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張南洙-
dc.contributor.author홍경주-
dc.creator홍경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8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2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82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고호모시스테인혈증 흰쥐에서 엽산보충이 임신 전과 임신 후의 생화학적 지표와 태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후 5주령의 암컷 흰쥐를 임신 전과 임신 후로 나누어 호모시스틴-엽산결핍식이, 호모시스틴-엽산보충식이, 대조군식이로 사육하였고 5주 후 교배시켰다. 임신 전과 출산 직전에 이들의 혈장과 간 및 태반을 취해 혈장에서 호모시스테인 수준과 엽산 및 비타민 B12 수준, TBARS 수준을 측정하였고, 간과 태반에서 엽산 함량 및 TBARS 수준, SAM, SAH, SAM/SAH ratio를 분석하였다. 혈장의 호모시스테인 수준과 간과 태반의 SAM, SAH 수준은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혈장 엽산과 비타민 B12 농도는 radioimmunoassay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혈장과 조직의 TBARS 수준은 luminescence spectrometer를 이용하였으며, 조직의 엽산 농도는 microbiological assay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호모시스틴 식이를 섭취한 흰쥐는 대조군에 비해 임신 전과 임신 후 혈장 호모스테인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체내 엽산 및 비타민 B12 수준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엽산결핍군의 경우 출산 시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이 임신 전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은 비타민 영양상태에도 영향을 미쳤다. 호모시스틴과 엽산을 동시에 섭취한 엽산보충군의 경우, 간의 엽산 수준이 동일한 양의 엽산을 섭취한 대조군만큼 증가하였으나, 혈장의 경우 대조군의 엽산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흰쥐의 혈장 비타민 B12 수준은 임신 전에는 엽산결핍군이 대조군과 엽산보충군 보다 낮았으나 출산 후에는 대조군과 엽산결핍군간 차이는 없었고 오히려 엽산보충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고호모시스테인혈증 흰쥐의 간에서 SAM, SAH 농도 및 SAM/SAH ratio를 분석한 결과, 엽산결핍군은 remethylation 대사 과정이 손상 받았지만 엽산보충군은 remethylation 과정의 손상이 회복되었다. 즉, 임신 전에 엽산결핍군의 SAM 함량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지만, SAH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또한 출산 시 흰쥐의 SAM/SAH ratio가 엽산결핍군은 대조군과 엽산보충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고호모시스테인혈증 흰쥐에서 지질과산화정도를 나타내는 TBARS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임신 전 흰쥐의 지질과산화물 수준은 혈액에서는 대조군과 엽산결핍군, 엽산 보충군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간에서는 엽산결핍군과 엽산보충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출산 시 혈장 지질과산화물 수준은 엽산보충군이 대조군과 엽산결핍군에 비해 낮았으며, 간의 지질과산화물 수준은 세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고호모시스테인혈증 흰쥐에서 엽산 보충이 태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임신률은 대조군과 엽산결핍군, 엽산보충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태반의 무게와 개수에도 세 군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태반 내 SAM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엽산결핍군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엽산보충군은 정상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태반 내 SAH의 경우 세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태반의 SAM/SAH Ratio는 대조군과 엽산보충군이 엽산결핍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태반 내에서 지질과산화물 수준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엽산보충군, 엽산결핍군의 지질과산화물 수준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은 흰쥐의 혈장 내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상승시키고 엽산 수준을 감소시켜 remethylation 과정을 방해하며 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으로서 태반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산 보충이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지는 않았으나 remethylation 과정을 호전시켰다. 그러므로 엽산보충의 효과와 모체와 태아를 연결해주는 태반에 대한 임상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Hyperhomocysteinaemia is associated with adverse pregnancy outcomes such as pre-eclampsia, placental abruption, early pregnancy loss and neural-tube defec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perhomocysteinaemia on maternal rats and their placentas. 