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혜진-
dc.creator안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3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2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36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Hyangchon-sajok(鄕村士族) and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poetic world of their Gasa(歌辭) in the 18th century. Hyangchon-sajok was a rank differentiated from Sadaebu(士大夫) class in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hey played an important part in Sadaebu Gasa and their works illustrate a different poetic world from the Kyunghwa-sajok of the 18th century. The Salim(士林), a group of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Chosun Dynasty, wrote the most of Sadaebu Gasa poets in the 16th century which reveals their thoughts. Sadaebu composed the Kangho Gasa(江湖歌辭) usually after their retirement from the office. However, they wrote the Kihaeng Gasa(紀行歌辭) and the Yoobae Gasa(流配歌辭), when they served as an official. During the 17th century, Sadaebu had to confront many political difficulties and two wars. Prior to the 17th century, all Sadaebu Gasa poets were government officials, however, a new group of Sadaebu Gasa poets appeared in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These new poets were not government officials but they owned a considerable amount of property and shared the same philosophical ideas as the poets who were officials. Therefore we can not regard them as a new rank of Sadaebu. In the 18th century, the Chosun Dynasty went through many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changes. At this time, Kyunghwa(京華) had developed as a city, and a unique life style and mood different from Hyangchon(鄕村), the countryside. These social changes lead to the division of the Sadaebu class into the Hyangchon-sajok and the Kyunghwa-sajok.The Hyangchon-sajok wrote Gasa more intensively than the Kyunghwa-sajok hav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y scarcely had an official career, even though they tried to be officials as much as possible they could. Most of them could not learn from famous great scholars and their economic situations ranged from being wealthyto poverty. However beyond their property, they were respected widely from people to officials in Hyangchon. And they prefered Gasa to Sijo because Gasa could enjoy in easy ways without accompaniment. For the most part, Gasa was more convenient than Sijo in delivering didactic or long contents. So, Hyangchon-sajok chose the Gasa to express themselves andrespond to their social situation. As we have seen, Hyangchon-sajok failed to be officials. In this situation they suffered their identity as Sadaebu, so they tried to solve this problem. They enjoyed nature and expressed loyalty to King as subjects to overcome the political isolation, or they deviated from Confucian ideology through pursuing love, missing home and so on. Also, they responded to changing social situationsin Hyangchon. The control over Hyangchon by national officials became stronger and lots of people in Hyangchon left to escape the tyranny of the officials and natural disasters. Therefore Hyangchon-sajok strengthenedtheir ties of relative relationships and made an effort to establish an unshakable position in Hyangchon. Besides, they were concerned about problems in Hyangchon and attempted to resolve them. Their efforts appeared in two ways; they persuaded people to stay in Hyangchon and criticized the tyranny and poor administration of officials. In comparing Hyangchon-sajok Gasa in 18th century with Sadaebu Gasa in the 17th century, we found a continuity of the Confucian world view in Hyangchon-sajok Gasa. Confucian adminstration and attitude toward nature existed in both of them. But, the