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진경-
dc.contributor.author김지은-
dc.creator김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1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4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2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80-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is focused on the aboriginal motif that embodies the ethnological perspective in the works of the Cuban artist Wifredo Lam(1902-1982) and it's intellectual and aesthetic rapport with the Surrealist ideology. The first part of the discussion is concentrated on tracing the formation of Lam's aboriginal motifs and his awareness of anthropology. I have articulated the historical relations of his works to the Surrealist concerns on Ethnology, which was nascent cultural study from 1920s France. The Surrealists engaged with ethnology as a means both of interpreting cultures far away and of creating an ethnographic approach to life, in which the norms of their own society could be attacked, relativized and reclassified. The map they created in 1929 was to chart their global system of value in which the Pacific, Alaska and Latin America were sanctified and magnified as Surrealist regions. From 1924 until the movement's dissolution in the 1950s, the Surrealist formed a labyrinthine system of texts, images, actions and expressions with which to encode a formulated system of belief and to delineate their world-view. Wifredo Lam, who joined the Surrealist group during his stay in Paris in the late 30s, participated in the Surrealist collective drawing Cadavre Exquis, and became aware of the visual processes that emphasized the primitive states of consciousness. Lam's urge to expose the primordial elements were encouraged by the Surrealist interests in the culture outside Europe and their empathy with marginalized people of the globe. While the Surrealists used the primitive elements in other cultures as a means of transgressing, reshuffling, and subverting the orders of Western classificatory system, artists and the intellectuals in the Latin America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revitalizing their cultural origin as a key factor of manifesting their identity. Since the history and legacy of colonialism made real rupture from the past impossible, Indigenist movement implied reconsideration of the aboriginal culture which was closely connected to rearticulating a collective identity in reference to a common past. Cuban avant-gard movement was one of this current in Latin American countries, and debates arose surrounding the existence of a national art and how national identity is represented in the works of art. The Cuban lanscape including the sugar cane plant and the mixed racial figure was widely used as a sign for both the primitive and the modern in poetry, and in the visual arts. Wifredo Lam who spent his most formative years in Europe returned to his native land and embodied his own perspectives on the Cuban aboriginal culture. In relation to his stylistic and conceptual leap distinctively shown after his return, the Second part of the my discussion is converged on the iconographic elements that alludes to his ethnological view concerning the Cuban society. On one hand, Lam's work meets the Cuban modernists' claims of the period in that he manifested the aboriginal motifs which reflect his concerns on the subjects originated from Cuba. But On the other, by infusing these elements Lam incorporated the Surrealist's visual language. The tropical landscape in Lam's work reflected the social disorder and the natural phenomena perceived in the Afro-Cuban myth. As a result, the allusive plant motif expressed the 'marvellous' in which diverse layers of reality is suggested that provoked wonder and awe. The racial figure was inscribed in Lam's hybrid images that symbolized transformation and that evoked imaginative metamorphosis. These distorted hybrid images is considered visualizing the Surrealist pun and accidental rearrangements of form that resolutes the contradictory terms. Lam's work process symbolized the shaman, a