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허윤석 소설의 서정성 연구

Title
허윤석 소설의 서정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yricism in Novels of Huh Yoon Seok
Authors
석혜선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美賢
Abstract
Huh Yoon Seok's novel surpasses domain of novel as a general genre, and shows characteristics of poetic genre. Poetic orientation in his novel is represented in his view of literature as "prosaic spirit through elevation of poetic spirit". His view of literature is a basis for examination of lyricismthat will be covered in this thesis. In this thesis, I examined all the short stories with settings of pre-and post-liberation period and the period of Korean War as well as a novel "Kukwanjo". Iadopted theories of Ralph Freedman and Wolfgang Kayser dealing with lyricis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examine lyricism innovels of Huh Yoon Seok on the basis of characters, space and image. In chapter Ⅱ, I understood characters of short stories with settings of pre- and post-liberation period and the period of Korean War as passive heroes, and characters of "Kukwanjo" as symbolic heroes. Passive and symbolic heroes are concepts of Freedman. Characters in Huh Yoon Seok's novels are described as passive heroes that accept problems in reality as parts of their lives rather than facing and fighting against them. Recovery of love between family members based on understanding and reconciliation is treated as a lyrical perspective that can help overcoming difficulties in reality. Characters, who were sacrificed by ideological conflicts, internalize conflicts with world of real life by way of yearning, sorrow, and hatred, but they eventually try to harmonize with real world through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Symbolic heroes transform perceptual objects into images. Therefore, heroes get disrupted into various types of selves, and they meet in dreams. Their efforts to find real self in dream verbalize critiques of real world that lost truth. Finally, main heroes find their identity through maternal love. Huh Yoon Seok pursues harmony with the outside world through such a true value as maternal love. In chapter Ⅲ, unity of self and the world through space is presented by panorama of self awakening and empirical moments. Oppressed situation under colonial occupation makes family members loosen their family ties. However, lyrical heroes express their longing for harmonious family life through self awakening in conclusion. Recovery of family relationship transforms to space of reconciliation through overcoming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 Natural space where self and the world are harmonized with each other was prototypical space of life. Reminiscence of past experiences helps people to overcome contradictions in reality. Repeated dreams are space time where the heroes talk with their other selves. The heroes try to recover their identities through speculation that is a reflection of self. A bird cage, a ward and an old house are places where the heroes think and talk. Space of dream for the writer is not a space for escape from reality, but a phantasmal space that is chosen as a way of solving problems in reality. In chapter Ⅳ, I examined characteristics of Huh Yoon Seok's poetic style through his sensuous, symbolic and musical languages. Suchlyrical languages call readers' emotion, and maintain lyrical mood of the works. Visual, tactile, olfactory and auditory images are reflections of psychology of characters. Through these images, readers can predict emotions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each character, and they learn lyrical emotions. Symbolic language helps internal world of human being to be reflected in natural objects. Those natural objects function as a medium of conveying emotions of lyrical heroes, and help human being and nature united. The ties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can be expanded to lively ties, showing that the order of human being is the same as thatof nature. Musical language with repeated phrases of onomatopoeic words, mimetic words, adjectives and adverbs builds up feeling of rhythm in novels, and it helps readers to feel that they are experiencing things in person. Musical language is also effectively used in materializing mood of characters, or elevating mood of the works to that of poems. In short stories of Huh Yoon Seok, fusion of self and objects, that are captured in consciousness of lyrical heroes, is expressed by poetic images or symbols, or longings for communication with outside world through humanism. In novels of stream of consciousness, readers perceive