scope of administration in Hyangchon-sajok Gasa had shrunk. It was caused by different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of poets in each century. In addition, private experience turned up directly and a monologue got expanded in Hyangchon-sajok Gasa. Most of all Hyangchon-sajok invented new a type of Gasa to deliver lessons efficiently. These changes brought out variation of topics and types in Gasa. The topics ranged from private feelings to social problems in Hyangchon. The enlargement of topics also caused new types in Gasa. In spite of variations in Hyangchon-sajok Gasa in the 18th century, Hyangchon-sajok Gasa was relatively more conservative than Kyunghwa-sajok Gasa at the same time. In Hyangchon-sajok Gasa, Chusa(處士)'s consciousness was adhered strongly to and the Confucian attitude toward nature had continued from the previous century. And Hyangchon-sajok's Confucian ideology became rigid, however, on the contrary, in Kyunghwa-sajok Gasa, Chusa(處士)'s consciousness could not be discerned and had deviated from Confucian ideology. Creating religious Gasa by Kyunghwa-sajok indicated extreme deviation from Confucian ideology. In Hyangchon-sajok Gasa, all concerns focused on family and Hyangchon. To pass the examination of becoming an official is to preserve their family and to look back upon the memory of the ancestors is to promote the descendents' pride of their own family. Pride of their family was also connected with pride of their home town. By this thinking, Hyangchon-sajok raised social valuesof their home town to Kyunghwa. At the same time, Hyangchon-sajok traveled to their home town and the surroundings. By contrast, Kyunghwa-sajok did not reveal pride oftheir family through Gasa. Moreover, they did not pay special attention to their home town and traveled famous places in the country or went abroad. The travel abroad provided them with the opportunities for changing thoughts. Hyangchon-sajok had special concerns about social problems in Hyangchon and tried to get rid of them. Through Gasa, they described the miserable situations of people who suffered from tyranny and natural disasters. Most of all, Hyangchon-sajok spoke for people in Hyangchon and shared their pain. Conversely, Kyunghwa-sajok was much more interested in individual concerns than social problems. Even though when they payed attention for people in Hyangchon, they looked at them from official positions or kept a certain distance from them. And they regarded the problems in Hyangchon not as specific problems but as general social problems. Hyangchon-sajok Gasa has important meaning as literature of Hyangchon-sajok for depicting their consciousness and situation. And it expanded the topics and themes in Gasa. Specifically, enlargement of topics made a contribution to the width of Gasa's horizon by producing new types of Gasa. Besides Hyangchon-sajok Gasa played an important role of spreading among people. Above all didactic reinforcement went intimately with that. Hyangchon-sajok educated women and people including Sadaebu. So Didactic Gasa(敎訓歌辭) in Kyubang Gasa(閨房歌詞) and Soemin Gasa(庶民歌辭) had originatied from Hyangchon-sajok Gasa. In opposition to the Kyunghwa-sajok, Sijo had escaped Confucian ideology and had been enjoyed as a singing performance, Hyangchon-sajok Gasa had kept Confucian ideologies strongly and had intensified the social function of Gasa. For the most part, Hyangchon-sajok Gasa portrayed miserable situation in detail and spoke of people's pains. These attitudes towards people in Hyangchon-sajok Gasa could not be discovered in poems in Chinese(漢詩), either. Besides in the 18th century, middle classes took a part in writing Sijo and poems in Chinese but they could not participate in writing Gasa. That means Sadaebu still kept their position as poets in Gasa and Hyangchon-sajok especiall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at.;본 연구는 18세기 향촌사족층과 그들에 의해 향유되었던 가사의 작품 세계를 구체적으로 살펴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그동안 단편적으로 언급되어 오던 향촌사족 가사에 대한 전반적인 양상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며, 18세기 향촌사족 가사에 대한 올바른 가치 평가와 이해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16세기 사대부 가사 작자층은 대부분 사림출신들로 이 시기 사대부 가사는 사림의 세계관과 밀착되어 전개된다. 17세기가 되면 사대부들이 내외적으로 큰 변동을 겪게 된다. 