figure associated with the ritual, trance and magic. The pagan ritual suggested in Lam's works is characterized by the anonymous aspects of human at a trance. By expressing the aspects of the primitive ritual that subvert the norm of hierarchy in the Christianity, Lam implies festival, the discontinuation from the ordinary world and his urge to transcend every day reality. The aboriginal motifs in Lam's paintings has as much been constituted as guised to express diverse layers of meaning and they cause continuous ambiguity which allows the spectator to a psychological communication. In this process, Lam's works embody an intermediary between the formal experiment and the expansion of subject matter. By using cultural index and it's reconfiguration that expands the possibilities of it's meaning, he searched in his own ways of expressing the Surrealist ideal. Lam's work manifests his desire to abolish the cultural boundaries and to eliminate those divisions which made him smother life not only in his native lands, but virtually everywhere.;본 논문은 쿠바 출생의 미술가 위프레도 램(Wifredo Lam, 1902-1982)의 작품에서 쿠바 내의 토착 문화의 모티브를 통해 나타나는 초현실성(surrealite)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램의 민족지학적인 시각이 작품상에서 구현되었던 배경을 살펴보기 위하여 필자는 초현실주의자들이 원시 문화를 추구했던 맥락과 라틴 아메리카의 아방가르드 움직임을 통해 예술에서 고대의 토착적 세계관을 재생하는 문제가 쟁점으로 부각되었던 시대 상황을 고찰하였다. 1920년대의 프랑스에서 본격화되었던 민족지학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부족 사회를 이루는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인류의 원시 정신을 정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었다. 프랑스 민족지학은 남태평양, 알래스카, 그리고 아메리카 지역의 비서구 문화 속에 내재한 사회적, 정치적 체계를 서구와의 상응관계 속에서 비교 연구할 수 있는 인식의 토대를 마련해주었다. 원초적 신화를 삶 속으로 주입하고 이 점을 예술을 통하여 새롭게 정의하고자 했던 초현실주의자들의 움직임은 원시적 정신성과 신화에 관련된 민족지학 논의를 수용함으로써 부족 문화와의 정신적인 유대를 통하여 제한적인 서구 중심의 시각 언어와 개념을 초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유럽과 미국을 축소하고 그 나머지 일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는 1929년 초현실주의 세계 지도의 경우 그들이 세계를 보는 시각을 분명하게 드러내주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시각은 비서구 문화에 대한 제국주의적 확장에 저항하는 그들의 정치적인 입장과 일맥상통하는 것이었으며, 라틴 아메리카의 예술가들 사이에서도 깊은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었다. 램과 동시대의 쿠바 문학과 예술에서 열대 자연은 전원의 환경을 구성하는 공간으로서 원초적인 세계와 현대성을 동시에 반영하는 기호로 다뤄졌었다. 램은 이러한 전통적 소재를 ‘경이’를 불러일으키는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제시하게 된다. 사탕수수밭, 종려나무와 같은 열대 자연 환경을 암시하는 상징은 쿠바의 시대상을 보여주는 의미망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민속 신화 속에서 자연 현상을 이해하는 방식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러한 시각 언어들을 통하여 램은 문화가 기초하는 구조를 새롭게 재구성하면서 다층적인 현실이 동시에 드러나는 공간을 은유하였다. 또한 동물의 특성과 인체의 부분들로 조합된 기형적인 인물상을 통하여 램은 경계를 불분명하게 흐리는 모순되고 모호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주조하였으며, 의도적으로 왜곡된 이러한 형상은 초자연적 변성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램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무속 신앙의 모티브는 제의에 대한 그의 견해를 담고 있다. 익명적인 인간 군상이 반복되어 드러나는 이러한 작품은 일상의 불연속적인 단면으로서의 축제의 상태를 노출시켜주고 있다. 라틴 아메리카의 현대 미술에서 토착적인 요소가 부각되었던 점은 지역적인 특수성과 자국의 현대성의 상호적인 관계를 모색하는 노력 속에서 이루어졌다. 쿠바의 미술가들 역시 서구에서 타자성으로 규정했던 원시적인 의식 구조를 국가의 문화 정체성을 부각시키는 방법으로서 삼았다. 동시대 쿠바의 미술의 이와 같은 특성과 비교했을 때에 램의 작품의 전개과정은 문화적 특수성을 재구성하거나 이를 축소하는 과정으로 나아가게 되며, 작품에서 암시되는 토착적인 요소는 화면 속에서 중첩되는 의미를 파생시킴으로써 지속적으로 감상자의 새로운 해석과 심리적 소통을 유도하고자 했던 램의 의도를 반영해준다. 램의 작품은 형태상의 실험과 주제의 확장 사이를 중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의 작업이 특수한 문화적 지표를 통하여 쿠바 사회에 숨겨진 원초적인 모태를 발견하고 해석하는 것에서 나아가 문화적 경계를 선회하고 그 속에서 관습적으로 규정된 분파를 초월하고자 했던 의지가 표출되는 과정이었음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 개요 = iv Ⅰ. 서론 = 1 Ⅱ. 토착적 요소의 등장 배경 = 4 A. 초현실주의자들의 원시 문화 추구 = 4 B. 라틴 아메리카의 현대 미술과 토착 문화 = 13 C. 램의 토착 문화에 대한 시각 = 24 Ⅲ. 토착적인 소재를 통해 표현된 초현실성 = 30 A. 열대 자연에 나타난 ‘경이’의 표현 = 30 B. 혼성적 이미지를 통한 모순적 요소의 통합 = 41 C. 제의적 모티브를 이용한 시공간의 초월 = 50 Ⅳ.결론 = 59 참고 문헌 = 62 도판 목록 = 68 도판 = 74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4658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토착적 모티브를 중심으로 본 위프레도 램(Wifredo Lam) 회화의 초현실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urreal Visualized in the Aboriginal Motif of Wifredo Lam's Works-
dc.creator.othernameKim, Ji-Eun-
dc.format.pagev,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