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남성 소비자의 정장 구매행동 연구

Title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남성 소비자의 정장 구매행동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ale Consumers' Suit Purchasing Behaviors by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의복쇼핑성향남성소비자정장 구매행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남성 소비자들이 남성 정장 구매 시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세분집단의 의복구매행동 및 인구통계적 특성을 밝힘으로써 마케팅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남성 정장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라 소비자들을 유형화하고 유형화 된 집단의 점포 속성 중요도, 의복구매행동 및 인구통계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남성 정장 소비자의 쇼핑성향 및 점포 속성 중요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서울 또는 서울 근교에 거주하고 있는 20∼40대 남성 700명이 편의추출 되었으며 자료수집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최종 65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군집분석, 분산분석, χ^(2)_test, 사후 검증을 위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소비자의 정장 구매 시 의복쇼핑성향의 차원은 경제적 쇼핑성향, 상표 및 점포 충성 쇼핑성향, 유행 추구 쇼핑성향, 편의적 쇼핑성향의 4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남성 소비자의 정장 구매 시 의복쇼핑성향 4 요인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편의추구 집단, 쇼핑 고관여 집단. 경제추구 집단 3군집으로 유형화 되었다. 넷째, 남성 정장 구매 시 점포 속성의 하위차원으로는 분위기 및 서비스, 쇼핑편의, 유행 및 판매촉진, 가격, 품질 및 명성의 5요인이 추출되었다. 넷째, 의복쇼핑성향 집단에 따른 점포 속성 중요도와 정보원 활용정도를 살펴본 결과 쇼핑 고관여 집단은 점포 선택 시 가격을 제외한 다른 요인들에 대해서 중요하게 평가하였고, 경제추구 집단은 가격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쇼핑 고관여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정보원 활용 정도가 높으며 편의추구 집단과 경제추구 집단은 모든 정보원에 대해서 활용 정도가 낮았다. 특히 편의추구 집단은 매체 정보원 활용정도가 다른 집단보다 매우 낮았다. 다섯째, 의복쇼핑성향 집단에 따른 의복 평가 기준을 알아본 결과 편의추구 집단은 의복 평가 기준에 대한 중요도가 낮은 편 이었으며, 특히 섬유의 성분, 옷감의 재질감, 재단과 바느질, 세부적인 형태 등을 세분집단 중 가장 중요하지 않게 생각했다. 여섯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쇼핑성향을 살펴보면, 정장을 사기 전에 디자인을 미리 고려하고, 여러 점포를 둘러보는 등의 계획적 구매인 경제적 쇼핑성향은 20대, 미혼에서 높게 나타났고, 대학교 재학 중인 소비자가 전문대 졸업 이상의 학력 소비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표 및 점포 충성 쇼핑성향은 전문직을 가진 소비자가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대학교 졸업, 대학원 졸업 이상의 고학력의 소비자가 고졸의 학력 소비자보다 높았다. 월평균 가계 총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소비자들은 상표 및 점포 충성 쇼핑성향이 월 소득 400만원 미만의 소비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강남에 거주하는 소비자가 강동 및 강서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보다 높았다. 유행추구 쇼핑성향은 20대, 전문직을 가진 남성 정장 소비자가 학생을 제외한 다른 직업의 남성 정장 소비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편의적 쇼핑성향은 30-40대, 기혼에서 높게 나타났고, 경영관리직의 소비자는 전문직이나 학생보다 편의적 쇼핑성향이 높게 나타났고, 대학교 재학생이 다른 소비자보다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점포 속성 중요도를 살펴보면, 분위기 및 서비스 요인은 강남에 거주하는 소비자가 강동 및 강서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쇼핑편의 요인은 40대,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의 월소득을 가진 소비자가 300만원 미만의 월 소득을 가진 소비자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강동 및 강서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가 강북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보다 쇼핑편의에 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유행 및 판매촉진 요인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여 강동 및 강서 지역의 소비자와 차이가 있었다. 가격 요인은 경영관리직, 전문 기술직, 사무직, 서비스 및 판매직을 가진 소비자들이 학생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700만원 이상의 소득을 가진 소비자가 700만원 미만의 월 소득을 가진 소비자보다 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품질 및 명성 요인은 학생이 사무직, 서비스 및 판매직의 남성 소비자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대학교 재학생이 고졸 및 전문대를 졸업한 소비자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리고 월 소득이 400만원 이상의 소비자가 200만원 미만의 월 소득을 가진 소비자보다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강남에 거주하는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This study was attempted to examine male consumers' clothes purchasing behaviors and demographic features of subdivided groups according to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in men's suit purchasing an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applicable to marketing.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lassifying consumers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a store's properties, sources of information, clothes purchasing behavior and demographic features by classified consumer groups. Second,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 in male suit purchasers'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and importance of a store's properties by demographic features. 700 me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y were aged twenties through forties, and they lived in Seoul or its suburbs. 655 collected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the SAS package, frequency, factors, reliability, correlation, genealogical group analysis, distribution analysis, the x^(2)-test and the Duncan test for verification were actualized f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ur categories of factors in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for male purchasers' suit purchasing were selected: preferences concerning economic factors, brand or store, trend and convenience. Second, three groups were classified after group analysis of the above four factors in male purchasers'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groups focusing on convenience, enjoyment of shopping, and economic aspects. Third, in terms of a store's character, five factors were selected: atmosphere and service; convenient shopping; fashion and sale promotion; price; quality and reputation. Fourth,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a store's character and the use of information, the shopping enjoyment group considered factors other than price to be important when they chose a store and used information more than other groups; the economics-oriented group considered price to be very important; the convenience-oriented group and the economics-oriented group used less information and, particularly, the convenience-oriented group showed the lowest use of information.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clothes shopping orientation by demographic factors, it was revealed that the propensity for economic shopping was higher in twenties than in forties, higher in unmarried consumers than in married consumers, and higher in undergraduates than in graduates. The propensity for brand- and store-oriented shopping was high in following consumer groups: professionals, graduates, undergraduate, residents in areas on the southern side of Hangang River. The propensity for vogue-oriented shopping was high in twenties and professionals group. Finally, the propensity for convenience-oriented shopping was high in thirties, forties, married,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duties, and consumers with other scholarly attainments except university students. Six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ortance of a store's properties by demographic factors, it was shown that consumers resident in area on the southern side of Hangang River regarded mood and services as important; forties attached important to convenience for shopping and consumers resident in the area on the eastern and western side of Hangang River thought much of convenience for shopping, while the low-income group did not regard convenience for shopping such as convenience fur transportation and large parking lot as important; consumers resident in the southern side of Hangang River and Metropolitan area thought much of vogue and sales promotion; price was regarded as important in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duties, professional technical duties, office staff, service and sales staff and consumers who has an income of 7 million won or more whereas quality and reputation were valued highly in students and consumers resident in area on the southern side of Hangang Riv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