이와 같은 역사적 변동과 맞물려 사대부 가사의 작자층에도 관직의 진출 경험이 전혀 없는 사대부들이 작자로 나타난다. 그렇지만 이들은 향촌에서의 경제적 기반, 사회적 위상 등이 확고하였고 정치의식 면에서도 관료출신 작자들과 이질적이지 않다. 따라서 이들을 새로운 작자층으로 규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18세기에 들어와 서울과 향촌 사회적 분기 현상의 심화와 함께 사대부 계층의 분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사회적 변동은 사대부 가사 작자층에도 반영되어 경화사족과 향촌사족으로 양분된다. 18세기 향촌사족 가사 작자들은 서울이 아닌 향촌에서 일생을 보내고 있으며 관직에 진출한 경험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여기에는 과거 제도의 부패가 극심했고 인재의 등용마저도 경화벌열 위주로 이루어졌던 당대의 현실이 크게 자리하고 있다. 또한 뚜렷한 학맥을 갖추지 못한 것도 이들의 출사에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따라서 오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과거에 거듭 실패함으로써 결국 출사의 꿈을 접고 향촌으로 낙향할 수밖에 없었다. 향촌사족들은 경제적인 면에서 다양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경제적 형편에 따라 이들의 사족으로서의 위상이 달랐던 것은 아니다. 경제적인 형편에 상관없이 이들은 향촌에서 존경을 받았으며 그 영향력도 상당하였다. 게다가 가사를 창작한 향촌사족들은 시조 창작에 부진한 모습을 보인다. 이는 향유 방식이나 양식적 측면에 있어 향촌사족들의 기호에는 시조보다는 가사가 더욱 부합했던 것과 연관된다. 이로 인해 향촌사족들을 적극적으로 가사를 선택해 그 안에 자신들의 의식을 담아나갔다. 출사를 할 수 없는 현실 앞에서 사족이라는 신분은 갈등의 대상이었고 이에 대한 해결이 요구되었다. 이에 향촌사족들은 처사로 자처하여 자신의 향촌거주를 은거로 규정하거나 연군의식을 강하게 표출하여 신하로서의 면모를 강조함으로써 정치적인 단절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는 아예 정통적인 유가 이념에서 이탈함으로써 갈등에서 벗어나려 하는 시도도 하였다. 향촌사족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문제와 함께 동요하는 향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대응할 필요가 있었다. 국가의 향촌에 대한 지배권의 강화는 향촌사족들의 입지를 더욱 좁게 만들고 있었으며, 더구나 자연 재해와 수령의 탐학으로 인해 향민들이 향촌을 떠나는 상황이 발생함으로써 향촌의 동요가 극심해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향촌사족들은 안으로는 유가적 실천 규범과 가문의 긍지를 강조함으로써 가문의 결속강화로 대응하였다. 그리고 치산에도 힘을 기우려 향촌에서의 경제적 토대를 확고히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향촌사족들은 향촌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해서도 각별한 관심을 갖고 그 해결에 주력하였는데, 이는 교화와 현실비판이라는 두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18세기 향촌사족 가사의 특성을 17세기 가사와 비교해 보면 유가적 세계관이 지속되고 있는 것에서 계승적인 면모가 확인된다. 그렇지만 향촌사족 가사에서는 경세의 대상이 향촌으로 축소되고 있어 유가적 세계관을 소극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그리고 18세기 향촌사족 가사에서 경험의 직접적인 반영이 나타나고 있다. 자신의 자전적인 술회가 더욱 확장되어 있으며, 작자의 실제 경험이 작품 속에 직접 반영되고 있다. 교훈성도 전 시대에 비해 대폭 강화되고 있으며, 작품의 소재와 유형도 한층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소재의 확대는 가사의 하위 유형의 다양화에 중요한 동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모양상에도 불구하고 18세기 향촌사족 가사를 경화사족 가사와 비교해 보면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경향이 강하게 드러난다. 18세기 향촌사족 가사에서는 처사의식이 뚜렷이 고수되고 있다. 그리고 자연에 대해서도 유가적인 자연인식 태도가 부분적으로나마 지속되고 있다. 그에 비해 18세기 경화사족 가사에서는 처사의식이 나타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자연인식에 있어서도 규범적인 인식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강하다. 향촌사족 가사와 경화사족 가사는 연군의식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향촌사족들은 군신윤리에 입각해 일상생활에서 연군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이에 반해, 경화사족들의 연군의식은 군주와 신하라는 실제적인 관계를 토대로 주로 유배라는 극심한 갈등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또한 향촌사족 가사는 전통 유가이념을 철저히 추종하려는 경향이 강한데, 경화사족 가사에서는 규범에서 벗어나는 경향이 뚜렷하다. 18세기 향촌사족 가사에서는 가문과 향촌으로 의식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가문의식과 가향의식의 표출에서 잘 드러난다. 산수 유람도 근경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때의 유람은 풍류를 고양하거나 자신이 가지고 있던 이념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에 비해 경화사족가사에서는 가문 의식을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장르를 달리해 가문소설에서 구현되고 있으며 가문의 벌열화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향촌사족의 가문의식과는 차이를 보인다. 