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읽기장애아에 있어서 음운중심 및 의미중심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이 단어회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일 연 구

Title
읽기장애아에 있어서 음운중심 및 의미중심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이 단어회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일 연 구
Authors
이진숙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기억에 결함을 보이는 읽기장애아의 단어 회상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읽기장애아에게 있어서 기억전략 중의 하나인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이 회상 수행에 미치는 영향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장애아에게 음운중심 범주화 및 의미중심 범주화 조건에 따라 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과 연령이 회상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으며, 그 결과로 부터 읽기장애아의 회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인 교수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서울특별시내의 28개 공립 국민학교내 특수학급 3학년 (평균 8세)과 5학년(평균 10세) 아동을 대상으로 지능검사와 기초학습기능 검사 중 읽기 Ⅰ(문자와 낱말의 재인)을 실시하여 3학년과 5학년의 읽기장애아 각 40명씩 80명을 선정하였다. 각 학년의 연구대상 아동은 음운중심 범주화 집단 20명과 의미중심 범주화 집단 20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사용된 실험도구는 4범주 3항목에 속하는 단어로 국민학교 교과서에서 고빈도로 사용하는 단어들 중에 음운론적으로 범주화할 수 있는 단어카드 12개와 의미론적으로 범주화할 수 있는 단어카드 12개 그리고 각 범주화의 4범주명을 기재한 범주카드 8개로 모두 32개였다. 아동들은 무선적으로 제시된 단어를 읽고 음운 및 의미중심 범주에 따라서 단어를 분류하여 배열케함으로써 범주화하도록 교수한 후 범주별로 읽게 하여 범주화를 확인시켰으며, 실험 후 즉시 회상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처리는 SPSS Package에 의한 이원변량분석과 t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간 비교에서 읽기장애아는 음운중심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에서 보다는 의미중심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에서 유의하게 더 회상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연령에 따른 두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간의 단어 회상수행 차를 보면, 두 연령의 읽기장애아 집단 모두 음운중심 범주화 자극 제시 조건보다는 의미중심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에서 유의하게 큰 효과가 있었다. 2. 두 연령간 비교에서 10세의 읽기장애아는 8세의 읽기장애아 보다 단어 회상수행을 유의하게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에 따른 두 연령간 단어 회상수행 차를 보면 음운중심 범주화 조건으로 자극을 제시할 경우에는 8세와 10세 읽기장애아의 단어 회상수준 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난 반면, 의미중심 범주화 조건으로 자극을 제시할 경우에는 8세와 10세 읽기장애아의 단어 회상수행 수준간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읽기장애아의 단어 회상수행에 있어서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과 연령이 단어 회상수행에 미치는 동시적인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上記)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는 읽기장애아의 단어 회상수행 정도를 높이고자 할 때에는 음운중심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보다는 의미중심 범주화 자극제시 조건이 더 효과적일 가능성과, 음운중심 범주화 조건에 따라 자극을 제시하여 단어를 가르치고자 할 경우에는 8세보다는 10세의 읽기장애아가 더 잘 할 가능성, 그리고 의미중심 범주화 조건에 따라 자극을 제시할 경우에는 8세 읽기장애아의 회상수행 정도가 10세 읽기장애아의 회상수행 수준 정도로 증가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mainl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ategorization stimulus conditions (phonemic and semantic) on word recall in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An additional concern was the effect of age on word recall in these children. For this purpose, 40 reading disabled students in the 3rd grade (age M=8) and 40 reading disabled students in the 5th grade (age M= 10) were selected from special classes located in 28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utilizing the KEDI-WISC intelligence test and the reading subtest (letters and word recognition) of the The 40 subjects in each grad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method groups. Basic Academic Skill Test . The instructional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24 word cards belonging to phonemic and semantic categories plus 8 category cards. In the experiment setting, each subject was taught to categorize each word into the appropriate sub-category. the word recall test. collected data. This procedure was immediately followed by Two-way ANOVA and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categorization stimulus conditions (phonemic & semantic) in word recall, presenting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the group of semantic categorization stimulus condition. Both age groups (8 & 10) recalled words significantly more in semantic categorization stimulus condition than phonemic one. 2.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age groups (8 & 10) in word recall,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the 10-year-old group. The phonemic categorization stimulus condition resulted i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ge groups, while the semantic categorization stimulus condition did not result in such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3. No significant simultaneous interaction was found in the effect of both categoriztion stimulus condition and age on word recall.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erformance on word recall of reading disabled children can be improved by using semantic categorization stimuli than phonemic one, that 10-year-old children can recall words better than 8-year-old children when using phonemic categorization stimuli, and that 8-year-old children can increase their word recall level to perform to the extent of 10-year-old children's level by using semantic categorization stimuli.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