lyrical status of characters from their direct expression of emotions. Because narrative distance disappears in this type of novel, readers can share consciousness of characters. Huh Yoon Seok seeks harmony based on humanism that makes it possible to communicate between lyrical heroes and the world as an alternative proposal for overcoming negative reality of the times with colonial occupation and ideological conflict. This is the world view reflected in novels of Huh Yoon Seok. The writer examined internal phenomenon of lyrical novels, focusing on human nature rather than 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imes and reality. Esthetics of Huh Yoon Seok's novel lies in his unique world of works that unite poetic and prosaic spirits.;허윤석의 소설은 일반적인 소설장르의 성격을 넘어서 시적장르와의 접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소설속의 시적성향은 ‘시정신의 고양을 통한 산문정신’이라는 그의 문학관을 통해 드러나며 이것은 본고에서 다루게 될 서정성을 규명하는데 있어 그 근간이 될 수 있다. 허윤석은 특히 소설이라는 서사양식 속에 시적인 서정성을 결합하고 있으며 자칫 결여될 수 있는 현실의식까지도 담아내고 있어 현실도피라는 서정소설의 부정적인 평가를 극복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해방전후와 한국 전쟁기를 배경으로 한 전 단편들과 장편『구관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프리드만과 카이저의 서정성과 관련된 이론을 토대로 삼았다. 허윤석 소설에 나타나는 인물, 공간, 이미지를 중심으로 그의 소설의 서정성을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작가의 관점이 투사된 인물들이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며 그 내면화 된 갈등이 극복되는 양상은 작가의 서정적 전망으로 제시되며 이때 공간을 통해 드러난 자아와 세계와의 합일은 인물 스스로의 각성과 경험적 순간의 환기를 통해 나타난다. 인물과 객체가 융합되는 특성은 즉자적인 이미지로 표현되며 허윤석 소설에서 발견되는 이미지어를 통해 그의 소설의 서정적 특성을 밝혀낼 수 있다. 그것은 개별적이 아닌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작품 전체의 의미를 형성하고 있다. Ⅱ장에서는 프리드만의 수동적 주인공과 상징적 주인공의 개념을 토대로 하여 해방전후와 6·25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단편소설의 인물들을 수동적 주인공의 개념으로 파악하였으며 『구관조』는 상징적 주인공으로 살펴보았다. 허윤석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당면한 현실의 문제들에 정면으로 맞서기 보다는 삶의 일부로 간주하는 수동적인 인물로 형상화 된다. 인물들의 감정표출은 비극적 상황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독자로 하여금 인물들에게 몰입하여 연민의 감정을 형성한다. 이러한 갈등의 내면화는 인물의 감상적 정조에 따라 전개되며 인물의 인식 변화를 통해 극복된다. 여기에서 가족 성원들 간의 이해와 화해에 기초한 가족애의 회복은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서정적 전망으로 제시된다. 또한 남북 이념의 갈등에 희생당한 인물들은 그리움, 비애, 원망 등의 감정으로 현실세계와의 갈등을 내면화하나 그들은 결국에는 화해, 용서를 통해 세계와의 화합을 시도한다. 이와 같이 인간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지니고 있는 주인공들은 작가의 서정적 세계관이 반영된 인물이므로 인간애에 기초한 작가의식이 그 기저에 놓여있음을 알 수 있다. 상징적 주인공은 지각되는 대상들을 이미지로 변형시킨다. 따라서 주인공은 다양한 유형의 자아로 분열되어 꿈속에서 조우하며 그 속에서 진정한 자아를 찾기 위한 노력은 진실한 모습을 상실한 현실 세계에 대한 비판까지도 담아내고 있다. 주인공은 결국 모성애를 통해 정체성을 발견하게 되며 허윤석은 모성성과 같은 진정한 가치를 통해 세계와의 화합을 추구한다. Ⅲ장에서 공간을 통해 드러나는 자아와 세계의 합일은 인물 스스로의 각성과 경험적 순간의 환기로 나타난다. 주체와 객체의 화합을 도모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자아와 세계의 화합을 열망하는 서정적 인식의 공간이 설정된다. 식민지 현실의 폭압적인 현실상황은 가족 구성원의 유대감의 결여를 보이나 결말에 이르러 서정 주체는 스스로의 각성을 통해 가족에 대한 화합의 갈망을 내보인다. 이러한 가족관계의 회복은 집공간의 부정성 극복이라는 공간의식의 변화를 통해 화해의 융합공간으로 변모한다. 인물에게 현재는 자아의 내면속에 심리적으로 결핍된 시간이며 그러한 결핍이 존재하지 않는 시간은 과거로 인식된다. 자아와 세계가 화합했던 원형적인 삶의 공간인 자연공간은 인물과 자연의 합일을 이뤘던 공간이며 인물의 과거 체험의 회상을 통해 현실에서의 대립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주인공은 소외로 인해 근본적으로 세계와 역동적인 반응을 할 수 없으며 내면속에서 나마 단절된 상태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한다. 이때 반복되는 꿈은 주인공이 자신의 분신들과 대화가 이루어지는 시공간이다. 주인공은 자아의 반영물인 사유를 통해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며 이때 새장, 감방, 고가(古家) 등은 사색하고 대화를 나누는 공간이다. 작품에서 꿈공간은 작가에게 있어 단순이 현실로부터의 도피가 아닌 현실의 또 다른 공간으로 인식되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선택된 환상적 공간이다. Ⅳ에서는 감각언어, 상징언어, 음악언어를 통해 허윤석의 시적인 문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서정적 언어는 독자의 정서를 환기시키며 작품의 서정적 분위기를 지속 시키고 있다. 시각, 촉각, 후각, 청각적 이미지는 대상에 대한 인물의 심리를 투영한 것이므로 인물의 정서와 심리변화를 예측할 수 있기에 독자는 서정적 정서를 체득하게 된다. 상징언어는 인물의 내면세계가 그대로 자연물에 투사되어 자연물은 서정적 주체의 감정의 매개물로 작용하며 인간과 자연의 세계가 합일된다. 이는 인간과 자연의 질서가 일치함을 보이는 확장된 생명성이다. 음악언어는 의성어, 의태어, 형용사, 부사 등의 반복어구를 통해 리듬감을 형성하여 독자에게 대상에 대해 직접 체험하는 것 같은 생동감을 준다. 또한 이것은 인물의 분위기를 구체화하거나 작품의 분위기를 시적으로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서정적 순간의 상태를 통해 대상성이 내면화되는 것이 서정성의 본질이며 이러한 감정의 상태는 허윤석 소설에서 리듬이나 운율의 시적언어로 표현되고 있다. 허윤석의 단편소설은 서정적 주인공의 의식 안에서 포착된 대상과 자아와의 융합이 시적 이미지나 상징으로 나타나거나 인간애를 통해 세계와의 소통을 열망한다. 의식의 흐름소설에서는 서정적 자아의 직접적인 감정토로로 서정적 상태를 지각하게 해준다. 이때 서사적 거리가 소멸되므로 독자는 인물의 의식을 공유하게 된다. 허윤석은 식민지 근대화와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인한 당대의 부정적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서 서정적 주체와 세계와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인간애에 기초한 화합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것이 허윤석 소설의 서정적 세계관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작가는 시대 및 현실상황에 대한 투철한 묘사 보다는 인간 자체의 본성에 역점을 두어 서정적 소설의 내면화 현상을 조명했다. 허윤석의 소설 미학은 시정신과 산문정신의 융화라는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