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9 Download: 0

연극치료의 극작술(Dramatrugy) 연구

Title
연극치료의 극작술(Dramatrugy)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ramaturgy of Drama Therapy
Authors
서동희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Degree
Master
Advisors
정우숙
Abstract
Drama text has undergone changes in its importance, consequence, and role, in accordance with the history of play. The status of drama text has declined still more due to the tendency of the theatrical world to make more of expressionistic aesthetics rather than the contents of play in addition to the global trend of postmodernism, which heads toward freedom from reason, language, and reality, late in the 20th century. Even in the field of drama therapy, one of the art treatments, the therapy is prevailing with the theatrical techniques centered while the role and meaning of drama have been reduced. In this light, this thesis examines the drama-therapy dramaturgy by extracting the role and element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drama therapy only by the drama text. In particular, the properties of dramaturgy are specified, which can have healing effects, among others, in In-hun Choi's works, which recreate the Korean legendary literature and delve into the inner nature of human beings. The works in study are Where can we rendezvous again in what form, Tom-tom Nangrang-tom, Once upon a time, shoo, shoo away, In the mountain and field when spring comes, Oh, Moon, bright Moon, Hushaby first baby, hushaby second baby, except Hans and Gretel which is not based on a Korean tale. First of all, ‘The maximization of the participating self's alienated situation’ can be established as a starting point in triggering the recovery of shattered relations, where the interviewee realizes the problem of estrangement and its meaning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play who are out of favor. ‘The determination of self-archetype via the sacrifice motif’ is a literary device that assigns an opportunity of passage ritual to the interviewee. Thereby, he or she can be divested of the past agonizing memories that restrains the present and can be given courage to pursue a more ideal ego. ‘The fantastic reversal of coexistence and concord’ is a fantastical conclusion that restores the wrecked relationships. By virtue of this, the interviewee is led to use imagination which is capable of capsizing the reality, and to gain a will of retrieving the relationships. ‘The reflection of unconsciousness through dream motifs’ makes it possible to dramatize the interviewee's unconsciousness or suppressed impulse in a figurative way. By doing this, it enables the interviewee to face his or her own problem and overcome it while keeping a safer dramatic distance. The organizing method, ‘The montage of the reality and marginal reality’, can expand the world vision while distinguishing self from others, self from world, reality from fantasy, by inducing the interviewees to have access to the multi-dimensional world and boundary. ‘The transformation of roles’ provides an opportunity to free oneself from self-centeredness, through which one is made flexible by letting oneself understand one's own multi-dimensionality and breaking up the recognition of one's rigid role. 'The mediating character as a guide' helps to convey the message for the interviewee in a more effective way. The therapist can interpose a character, who will play a part of guide, when he or she has to deliver a certain message to the interviewee on the spot of drama therapy or wrap up the drama syntactically. ‘The utilization of performing objects’ helps the interviewee to project his or her inside more positively and express himself or herself in a creative fashion. Furthermore, it helps the interviewee to get out of his or her fixed image and role recognition and discover his or her new self. 'Body language' helps the interviewee to harmonize the mental stability with physical function.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converging or diverging the play character's inside through imagination, the interviewee comes to express himself or herself with body, not with spoken language, which furnishes a opportunity to unloosen the stiff body and mind. 