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봉희-
dc.contributor.author신은영-
dc.creator신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8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2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873-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Bibles translated in Korean by t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erms used in the each Bibles, an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understanding and utilizing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North Korean Bible and the two public versions of South Korean Bibles. Books examined in this research were 『SeongkyeongJeonseoGaeyeokHangeulPan(성경전서개역한글판)』(first South Korean version), 『GongdongBeonyeokSeongseo(공동번역성서)』(Second South Korean version) and 『SeongkyeongJeonseo(성경전서)』(North Korean version). First, compilation background and compilation system were examined though literature study and actual investigation. And then, they were compared in terms of human names, names of places, transliterated words, terminology and common nam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Genesis and the Gospel of Matthew.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human names, the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first South Korean version have more cases of common terms than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second South Korean version in the Genesis and the Gospel of Matthew. Second, in terms of names of places, the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first South Korean version have more cases of common terms than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second South Korean version in the Genesis and the Gospel of Matthew. Third, in terms of transliterated words, both versions of South Korean Bibles have the same rate of common terms in their comparison with North Korean version in the Gospel of Matthew. However, the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first South Korean version have more cases of common terms than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second South Korean version in the Genesis. Fourth, in terminology, the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second South Korean version have more cases of common terms than the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first South Korean version in the Genesis and the Gospel of Matthew. In particular, the first Korean version and the North Korean version have different terms to refer to God. Fifth, in terms of common names, the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second South Korean version have more cases of common terms than the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first South Korean version in the Genesis and the Gospel of Matthew. Sixth, there are differences in orthographical rules between the two South Korean versions and the North Korean version. The most distinctive one is the difference of the initial law. As well, other difference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n terms include anticipatory assimilation of the 'ㅣ‘ vowel, the use of additament 'ㅅ’, and post obstreunt tensing. Seventh, in terms of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Chinese-character originated words and pure Koreans, the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second South Korean version use more pure Korean than Chinese-character originated words. The comparison of the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first South Korean version shows that the first South Korean version uses more Chinese-character originated words. A comprehensive comparison of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Bibles indicates that the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first South Korean version have more agreements in human names, names of places, transliterated words, while the North Korean version and the second South Korean version have more agreements in terminology and common names used in the text. The same results were confirmed in the Genesis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Gospel of Matthew of the New Testament. Both the 『SeongkyeongJeonseoGaeyeokHangeulPan(성경전서개역한글판)』 and 『GongdongBeonyeokSeongseo(공동번역성서)』 used for the South Korean versions were published earlier than the North Korean Bibl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wo South Korean Bibles were referred to in the translation of the North Korean Bible. In this sense, it can be presumed that 『SeongkyeongJeonseoGaeyeokHangeulPan(성경전서개역한글판)』 influenced the human names, names of places, and transliterated words in the North Korean version, while the 『GongdongBeonyeokSeongseo(공동번역성서)』 influenced the terminology and common names in the North Korean versio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in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ublic versions of South Korean Bibles and the North Korean Bible, and can be used for various studies of the Bibles translated in Korean in preparation for Korean reunification.;본 연구에서는 남북한에서 간행한 한글성서를 중심으로 용어를 비교분석하여 상이한 정도를 파악하고, 번역대본과 번역원칙이 알려지지 않은 북한성서와 남한의 두 공인역 성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한글성서의 이해와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 문헌으로는 남한역으로 『성경전서 개역한글판(남한역 1)』, 『공동번역성서(남한역 2)』를 선정하였고 북한역으로 『성경전서(북한역)』을 선정하였다. 먼저 문헌연구와 실사를 통해 각 성서의 편찬배경과 편찬체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약의 ‘창세기’와 신약의 ‘마태복음’을 중심으로 용어를 인명, 지명, 음역어, 전문용어, 보통명사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사항들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명의 경우 마태복음과 창세기에서, 북한역과 남한역 1의 비교결과가 북한역과 남한역 2의 비교결과보다 같은 경우가 더 많이 나타났다. 둘째, 지명의 경우 마태복음과 창세기에서, 북한역과 남한역 1의 비교결과가 북한역과 남한역 2의 비교결과보다 같은 경우가 더 많이 나타났다. 셋째, 음역어의 경우 마태복음에서는 남한역 1과 남한역 2 모두 북한역과의 비교에서 같은 경우의 비율이 동일하였으며, 창세기에서는 북한역과 남한역 1의 비교결과가 북한역과 남한역 2의 비교결과보다 같은 경우가 더 많이 나타났다. 넷째, 전문용어의 경우 마태복음과 창세기에서 북한역과 남한역 2의 비교결과가 북한역과 남한역 1의 비교결과보다 같은 경우가 더 많이 나타났다. 특히 남한역 1과 북한역은 신명(神名)이 다르게 사용되고 있었다. 다섯째, 보통명사의 경우 마태복음과 창세기에서 북한역과 남한역 2의 비교결과가 북한역과 남한역 1의 비교결과보다 같은 경우가 더 많이 나타났다. 여섯째, 남한역의 두 성서와 북한역의 용어에는 맞춤법에 의한 표기상의 차이점이 나타나고 있는데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두음법칙에 의한 차이점이다. 그리고 ‘ㅣ’모음역행동화 현상과 ‘사이시옷’의 사용, 된소리 현상 등의 차이가 남북한 용어에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일곱째, 한자어와 순우리말의 사용의 차이점을 보면, 북한역과 남한역 2는 모두 한자어보다 순우리말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북한역과 남한역 1의 비교에서는 남한역 1이 북한역보다 한자어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한의 한글성서를 종합적으로 비교해본 결과 인명, 지명, 음역어등의 고유명사에서는 남한역 1과 북한역이 더 일치하고 있으며, 전문용어와 본문에 사용되는 보통명사에서는 남한역 2와 북한역이 더 일치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구약의 ‘창세기’와 신약의 ‘마태복음’ 간에 있어서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남한역으로 사용된 『성경전서 개역한글판』과 『공동번역 성서』는 모두 북한역보다 시기적으로 먼저 간행된 공인역 성서들로써, 번역원칙과 번역대본이 알려지지 않은 북한역의 번역시에 참고 되었을 수 있다. 그렇다면 『성경전서 개역한글판』은 북한역의 인명, 지명, 음역어등의 고유명사에, 『공동번역성서』는 북한역의 전문용어와 보통명사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남북한 한글성서 용어의 비교 분석 결과는, 남한의 두 공인역 성서와 북한성서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며, 남북한 통일에 대비한 한글성서의 다양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표목차 = ⅳ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방법 및 범위 = 2 C. 선행연구 = 5 Ⅱ. 연구대상문헌의 배경 = 9 A. 편찬배경 = 9 B. 편찬체제 = 17 Ⅲ. 연구대상문헌의 비교 = 21 A. 마태복음의 비교 = 21 B. 창세기의 비교 = 42 Ⅳ. 연구대상문헌의 분석 = 78 A. 용어별 분석 = 78 B. 맞춤법 분석 = 81 C. 한자어와 순우리말 분석 = 84 Ⅴ. 결론 = 86 참고문헌 = 89 부록-1 마태복음의 보통명사 = 94 부록-2 창세기의 보통명사 = 118 ABSTRACT = 1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01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남북한 한글성서의 서지학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Bibliographical Study of South and North Korean Bibles-
dc.creator.othernameShin, eun young-
dc.format.pageⅶ, 1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