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통희-
dc.contributor.author강현희-
dc.creator강현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2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22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targets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rust in individual institution to increase social trust through institutions. In knowledge-based society, economic factors are not the only things that influence competition between nations but immaterial intangible capital influences even greater unlike the past. According to the data from the World Bank(2006), 80 % of the national wealth consist of intangible capital in advanced nations. An importance of the trust, one of the representative intangible capital is being strengthened as a unification mechanism which promotes cooperation between peoples. But, Korea is being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low-trust nation, and low trust in public institution is blamed for the main causes. Under a low trust in public institution, rules of law and policy compliance can't be carried out resulting in a lowering of policy effects. As long as there isn't any mutual trust, an expansion of trust between peoples is unexpectable. In spite of such importance of the trust in institution, not a full discussion on it has been started yet within the country.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factors that have effects on the trust in individual institution as part of institution-centered trust increase. For the inquiry, the national pension system was chosen as an example, to which the entire nation is subjects, which needs subscribers'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the very matters that require preferential trust increase in institution. This study has those purpose as followings. First, examines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s on trust in the national pension system focussing the subject to the trust. It's because a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a trust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trust in institution, and an importance of trust relies on the possibility of the subject to be turned into a trustworthy being. Second, organized trust in institution, a dependent variable with positive expectation and will to accept vulnerable point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a trust to figure out whether the concept organization is significant, or those influential factors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 differently. And it seemed enable a comparison of institutional factors and the person administrating the institutional factors in consequence level to be conducted. Third, looked into whether the trust level in institution is different by the insurant group. Because if insurant groups show discriminated factors affecting trust and trust level, a more detailed approach is necessary for a rise of trust. To approach to a very abstract issue, trust in institution, classified institution firstly into formal/informal institutions, and then drew out public institution from formal institution. Previous document based studies showed an attention-getting fact that a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to a trust is the greatest factor affecting trust. Drew out rationality factors and morality factors as the basis of trust with a belief that a subject to a trust should be materialized reflecting such trust basis to be influential on trust. Extracted rationality factors and morality factors from institutions and institution administrator discriminately as the public institution consist of a institution, a rule system, and institution administrator. As a morality is stipulated by an individual deed, approached to institutions as a normative matter. Regarding institutional factors, drew out institutional security as a rationality matter, and social equality as a normative matter and added individual equality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urse of achieving social equality. Regarding the persons administrating institution, extracted their efficiencies as a rationality matter, and their morality as a morality matter, and then to the institution administrators, added publicity factors influential for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o a trust. 900 national pension insurants in Seoul, Gyeonggi areas were selected for an empirical study by types(insurant in workplace, insurant in the local area, insurants excepted from contribution payment) for the questionnaire. As the population in Seoul and Gyeonggi area amounts to about 50 % of the whole nation, the two areas were worthy to secure representative. EFA, correlation analysis, ANOVA, multicollinearity test(SPSS 12.0) were conducted, and path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Amos 7.0 for hypothesis testing. The analysis extracted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to make clear the concept of trust in institution, a dependent variable, divided trust into recognition dimension and behavior intention dimension and included those followings of optimistic expectation and intention to accept vulnerability for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ut of each