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혜-
dc.creator이미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3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2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36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principles of pedagogical gramma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organization, selection, and sequencing of grammatical entries, as well as for grammar description and grammar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 to investigate inductively the principles of teaching grammar by applying these principles to teaching speculative expressions. The first chapter of this study is dedicated to expressing its goals and to a review of the literature. A review of existing research reveals that in teaching Korean grammar, the selection, sequencing, and grammar description of speculative expressions have been conducted empirically, rather than according to consistent teaching principl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expresses the necessity of principles of pedagogical grammar in the teaching of Korean grammar, and introduces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to this end. In the second chapter, in order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the position of Korean grammar education is clarified, and the directions in teaching grammar at the discourse level are presented. Teaching Korean grammar remains on the level of application, and the content required for teaching is selected and organized based on studies of theoretical grammar. The teaching of grammar should include sentence grammar, discourse grammar, and pragmatic functions, so that it will perform on the discourse level. Grammar entries should be constituted of units of authentic language usage, and grammar descriptions should include forms, semantics, and pragmatic information.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s the organization,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grammar entries. Criteria for selecting grammar entries are established, and the question of whether, according to these criteria, the speculative expressions in Korean textbooks have been appropriately selected is examined. Grammar entries consist of specific grammar items used for teaching Korean grammar. In order to organize grammatical entries, grammar items related to content should be selected and reorganized into the forms required for education. Among grammar entries, those composed of multiple constructions are referred to as expression entries. The speculative expressions dealt with in this study make up one portion of those grammar entries composed of multiple constructions. The present study establishes four criteria for selecting Korean grammatical entries. First, Korean grammatical entries should select core items of Korean grammar content. Second, they should be constituted of necessary components. Third, they should consider the aspects of general language use. And, fourth, they should select pedagogically applicable items. In the fourth chapter, the criteria for and method of sequencing grammatical entries according to syllabi is investigated, and the criteria for sequencing grammatical entries in a communicative function-based syllabi are presented. And, according to these criteria, the speculative expressions are sequenc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yllabi are divided into two groups: grammar based and communicative function-based. When those communicative function-based syllabi that aim at teaching grammar at the discourse level sequence grammar items, thet consider the following order: function, frequency of use, ease of teaching and learning. Actual frequency of languages use was examined in order to apply these criteria to speculative expressions, an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a teaching order for speculative expressions is suggested. In the fifth chapter, principles of grammar description at the discourse level are investigated, and the content of grammar description for speculative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grammar books is examined. In addiction, the results of studies on the Korean language are reflected, and the content of grammar relating to speculative expressions is described. For teaching grammar at the discourse level, grammar description should include forms, meanings and pedagogical grammar should be appropriately simplified into those forms required for teaching, and it should describ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other grammatical entries. The method of description should be clear and familiar to learners. Based on this principle of description, this study presents speculative expressions in to ways: comparative description between expressions and individual descriptions of expressions. Bottom-up and top-down models for teaching grammar are explode in chapter six, and, according to them, a lesson plan for speculative expressions is presented. Since, in the bottom-up model, grammar is presented and instructed as an isolated form,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ability to use grammar in communication situations. Accordingly, on each level of model a device for grammar instruction in discourse is displayed. The top-down model, on the other hand, basically aims at performing communicative function so that how grammatical accuracy is achieved becomes a significant factor. Thus, this study emphasizes awareness of grammatical items in the course of executing tasks and the improvement of grammatical accur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s to systematize the teaching of grammar by establishing principles for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grammatical entries, as well as for grammar description. It also possesses merit in that it explores specific principles and directions for the contents of Korean grammar studies to be recognized and applied to pedagogical Korean grammar by associating studies of grammar and actual pedagogical grammar. Finally, this study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pedagogical information on speculative expressions by organizing the contents of grammar descriptions of speculative expressions, which were heretofore completely absent from the results of studies on Korean grammar.; 본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문법 항목의 구성 및 선정, 배열, 문법 기술, 문법 교수법을 대상으로 하여, 각 영역에 대한 한국어 교육문법 원리를 세우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이 원리를 추측 표현에 적용해 봄으로써, 교육문법 원리를 귀납적으로 검토하고, 동시에 추측 표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성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 내용을 검토하였다.