또한 가향의식도 부재한다. 이들의 유람은 거주지를 벗어나 유명한 승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외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해외체험은 인식의 변모에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여행이 인식을 변화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음은 가사보다는 경화사족이 창작한 연행록에서 선명히 확인된다. 향촌사족 가사와 경화사족 가사가 의식이나 그 지향점을 달리 하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향유되는 가사의 유형에서도 서로 차이를 보인다. 다만 대사회적 기능의 강화와 관련하여 양쪽 모두 새로운 유형을 창출해 내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일치한다. 그렇지만 여기에서도 그 전달하는 방식이나 의식 면에서 다른 면이 확인된다. 또한 향촌 문제에 대한 인식이나 향민에 대한 태도에서도 거리를 보인다. 향촌사족 가사에서는 자기 향촌의 문제라는 향촌의식을 바탕으로 향촌의 피폐한 사정을 낱낱이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향민과 동일한 피지배층의 위치에서 향촌의 현실을 고발하고 있다. 그렇지만 경화사족가사의 경우 향촌의식을 찾아보기 어려우며, 향촌의 문제 역시 사회의 일반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향민에 대해서도 목민관의 입장에서 바라보거나 관찰자의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배층으로서의 위치를 분명히 하고 있다. 18세기 향촌사족 가사는 향촌사족들의 위기의식을 가사 속에 적극적으로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향촌사족의 문학으로서 그 의의가 인정된다. 또한 향촌사족 가사는 가사문학의 소재와 주제의 폭을 넓히는 데에 기여하였다. 특히 소재의 확장은 유형의 확장과 맞물려 19세기 가사문학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큰 밑거름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향촌사족 가사는 대사회적 기능의 강화를 통해 향유층의 확대를 불러오고 있다. 교훈가사의 경우 훈계의 대상에 일반 백성들까지 포함시킴으로써 가사가 타계층으로 개방되는 것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더구나 18세기 향촌사족의 교훈가사는 19세기 규방가사와 서민가사의 교훈가류 형성에 중요한 원류가 되고 있다. 이는 경화사족 시조와의 비교 속에서 그 의의가 한층 분명해진다. 경화사족 시조가 대사회적인 기능을 탈색하고 탈이념화되는 가운데 음악적 세련화를 더해 특정 계층에 국한되어 향유되었던 반면 향촌사족 가사는 대사회적 기능과 이념의 강화라는 방향으로 나아감으로써 국문시가 자체의 향유층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무엇보다 교훈가사는 교훈시조의 맥을 이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현실비판 가사의 경우 동시대의 다른 장르에 비해 향민의 생활과 피폐한 향촌의 실상을 가사 속에 담아내고 이를 향촌의 모순을 향민의 입장에서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이는 특히 한시의 영역에서 다루어지던 것을 국문시가에 끌어옴으로써 국문시가의 위상을 한시의 차원으로 격상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18세기 향촌사족 가사는 사대부 시가 문학으로서 그 위상이 매우 확고하다. 18세기의 시가 향유층을 살펴보면, 사대부가 주류를 형성하는 가운데 위항인들의 부상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가사에서만은 여전히 사족들이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향촌사족들이 절대적인 우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18세기 문학에서 사대부 문학으로서의 가사의 위상을 확인시켜주는 동시에 그 이면에 자리하고 있는 향촌사족들의 공헌 정도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이후 향촌사족 가사는 19세에 가서 쇠락한 면모를 보인다. 이는 사대부 가사 자체가 위축되었던 것과 그 흐름을 같이 하는 것으로 작가의 사회적 위상이나 경제적 기반 등이 18세기보다 더욱 영락하게 나타난다. 또한 작품 수도 현저히 줄어든다. 그에 비해 주변부에 자리하고 있던 규방가사와 서민가사가 이 시기에 왕성하게 창작된다. 이는 19세기에 가사문학의 향유층이 새롭게 편성되었다는 것과 그 주도권이 사대부 계층에서 타계층으로 이동해 가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기존 논의 검토와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대상 자료와 논의의 방향 = 10 Ⅱ. 사대부 가사 작자층의 동향과 18세기 향촌사족의 특성 = 18 A. 18세기 이전 사대부 가사 작자층에 대한 전반적 검토 = 18 B. 18세기 사대부 가사 작자층의 동향과 향촌사족의 특성 = 30 1. 향촌사족의 개념 = 30 2. 향촌사족층의 성립과 18세기 사대부 가사 작자층의 분화 = 35 3. 18세기 향촌사족 가사 작자층의 특성 = 42 Ⅲ. 18세기 향촌사족 가사의 작품 세계 = 60 A. 개인적 자아로서의 문학적 대응 = 60 1. 자족적인 처사의 삶 추구 = 60 2. 연군의식을 통한 군신관계의 실현 희구 = 87 3. 정통적 유가 이념에서의 일탈 = 100 B. 사회적 자아로서의 문학적 대응 = 113 1. 유가적 실천규범 제시와 가문의 긍지 고양 = 113 2. 치산(治産)과 농사(農事)의 중요성 환기 = 133 3. 피폐한 농촌 현실의 폭로와 비판 = 145 Ⅳ. 18세기 향촌사족 가사의 시대적 특성 = 164 A. 17세기 사대부 가사의 계승과 변모 = 164 1. 유가적 세계관의 소극적 계승 = 164 2. 경험의 직접적 반영과 교훈성의 강화 = 175 3. 소재의 확대와 유형의 다양화 = 182 B. 18세기 경화사족 가사와의 변별적 특성 = 189 1. 처사의식의 고수와 이념의 경색화 = 189 2. 가문과 향촌으로의 초점화 = 201 3. 대사회적 기능의 강화와 새로운 유형의 창출 = 212 Ⅴ. 18세기 향촌사족 가사의 시가문학사적 의의 = 223 Ⅵ. 결론 = 230 참고문헌 = 237 Abstract = 2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286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8세기 향촌사족 가사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Hyangchon-sajok(鄕村士族) Gasa(歌辭) In the 18th Century-
dc.creator.othernameAhn, Hye Jin-
dc.format.pageⅵ, 24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