dimension as the constituent factors and then measur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wo trust factors, expectable trust and behavior intented trust divided from constituent factors showed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also showed difference. Regarding total eff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administrating institutions appeared as following. In expectable trust, publicity(β=0.473) and morality(β=0.443) appeared a high level, but in behavior intended trust, security (β=0.435)appeared as the highest level. Second, the security, property of institution appeared to have not much influence (β=0.186)on expectable trust, but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behavior intended trust. Third, morality and efficiency appeared to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expectable trust indicating they are powerful forecaster for trust. Especially, morality appeared to be the greatest factor on insurants in workplace and insurants excepted from contribution payment in expectable trust. In behavior intended trust, it appeared to have only indirect effect but still powerful one. Fourth, publicity appeared to be important variable largely influencing both dependent variables (expectable trust : the entire groups β=0.473, insurants in workplace β=0.399, insurants in the local area β=0.544, insurants excepted from contribution payment β=0.467, behavior intended trust: the entire groups β=0.374, insurants in workplace β=0.381, insurants in the local area β=0.405, insurants excepted from contribution payment β=0.335). Especially, in expectable trust, publicity was most powerful factor which has considerably stronger effect on insurants in the local area β=0.544 compared with other groups. Fifth, in spite of controversial equality about the system, the individual recognition of the equality wasn't significantly influential in general, and the influence of social equality also wasn't particular compared with other factors. The result tells that a follow-up study is necessary from the view that a serious issue on equality between insurants has been drawn out currently. Sixth, my assertion that the institution itself would be greater than the person administrating it in influencing the trust in institution hasn't been approved as a clear result. Regarding direct effect, publicity factor has influence stronger than that of institutional factor, but institutional factor has stronger influence on behavior intended trust. But in comparison of total influence, the factor of institution administrator is a lot higher in expectable trust, and security is the highest in behavior intended trust and than it's not quite possible to meature simply their level. Seventh, the influence level between influence factors for the trust in institution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roup which belong to each type of the national pension. Particularly, specific factors influenced differently on expectable trust and behavior intended trust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requiring a deep discussion on characteristics of each and suggesting a necessity of a policy-based discriminated approach. Eighth, the comparison of insurants in workplaces / in the local area and insurants excepted from contribution payment with the mean valu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showed not much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morality, but for the recognition of efficiency, security, publicity, the insurants excepted from contribution payment showed high level compared with the insurants in workplaces / in the local area. Insurants excepted from contribution payment showed recognition higher than that of insurants in the workplace only for the individual equality and social equality, Male insurants that excepted from contribution payment are those in a temporary unemployed state including students or persons in the army. Accordingly, they have income level lower than that of insurants in workplaces / in the local area and are in unemployed state in most cases. And yet, their mean value appeared to be a high level even if it's below 3 points, it's still relatively high compared with insurants in workplaces / in the local area and the cause needs to be checked up. The policy implication of su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spite of a trust in the national pension system has been a serious issue, almost no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rust. In most cases, issues were enumerated and formulas for the issues were given perfunctorily. This study conducted a concrete and substantial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factors by examining the factors that practically affecting the trust in the national pension factors. Second, the issue on security for the trust in institution, that is, worries over financial sector and of security for the aged were detected as the matters still important. But at the same time, I found out the fact that those worries caused by some inappropriate recognition of the institution and it is known differently from its real being rather than by the problem of the institution itself. Thus, the thing needs for security procurement is an effort to notify the