnest in the 1950s. Professional critics with self-consciousness of criticism formed theoretical foundation of criticism which was lack of basement and made it possible critical argument and the practice of criticism. However a lot of possibilities were limited because ideological selection or making relation with reality were not easy in definite situation of postwar days. And there are critical researches individually which showed limitation on the point that there was not critics' productive and active communication. Nevertheless, many achievements from the independence and specialization of criticism in the 1950s have influence on criticism these days and should not be overlooked with the importance of critical history in that it is maintained as basic of modern criticism.;본 논문은 1950년대 문학 비평이 전문 비평가들의 등장으로 비평의 독립성과 전문화가 이루어졌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1950년대 비평의 다양한 비평 인식과 실천을 고찰하고 그 비평사적 성과와 한계를 규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위해 1950년대 문학 비평이 보여주고 있는 비평에 대한 이론적 탐색, 비평 논쟁, 비평의 실천을 당대의 맥락에서 분석하고, 비평사적인 의미망 속에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먼저 II장에서는 비평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비평의 독립성 확보를 고찰하였다. 1950년대 이론적인 기반을 갖춘 다수의 전문 비평가들이 등장하면서, 조연현, 곽종원, 정태용, 백철 등의 기성 비평가와 함께 새로운 비평의 형성이 가능해졌다. 이들은 기성 문단에 만연해 있던 작품 본위의 비평관을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문학 장르로서 비평이 갖는 존엄성을 추구하였다. 또한 비평의 과제와 비평가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보여줌으로써 비평에 대한 강한 자의식을 드러내면서 비평의 위상을 정립시켜주었다. 현대의 위기 상황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판단하고 제시해나가는 비평의 위상을 강조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지만, 각자가 지닌 비평관에 따라 다양한 비평인식을 보여주면서 비평적 입지를 분화시켜 나가게 된다. 1950년대 전문 비평가들은 비평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비평의 모랄 정립과 비평 기준의 설정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들은 기존의 잘못된 비평 태도를 비판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비평의 모랄을 정립하고자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비평을 ‘인생’이나 ‘지식’ 중 어떤 문제와 연결 짓는가에 따라 각기 다른 지향점을 보였고, 비평 태도의 문제를 비평 방법과 연결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비평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그 동안 부재하였던 비평의 기준을 설정하고자 했다. 언어에 대한 관심을 보이거나 신비평을 소개하면서 작품의 내적인 분석 방법을 모색하였고, 기존의 이분법적인 한계를 넘어서 종합적인 비평 방법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비평 성과를 남기고 있다. 이는 비평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해서 1950년대 이후 비평이 지속적으로 그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III장에서는 비평 논쟁과 개별 비평에 대한 전문화를 고찰하였다. 유종호와 김우종 간의 ‘비평의 자유’ 논쟁, 월평 논쟁과 여기에서 파급된 비평 논의들은 비평의 상호 작용을 통해 중요한 비평적 성과를 이루었다. ‘비평의 자유’ 논쟁은 비평에 대한 자의식을 가진 전문 비평가들이 비평의 기본적인 문제들을 지적으로 성찰하고 평가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비평의 자기 반성에 이를 수 있었고, 비평의 자유와 존엄성, 비평의 책임과 모랄의 중요성을 평단에 부각시켰다. 또한, 월평 논쟁과 이와 관련된 비평 논의를 통해 당대 월평의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작품 우위의 비평관을 벗어나 월평의 비평적 의미를 모색하였다. 이렇듯 그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비평가들은 월평을 전문 비평의 영역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월평의 전문화를 지향하게 된다. 한편, 실존주의 논쟁, 현대 논쟁과 전통 논쟁은 비평의 대립을 통해 비평 인식의 분화를 보여 준다. 실존주의 논쟁은 서구 이론의 수용 문제와 관련되면서, 정확한 지식적인 수용을 강조하는 입장과 한국 내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강조하는 입장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현대 논쟁은 시대 인식의 문제를 보여주면서, 과도기나 전형기로 현대를 부정적으로 보기도 하고 근대와 단절된 새로운 현대라는 시대 인식을 보여주거나 근대와는 질적인 차이를 가지면서도 한국 역사의 특수한 현실이 드러나고 있는 현대의 특성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통 논쟁은 전통 의식의 문제와 관련, 민족적이며 향토적인 요소로 전통을 한정하기도 하고, 현재에 의미 있는 ‘고전적 교양’을 전통으로 인식하기도 하며, 고전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을 통해 오늘의 문학과 현실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역사적 전통을 발견하고자 했다. 이와 같이 1950년대 비평 논쟁은 집단적인 이념 대립의 양상을 보였던 문학 논쟁에서 벗어나 개별 비평에 대한 전문화 양상을 보이게 된다. IV장에서는 비평의 실천과 작품·작가에 대한 전문화를 고찰하였다. 당대 소설의 현실의식과 자의식 논의, 당대 시의 서정·지성의 대립 극복은 1950년대 문학에 대한 이해와 평가를 보여 준다. 당대 소설의 현실의식과 자의식 문제는 황순원과 손창섭을 중심으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황순원 소설의 ‘현실 의식’의 부재와 한계, 손창섭 소설의 ‘자의식’이 갖는 의미가 규명되면서, 당대 소설의 한계를 넘어선 새로운 방향이 제시되었다. 당대 시의 서정·지성의 이분법적인 대결 구도는 다양한 비평적 입장에 따른 비판적 접근이 행해졌다. 이러한 모색들로 당대 시의 서정·지성의 대립은 종합을 지향하며 극복되어 나갔고, 서정과 지성을 아우르는 새로운 현대시의 방향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1950년대 문학에 대한 비평의 실천 외에 당대까지의 문학적 성과를 정리하고 계승하려는 작업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1950년대 비평가들은 문학사적인 접근을 통해 한국 문학에 대한 반성과 평가를 내리면서, 문학 비평과 문학사의 밀접한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비평적 입장에 따라 다른 비평 대상들을 문학사적으로 부각시키면서, 문학 비평과 문학사의 시각이 연결된 중요한 성과들을 남기고 있는 것이다. 한편 특정한 과거의 작가나 작품을 대상으로 현재적인 가치를 발견하려는 모색들도 이루어졌다. 이는 문학 유산 중에서 오늘날 계승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있는지 판단하는 작업과 관련되는 것으로, 비평적인 관심사에 따라 동일한 대상에 대해서 다른 가치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렇게 1950년대 비평의 실천은 인상 위주의 단편적인 시평이나 월평을 벗어나 점차 본격적인 연구의 태도를 보이면서 작품·작가에 대한 전문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950년대 비평은 독립성과 전문화 경향으로 문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감당하게 되었고, 다양한 비평의 영역들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1950년대 이전에도 의미 있는 시도들은 있었지만, 1950년대 다수의 전문 비평가들을 통해 비로소 본격적인 모색이 이루어진다. 비평에 대한 강한 자의식을 가졌던 전문 비평가들로 인해 그 동안 취약하였던 비평의 이론적인 기반이 마련되고, 전문성을 띤 비평 논쟁과 비평의 실천이 가능해진 것이다. 그러나 전후라는 한계 상황으로 이념적 선택이나 현실과의 관계 맺기가 불가능해져 그 가능성을 제한받게 된 1950년대 비평은 비평가들의 개별적 모색이 상호간의 생산적인 소통으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50년대 비평의 독립성과 전문화가 가져온 많은 성과들이 오늘날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면서, 현대 비평의 기본적인 토대로서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1950년대 비평은 간과될 수 없는 비평사적 중요성을 지니게 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