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지속적인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지속적인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한지선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우리나라는 복지 수요의 양이 확대되고, 서비스의 전문성과 다양성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사회복지의 정부 의존적 재정난 해소를 위해 민간자원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사회적으로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민간자원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보다 기부금 증대의 효과적인 접근을 위해 전략적인 면에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는 기부행동에 주력하여 왔으며, 지속적인 기부행동에 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었으며, 개인ㅇ늬 기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적어 현실적으로 기부대상자에게 접근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지속적인 기부행동 방안의 전략수립으로 민간자원에 보다 효과적인 접근 방안과 지속적인 기부행동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독립변수들을 인구사쇠삭적 특성, 기부에 대한 태도, 경험적 특성, 기부기관의 만족도 변수로 나누어 구성을 하였고, 종속변수의 측정은 지속적인 기부행동여부(CMS기부 여부)로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지역의 대표적인 기부기관으로 사회복지사업을 지원하는 ㅇㅇ기관의 기부자 400명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기부자들의 52.7%인 185명으로부터 설문지의 응답을 받았는데 답변이 부실한 5곳을 제외하고 180명의 설문지르르 최종분석에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에서 첫째. 기부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방법을 통해 정리해 보고, 둘째, 지속적인 기부자와 비지속적인 기부자의 기부행동의 차이를 보기 위해 X²검증이나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가, 연령은 40대가, 종교는 기독교, 결혼상태는 기혼이, 학력은 대졸, 직업은 전문직 종사자, 소득은 400만원 이상이 많았다. 지속적인 기부자와 비지속적인 기부자간의 차이에 있어서 결혼상태, 학력, 기부태도 변수, 기부자의 자원봉사경험, 부모, 친구 , 동료의 기부행동을 본 경험, 기부기관 만족도가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지속적인 기부행동을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미혼인 경우가 기혼보다 더 지속적인 기부행동을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부에 대한 태도는 지속적인 기부행동의 예측요인으로 가장 유의미한 변수로 기부에 대한 태도가 적극적일수록 예측되는 지속적인 기부행동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험적 특성 변수는 동료의 기부행동을 본 경험변수의 영향이 유의미했다. 기부기관에 대한 만족도 변수가 지속적인 기부행동 여부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기부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예측되는 지속적인 기부행동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화인 되었다. 즉 기부기관의 사업수행, 외부으 기부기관에 대한 평가, 신뢰도, 기부금 관리 평가의 정도가 증가할수록 지속적인 기부행동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가 가질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수들 중에서 결혼상태는 지속적인 기부행동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결혼상태는 미혼의 경우 부양부담에 기혼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지속적인 기부행동을 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인구사회학적 변화에 좀더 전략적으로 접근하여 지속적인 기부 행동을 유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기부에 대한 태도가 적극적일수록 지속적인 기부행동을 하는 것으로 보여주는데, 이는 기부자의 기부동기가 단지 기부를 불쌍한 사람을 돕는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부를 통해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기부로 사회현상의 변화에 기여한다는 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경험적 특성과 관련하여 동료의 기부행동을 본 경험만이 지속적인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특히 기부자 개인이 기부행동 방향을 결정하는데 그 준거기준으로 직장내 동료들에게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기업내 기부문화 교육 및 다양한 기부방식 소개, 직장 동료간의 관계형성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을 인식케 한다. 넷째, 기부기관의 만족도는 기부하는 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속적인 기부행동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기부자들에게 사회복지 기부기관 미션(mission)과 가치, 기부금 사용의 투명성과 신뢰성에 대해 명백하게 전달함으로써 이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지속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사회복지 기부기관 역시 이미지 제고를 명확하게 홍보하고 이해시킬 수 있는 작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속적인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용인이 무엇인지 탐색함으로 지식의 확대뿐만 아니라 향후 실천 과제를 도출해 보고자 했다. 한 기관의 기부자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다소 제한적인 측면을 가지기는 했으나, 본 연구는 지속적인 기부행동을 초점으로 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지속적인 기부행동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의 초석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본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on constant dona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is study to make a strategic way of continuous donation behavior, I want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effective approaches to private resources and active donation behavior.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donation attitudes, sociodemographiccharacteritics, experiences, a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donation organizations and dependent variable is a constant donation behavior.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the based on the responses of 400 donation members in ㅇㅇorganization which is representitive of supporting social welfare projects in Seoul were used. In addition, I used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s to analyze related effects. In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variables of a single person, donation attitude, experiences to see coworker's don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organization were significant. Based on results above, there are some implications as following. 1. It is important that donations are not just charitable behaviors but contrubutiong to make a real difference in social affairs. 2. The study shows that Experiences to watch the coworker's donation merely influence on continuous donation behavi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re should be ab deucation of donations culture and introduction of various ways to danate in the company and we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make an association with coworking people. 3. It is critical that we get donators'attentions and make them everlasting clearing up our missions and values of donation organizations, transparest and credible usage of their contributions. To acheive the project, we can declare that we need to renew the imag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let people know our efforts like those. I tried to induce what wo should do from now on finding out the factors that made impacts on the constant donation behavior. It can lay groundwork for other studies related to this topic in future given that there is nothing about studies like this focusing on donation behaviors,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affective variables to donation behaviors are limitedly supported by members of one institut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