'The insertion of songs in the play' can be expected to enable the satisfaction of self-expression or mental composure by the nature of songs. However, just as the characters in the Choi's plays swallow and placate the rancor with a metaphoric song, rather than be buried under the tragic circumstances, the interviewee is to experience the expressive aesthetic power of spite-venting songs. By making use of these several features abstracted from In-hoon Choi's plays as mentioned above, a clinical demonstration was conducted to the patients at the psychiatric ward of A Hospital. The drama therapy program utilizing drama texts, in fact, has brought forth various effects for the patients and they themselves felt quite satisfied. The elements of dramaturgy, extracted from the Choi's works, and the effects of drama therapy have been investigated as a whole, grounded on the group case study according to contents and the individual case study according to session. This study of drama-therapy dramaturgy extracts the components of dramaturgy, needed on the scene of drama therapy. Then they are applied directly to the patients, by which it is found out how drama texts can be utilized and what effects can be obtained in a concrete way. This thesis looked into the usefulness of drama texts and practical effectiveness on the spot of drama therapy. Thereby,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drama texts could have been confirmed.;희곡 텍스트는 연극사적 흐름에 따라 그 중요성과 비중 그리고 역할이 달라져왔다. 20세기 후반의 탈이성, 탈언어, 탈사실을 지향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세계적 추세와 함께 희곡의 내용보다는 표현미학을 중시하는 연극계의 경향으로 인하여 희곡 텍스트의 위상은 더욱더 하락되었다. 예술치료의 하나인 연극치료 분야에서도 희곡의 역할과 의미는 축소된 채, 연극적 기법만을 위주로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연극치료에서 희곡 텍스트가 해 줄 수 있는 역할과 요소들을 추출하여 연극치료의 극작술(Dramatrugy)을 고찰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작업과 연구를 통해 희곡의 실천적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작품으로는 한국설화를 재창조하여 인간 내면의 문제를 깊이 있게 천착해 들어간 최인훈 희곡을 중심으로 하였다. 그의 작품을 바탕으로 치유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극작술의 특질을 추출하여 다음과 같이 구체화시켰다. ‘관계적 자아의 소외상황 극대화’는 내담자가 소외상황에 처한 극중 인물을 통해서 소외의 문제와 의미를 자각하고 파탄 난 관계 회복을 위해 발돋움할 수 있도록 추동해주는 출발점이 되는 문학적 설정이다. ‘희생 모티프’는 내담자에게 통과의례적인 기회를 부여한다. 그리하여 현재를 구속하는 과거의 아픈 기억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해주어 보다 이상적인 자아를 추구할 수 있도록 내적 정화와 삶에 대한 의지를 고취시킨다. ‘공존과 화합을 위한 극적 반전’은 내담자가 파탄 난 관계를 다시 회복시켜주는 환상적 결말을 통해서 현실을 전복시킬 만한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주며 닫힌 마음의 빗장을 열어주어 정신적 해방감과 자유로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무의식 투영을 위한 꿈의 차용’은 의식의 수면 밑에 가라앉아 있는 내담자의 무의식이나 억압된 충동을 은유적인 방식으로 극화하여 내담자가 안전한 극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자기 문제를 대면할 수 있도록 해준다. ‘현실과 잉여현실의 몽타주’ 구성 방식은 내담자들로 하여금 다차원의 세계와 경계를 넘나들도록 유도하여 나와 타인, 나와 세계, 현실과 환상과 같은 경계를 구별하게 하면서 동시에 나와 세계를 바라보는 시야를 확장시켜 준다. ‘다양한 역할 변신’은 내담자가 극중에서 다양한 역할 탐험을 시도하게 하여 자기중심적인 자아에서 벗어나 자아의 탈중심화를 경험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자아의 다면성을 이해하도록 하며 경직된 역할 인식을 깨뜨려 보다 융통성 있는 자아로 만들어 준다. ‘안내자로서의 매개적 인물’은 연극치료 현장에서 치료사가 특별히 내담자를 위해 어떤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거나 극을 종합적으로 아우르고자 할 때 극중 안내자 역할을 하는 인물을 삽입하면 내담자를 위한 메시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연행오브제의 활용’은 내담자가 탈과 인형, 그림자극 같은 오브제에 자기 내면을 투사하여 보다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오브제의 상징적 이미지는 고정된 의미 해석에서 벗어나 내담자가 다양한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무디어진 심신의 감각을 환기시켜 창조적 자아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몸짓언어’는 내담자의 심리적 안정과 신체적 기능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준다. 내담자가 극중 인물의 내면을 자신의 신체적 상상력을 통해서 수렴 혹은 확산하는 과정을 통해 경직된 몸과 마음은 풀리고, 혼란스럽던 몸과 마음은 정리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극중 노래 삽입’은 노래 부르기 자체가 주는 자기표현의 만족감이나 정서적 안정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극적 상황에 매몰되지 않고 오히려 생명력을 충전하는 노래를 부르는 표현 미학을 통해 내담자의 아픈 내면을 승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추출한 최인훈 희곡의 몇 가지 특질을 활용하여 서울 시내 A 병원의 정신과 폐쇄병동에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희곡 텍스트를 활용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은 환자들에게 실제적인 효과를 가져왔으며 환자들 역시 매우 만족스러워 하였다. 프로그램 내용별 집단 사례 연구와 회기별 개인 사례 연구로 나누어 분석하여 최인훈 희곡에서 추출해 낸 극작술의 요소와 연극치료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증해보았다. 본고의 연극치료 극작술 연구는 연극치료 현장에서 필요한 극작술의 요소들을 추출하여 이를 직접 환자들에게 적용해봄으로써 실제 연극치료 현장에서 희곡 텍스트가 어떤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그 효과는 어떠한 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앞으로 이 논문의 연구 방법과 결과가 실제 연극치료 현장에서 작게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