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영선-
dc.creator박영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8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7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714-
dc.description.abstract유아교육에 대한 관심과 함께, 장애아동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장애아동를 위한 조기교육기관이 늘어나고 있다. 특수교육진흥법의 개정에 있어서 조기교육의 의무화가 논의되는 즈음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장애아동을 조기교육기관의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유아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사립 조기교육기관 33개소, 특수학교부설 유치원 18개소, 종교단체에서 운영하는 조기교실 22개등 총 73개의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기관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교육목표, 교육계획, 교육활동, 교수방법, 교사의 역할, 평가, 부모참여로 구성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빈도 및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A.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 기관에서 교육목표로 신변자립기능 발달, 사회성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을 강조하고 있었다. 교육계획시 5개 발달 영역에 대해서 비중을 가장 많이 두는 영역으로, 인지발달, 사회성발달, 언어/신체발달, 정서발달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장애아동을 위한 4가지 교육과정 유형에 따라 살펴 본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기관에서의 교육계획 수립방법은 교사와 아동이 함께 지적발달과 사회 정서적 발달의 도모에 기초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하는 기관이 전체 73기관중 47기관(64.4%)로 가장 많았다. B. 교육활동은 작업(개별화 수업), 이야기 나누기, 음악, 율동, 미술, 간식지도와 같은 전통적인 유아교육 활동이 주를 이룬다. 교육시 어려운 활동으로 견학, 이야기 나누기, 자연관찰 및 실험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활동운영이 어려운 이유로 교구, 시설의 부족, 장애아동에 대한 지식·지도기술의 부족을 지적하였다. C. 교수 방법의 4가지 유형, 즉, 아동의 다양한 경험을 통한 교수, 아동과 아동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수, 교구를 통한 교수, 교사의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교수방법 중에서,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 기관에서 주로 활용되는 교수 방법은 교사의 체계적이며 단계적인 교수로 아동의 학습이 진행되는 기관이 전체 73기관중 41기관(56.1%)로 가장 많았다. D.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 기관의 교사의 역할은 개별화 프로그램의 작성, 아동진단, 교수계획 및 평가, 교구제작 및 환경구성, 부모 교육을 하고 있었다. 또 교사의 역할수행이 어려운 이유로 교구시설의 빈약, 지식·지도기술의 부족, 교사대 아동의 비율이 높음을 지적하였다. 한편, 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평가로는 아동의 행동평가,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아동발달 전반에 관한 평가 등 주로 아동에 관한 평가였으며, 전체 교육프로그램 효율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는 기관은 50%미만으로 적게 나타났다. E. 부모교육은 전체 73기관중 67기관(91.8%)에서 실시하고 있었으며, 그 형태는 면담, 정규부모회, 수업참관, 강연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부모교육의 목적으로 교육기관과 가정에서의 아동교육의 연계성 외에도 아동에 대한 정보수집과 장애아동에 대한 지식제공을 지적하였다. ;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ed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duce many institutes for handicapped children. The revision of the developmental Law of Special Education is under debate concerning a free education for early handicapped children. This study focused on the curriculum aspect of preschool for the early handicapped children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reschool program development.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to 73 institutes including 33 of private kindergarten, 18 kindergarten in school, and preschools affiliated with relig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educational goal, curriculum planning, educational activity, learning style, role of teacher, evaluation procedure and parent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the majority of the pre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emphasized in the order of soci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language physical develop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their educational planning. Team approach for handicapped children in education planning was not accomplished. Second, the major feature of their program is very similiar to traditional early childhood programs. They found it the most difficult activity to take children for excursion due to their handicapped condition. Lack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along with educational materials and the high ratio of teacher vs children were not viewed to be the hindering blocks for an ideal preschool educ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majority of the institutes offered parents education in the forms of interview, regular parent committee, participation of class and special lec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장애아동의 조기교육의 필요성 = 4 B. 장애 아동의 조기 교육 = 12 1. 장애아동 조기교육의 목적 = 12 2.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과정 (敎育課程) = 14 3. 교수방법 = 18 4. 교사의 역할 = 20 5. 평가 = 22 6. 부모교육 = 23 Ⅲ. 연구 방법 = 25 A. 연구방법 = 25 B. 연구대상 = 25 C. 연구도구 및 절차 = 26 1. 연구도구 = 26 2. 연구절차 = 27 D. 자료처리 방법 = 28 Ⅳ. 결과 = 29 A.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 교육기관의 교사 및 교육기관의 배경 = 29 B. 장애 아동을 위한 조기교육기관의 교육목표와 교육계획 = 33 C.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기관의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활동 = 40 D.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 기관의 교수방법-~--~--.-~ = 46 E.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기관의 교사의 역할 = 48 F.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기관의 평가 = 50 G. 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기관의 부모교육 = 51 Ⅴ. 논의 및 제언 = 54 A. 논의 = 54 B. 연구의 제한점 = 63 C. 제언 = 63 참고문헌 = 65 부록 = 74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372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title장애아동을 위한 조기교육기관의 실태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