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추측 표현의 선정, 배열, 문법 기술이 일관된 교육 원리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기보다 경험에 근거하여 이루어져 왔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하여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교육문법 원리의 필요성을 피력하고,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육 논의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한국어 교육 문법의 위치를 밝히고, 담화 층위의 문법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교육문법은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을 연결하는 응용 층위에 존재하며, 학문 문법의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에 필요한 문법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한다. 한국어 문법 교육이 담화 층위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 문법 교육은 문장 문법, 담화 문법, 화용 기능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문법 항목은 실제적인 언어 사용 단위로 구성해야 하며, 문법 기술은 형태, 의미, 화용 정보를 모두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실제 교육은 담화 자료로 담화 층위의 연습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담화 층위의 문법 교육 원리는 Ⅲ장~Ⅵ장에서 문법 항목을 선정하고 배열하며, 문법을 기술하고, 교육 방법을 구성하는 기본 방향이 되었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문법 항목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살펴보고, 한국어 문법 항목의 유형과 특성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문법 항목을 선정하는 기준을 세워서, 한국어 교재의 추측 표현이 알맞게 선정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문법 항목은 한국어 문법을 교육하기 위한 구체적인 항목이다. 문법 항목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문법 내용에 관련된 문법 요소를 선별하고, 그 문법 요소를 교육에 필요한 유형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문법 항목 중에서 복함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표현 항목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다루는 추측 표현은 복합 구성으로 이루어진 문법 항목의 일부이다. 한국어 문법 항목을 선정하는 기준으로는 4가지 원칙을 설정하였다. 첫째는 한국어 문법 내용의 핵심적인 것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문법 항목은 필수적인 요소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셋째는 보편적·일반적인 언어 사용 양상을 고려하며, 넷째는 교육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것을 선정한다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교수요목에 따른 문법 항목의 배열 기준과 방법을 살펴보고, 의사소통 기능 중심의 교수요목에서 문법 항목을 배열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기준에 따라 추측 표현의 배열을 시도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복합 교수요목은 문법 중심 교수요목과 의사소통 기능 중심의 교수요목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서 담화 층위의 문법 교육을 목표로 하는 의사소통 기능 중심의 교수요목은 문법을 배열할 때, ‘기능, 사용 빈도, 교육/학습 용이성’의 순서로 고려한다. 이 기준을 추측 표현에 적용하기 위하여 실제 언어 사용 빈도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추측 표현의 교육 순서를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담화 층위의 문법 기술 원칙을 살펴보고, 추측 표현에 대한 한국어 교재 및 문법서의 문법 기술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어 문법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추측 표현에 대한 문법 내용을 기술하였다. 담화 층위의 문법 교육을 위해서 문법 기술은 형태, 의미. 화용정보를 모두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학문 문법을 바탕으로 교육문법을 구성할 때는 교육에 필요한 내용으로 적절하게 단순화해야 하며, 유사한 의미, 기능을 갖는 다른 문법 항목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기술해야 한다. 또한 기술 방식이 명확해야 하며,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개념으로 기술해야 한다. 이러한 문법 기술 원칙에 근거하여 한국어 추측 표현을 두 가지 방식-추측 표현 간의 비교 기술, 추측 표현에 대한 개별 기술-으로 기술하였다. Ⅵ장에서는 문법 교육의 상향식·하향식 교수 모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추측 표현의 수업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상향식 모형에서는 문법을 고립된 형태로 제시하여 지도하므로, 의사소통 상황에서 문법 사용 능력을 갖추기 어렵다. 그러므로 모형의 각 단계마다 담화 층위의 문법 지도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하향식 모형은 기본적으로 의사소통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하므로 그 과정에서 문법적인 정확성을 어떻게 갖출 것인지가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과제 수행 과정에서 문법 항목에 주목하여 의식 상승을 시키고, 문법적인 정확성을 높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문법 항목의 선정, 배열, 문법 기술에 대한 원리를 세워서 문법 교육의 체계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문법 연구와 교육문법을 조직적으로 연계함으로써, 국어 문법 연구 내용을 어떠한 방법으로 재구성하여 한국어 교육문법에 반영할 것인지 구체적인 원칙과 방향을 모색했다는 데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국어 문법 연구의 결과가 전혀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추측 표현에 대해 문법 기술을 시도함으로써, 추측 표현에 대한 교육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는 데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 3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11 Ⅱ. 이론적 배경 = 15 A.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 = 15 B. 한국어 교육문법의 특성 = 20 C. 담화 층위의 문법 교육 = 24 1. 담화 층위의 문법 교육의 목표 = 24 2. 담화 층위의 문법 교육의 필요성 = 27 3. 담화 층위의 문법 교육 원리 = 30 Ⅲ. 한국어 문법 항목의 구성 및 선정 = 33 A. 문법 내용과 문법 항목의 구성 = 33 B. 문법 항목의 유형과 특성 = 40 C. 사례: 추측 표현 항목의 선정 = 60 Ⅳ. 한국어 문법 항목의 배열 = 69 A. 문법 항목의 배열 기준 = 69 B. 교수요목 유형에 따른 변수 = 73 C. 문법 항목의 배열 원리 및 적용 = 79 D. 사례: 추측 표현 항목의 배열 = 83 1. 교육 자료의 배열 검토 = 83 2. 사용 빈도 조사 = 85 3. 추측 표현 항목의 배열 = 91 Ⅴ. 한국어 문법 항목의 기술 = 94 A. 담화 층위의 문법 기술 방법 = 94 B. 교육문법의 기술 원칙 및 적용 = 98 C. 사례: 추측 표현의 문법 기술 = 106 1. 교육 자료의 문법 기술 검토 = 106 2. 추측 표현의 기술 1: 표현 간의 비교 기술 = 115 3. 추측 표현의 기술 2: 표현의 개별 기술 = 140 Ⅵ. 한국어 문법 항목의 교수법 = 148 A. 문법 교육의 접근 방법 = 148 B. 문법 교수 모형 = 150 1. 상향식 교수 모형 = 150 2. 하향식 교수 모형 = 159 3. 교수 모형의 선택 = 167 C. 사례: 추측 표현의 수업 구성 = 170 1. 상향식 수업 구성 = 171 2. 하향식 수업 구성 = 178 Ⅶ. 결론 = 185 참고문헌 = 189 부록: 연구 자료 목록 = 200 Abstract = 2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933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eaching Korean Grammar: Focused on the speculative expressions-
dc.creator.othernameLee, Mi Hye-
dc.format.pageⅹ, 21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