54 femal rats of Sprague-Dawley were divided 3 groups according to homocystine administration and dietary folate level. 5 week-old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0.3% homocysteine diet with or without 8mg/kg folate diet for 5 weeks during preconception and during pregnancy. All of the rats were mated with normal rats. Plasma homocysteine levels and SAM, SAH, SAM/SAH ratio were analyzed by HPLC. Plasma folate and vitamin B12 levels were analyzed by radioimmunoassay. Plasma and tissue TBARS levels were analyzed by luminescence spectrometer. Tissue folate levels were analyzed by microbiological assa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Dietary folate supplementation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lasma homocysteine levels which had been increased by homocystine-diet,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plasma, liver and placental folate levels. Liver TBARS levels in homocysteine-folate deficient group(HFD) increased hig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Dietary folate supplementation increased liver and placental levels of SAM/SAH ratios in homocystine group(p<0.05). In conclusion, it is effective to decrease plasma homocysteine levels with dietary folate supplementation. These data demonstrate that folate depletion and elevated plasma homocysteine promote oxidative stress in rat livers and regulate remethylation cycle in the ra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 5 A. 실험동물의 사육 및 식이 = 5 B. 교배 및 임신 확인 = 8 C. 흰쥐의 희생 및 혈액과 장기의 채취 = 8 D. 생화학적 분석 = 9 1. 혈액 분석 = 9 1) 혈장 호모시스테인 분석 = 9 2) 혈장 엽산, 비타민 B12 분석 = 12 3) 혈장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분석 = 13 2. 간과 태반조직 분석 = 14 1) 간과 태반에서의 엽산 분석 = 14 (1) L. casei-inoculum culture = 14 (2) Rat serum conjugase 제조 = 14 (3) Standard solution의 제조 = 15 (4) 시료의 전처리 = 15 (5) 엽산 분석 = 16 2) 간과 태반에서의 SAM, SAH 분석 = 18 3) 간과 태반에서의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분석 = 19 E. 자료 처리 및 분석 = 20 Ⅲ. 실험 결과 = 21 A. 흰쥐의 성장 및 장기 중량 = 21 1. 식이 섭취량 및 체중증가량 = 21 2. 간과 태반의 무게 = 21 B. 임신 전 흰쥐의 생화학적 지표 분석과 임신결과 = 23 1.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과 엽산 및 비타민 B12 수준 = 23 (1)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 = 23 (2) 혈장 및 간의 엽산 함량 = 24 (3) 혈장 비타민 B_(12) 농도 = 25 2. 혈장 및 간 조직의 지질과산과물 농도 = 26 3. 간 조직의 SAM, SAH 농도와 SAM/SAH Ratio = 27 4. 흰쥐의 임신결과 = 28 5. 임신 전 흰쥐의 체내 호모시스테인 수준과 다른 생화학적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 = 29 C. 출산 시 흰쥐의 생화학적 지표와 태반의 생화학적 지표 분석 = 31 1.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과 엽산 및 비타민 B12 수준 = 31 (1)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 = 31 (2) 혈장 및 간과 태반 조직의 엽산 함량 = 32 (3) 혈장 비타민 B12 농도 = 33 2. 혈장 및 간과 태반 조직의 지질과산과물 농도 = 34 3. 간과 태반 조직의 SAM, SAH 농도와 SAM/SAH Ratio = 35 4. 출산 시 흰쥐의 체내 호모시스테인 수준과 다른 생화학적 지표간의 상관관계 = 37 5. 모체와 태반에서 생화학적 지표간의 상관관계 = 39 D. 임신 시 흰쥐와 출산 시 흰쥐의 생체지표 비교분석 = 42 Ⅳ. 고찰 = 44 Ⅴ. 요약 및 결론 = 52 참고문헌 = 55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85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고호모시스테인혈증 흰쥐에서 엽산보충이 임신 전후의 생화학적 지표와 태반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folate supplementation on pregnancy of hyperhomocysteinaemia-induced rats and their placenta-
dc.creator.othernameHong, Kyoung-Ju-
dc.format.pageⅶ,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