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9 Download: 0

사회적 바람직성의 구인 탐색

Title
사회적 바람직성의 구인 탐색
Other Titles
A Study on Construct Exploration of Social Desirability
Authors
정보라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아영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검사 상에서 반응 왜곡(response distortion)으로 고려되는 사회적 바람직성의 구인에 대한 탐색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 바람직성 구인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고, Paulhus(1998)의 PDS(Paulhus Deception Scale):BIDR-7(The Balanced Inventory of Desirable Responding-7)척도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분석으로 사회적 바람직성의 구인을 탐색하고 문항의 양호도를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와 5-요인 모델을 기반으로 한 성격검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대학(5개 학교)에 다니는 대학생 360명에게 실시한 검사에 대한 반응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바람직성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하여, 2-요인 모델인 Paulhus(1998)의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연구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선정하였다. 자기-기만적 고양 요인과 인상관리의 2요인을 포함하는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는 총 40문항으로 구성되며,5점 척도로서 긍정문과 부정문이 혼재되어 있는 균형적 척도(balanced inventory)이다. 2. 요인 수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이론적 근거에 적합한 2요인으로나타났다. 2요인으로 지정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하위 요인의 문항들은 부정어를 사용하는 명시적 부정문은 긍정문과 동일한 요인에 부하되었으나,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용어를 사용하는 암묵적인 부정문은 각기 부하되어야하는 요인을벗어나 새로운 요인을 산출하였다. 이런 결과에 근거해서 본 연구에서는 부합되지 않는 요인으로 묶인 문항들을 제거하고 수정된 바람직성 척도를 구성하였다. 3. 수정된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는 각 하위 요인 당 10문항씩으로 구성되었다. 수정된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에 대해서 하위 요인별로 문항반응이론인 등급반응모형으로 문항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의 변별도와 경계특성곡선에서의 위치지수를 확인하였다. 4. 사회적 바람직성의 하위 요인인 자기-기만적 고양과 인상관리의 관련성에 대한 두 개의 경쟁모형간의 합치도 지수를 비교하였다. 두 모형의 합치도는 비슷한 양호도를 보였다. 5. Paulhus(2002)가 제안한 사회적 바람직성의 모델을 확인해 보고자, 자기-기만적 부인과 작인관리의 문항들을 추가하여 수정된 사회적 바람직성의 자기-기만적 고양과 인상관리간의 상관을 살펴보았다. 자기-기만적 고양 요인은 작인관리와 자기-기만적 부인 요인은 인상관리 요인과 각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수정된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와 성격검사와의 관련성에서는 자기-기만적 고양요인은 성격의 외향성 요인에 인상관리 요인보다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호감성 요인은 자기-기만적 고양 요인에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인상관리 요인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회적 바람직성과 성격검사와의 관련성에 대해 예측되는 결과와 동일하다. 그러나, 인상관리 요인이 성실성과 높은 상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던 결과와는 다르게, 성실성 요인은 자기-기만적 고양 요인과 인상관리 요인 모두와 중간 정도의 상관을 보였다. 7.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와 성격검사와의 요인분석결과는 자기-기만적 부인, 인상관리 그리고 호감성 요인이 Gamma요인으로 묶였으며, 자기-기만적 고양, 작인관리 그리고 외향성과 성실성, 개방성 요인은 Alpha 요인으로 묶였다. 이는 Paulhus와 John(1998)의 연구에서 보여주는 이기적 편파 경향성인 Alpha와 도덕적 편파 경향성인 Gamma집합체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wo constructs of social desirability (self-deceptive enhancement and impression management), to confirm the two-tier system of social desirability that have been proposed by Paulhus(2002), and to know the relation between two factors of social desirability and five factors of Big-Five Personality Inventory (extro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emotional stability and openness). To achieve these goals, literatures, such as response distortion in self-report inventory and construct changes of social desirability, were reviewed in the first step. After that, Paulhus(1998)' BIDR-7 (The Balanced Inventory of Desirable Responding-7) was chosen and was back translated considering Korean culture. This was composed of 40 items which were 5-point scales and a balanced inventory includ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of 239 male and 113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lthough the result of factor analyses supported the two-factor model of social desirability, social desirability scale was modified, 10 items for each factor, excluding the influences of implicit negation and explicit negation.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confirmed that both constructs, self-deceptive enhancement and impression management, were correlated. The results from item quality analysis via MULTILOG was that the items had resonable discrimination and location indices. After these procedures, two constructs, self-deceptive denial and agency management, were added and discrimination of each pair in the four scales was obtained from the correlation of these.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factor of social desirability and the five-factor of personality inventory showed that self-deceptive enhance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tro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while impression management was with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On the other hand, emotional stabi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deceptive enhancement and impression management. Furthermore, it turned out that agreeableness and openness reveal discrimination on two-factor of social desirability. As a result, Paulhus' two-tier system of social desirability which is related to personality inventory was supported. In the final step,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