institution properly and communicate about it more than an effort to reform it for the betterment. Besides, for the success of the system, social value like social equality or solidarity should be focussed prior to individual interest. Third, the gap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 recognition and behaviour were disclosed by classifying the trust in institution into expectable trust and behaviour intended trust, and then examining the difference in influence factors. Regarding the recognition, though a value of institution administrator acts as the influence factors, people are rational beings as much as preferentially to consider an economical interest which affect themselves just before put things into action. But that's not pleasant fact for me in position of studying social capital, especially trust. As the national pension system is the institution based on social equality, a series behaviour of joining it, offering accurate income information which could be disadvantageous acts for themselves is possible in the nations which have people and social capital of higher level. If a social safety net for the old aged and poverty is secured, the level of consciousness and behaviour to take care of neighbors would be lifted. And it the part needs national dimension effor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other matter over which we are forced to consider that we should act following the recognition that tell us what is right under the condition of daily worry over economic crisis, an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exist people who earn wrongful income making ill use of institution, Consequently, an effort to procure security for trust increase in institution, an effort to improve the inequality that insurants think as problematic matter should also be required. That is, if insurants' income are detected clearly and the premiums are fixed to the income level and enforced, the discontents of the insurants over the institution would be reduced that much.;지식기반사회에서 국가 간 경쟁은 더 이상 경제적인 요소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자본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세계은행, 2006). 대표적인 무형자본의 하나인 신뢰는 특히 사람들 간 협력을 촉진하는 통합기제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저신뢰국가로 평가되고 있으며 공적제도에 대한 신뢰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공적제도에 대한 신뢰가 낮으면 법치주의 확립이나 정책순응이 어려워지고 정책효과도 저하된다. 제도를 믿지 못하기 때문에 제도를 매개로 형성되는 사람들 간 신뢰도 어렵게 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제도에 대한 신뢰에 관한 국내의 논의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공적제도에 대한 신뢰 제고에 대한 관심으로 개별 제도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국민연금제도를 선정하였다. 국민연금제도는 전 국민에게 적용되는 제도로서, 가입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제도에 대한 가입자들의 신뢰가 우선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신뢰 대상인 제도에 초점을 두어 규명하고자 한다. 국민이나 가입자가 제도를 신뢰함에 있어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이 신뢰 대상의 특성이다. 또한 신뢰연구의 의미는 신뢰대상이 신뢰할만함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여지가 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본 연구는 종속변수인 ‘제도에 대한 신뢰’를 신뢰 대상의 특성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취약성 감수의지로 구성하였다. 이들 종속변수의 개념구성이 유의한지를 보고자 하였다. 셋째, 가입자 집단별로 제도에 대한 신뢰정도를 비교하였다. 가입자 집단별로 신뢰 정도나 영향요인이 다르면 신뢰 제고를 위해 좀 더 세분화된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제도에 대한 신뢰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제도를 공식적 제도와 비공식적 제도로 구분하고, 공식적 제도로부터 공적제도를 구분하였다. 또한 비인격인 제도가 신뢰의 대상일 수 있음에 대한 이론적인 논거를 제시하였다. 한편, 기존의 연구로부터 신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신뢰 대상의 특성인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신뢰 대상의 특성이 신뢰의 기반(기초)인 합리성 요인과 도덕성 요인을 구현해야 신뢰를 유도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공적제도는 대개 규칙체계인 제도와 제도관리자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고 이들 각각에서 합리성 요인과 도덕성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 중 도덕성은 개인의 특성이기 때문에 제도에 있어서는 규범성으로 접근하였다. 제도요인에서는 합리성 차원에서 제도의 보장성을, 규범성 차원에서 사회적 형평성을 도출하였고, 사회적 형평성의 달성 과정에서 제기되는 개별공평성을 추가하였다. 제도관리자요인에 있어서는 합리성 차원에서 제도관리자의 능률성을, 도덕성 차원에서 제도관리자의 도덕성을 추출하였고, 가입자들이 신뢰대상의 특성을 인식하는데 영향을 주는 홍보요인을 추가하였다. 경험적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국민연금가입자 900여명을 가입자격별(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납부예외자)로 할당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 경기의 인구는 전 국민의 50% 정도이기 때문에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보았다.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ANOVA 분석, 다중공선성 검토(SPSS 12.0)를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Amos 7.0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속변수인 제도에 대한 신뢰의 개념을 인지 차원과 행동의지 차원으로 구분하고, 전자는 제도의 특성에 대한 낙관적 기대를, 후자는 취약성 감수의지를 구성요소로 포함하였다. 이를 기대적 신뢰와 행동의지적 신뢰로 구분하여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종속변수는 두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이들간 차이도 확인하였으나, 제도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낮게 나타났다. 이는 2003년 이후 계속된 신뢰제고 노력이 크게 성공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바 신뢰 제고를 위해 좀 더 다양한 접근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총 효과를 보면 기대적 신뢰는 제도관리자의 특성인 홍보(Total effect =0.473)와 도덕성(Total effect=0.443)이 큰 효과를 보이는 반면, 행동의지적 신뢰는 보장성(Total effect=0.435)이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제도의 특성인 보장성은 기대적 신뢰에는 영향력(β=0.186)이 크지 않았으나 행동의지적 신뢰에는 가장 강력한 영향(β=0.435)을 보였다. 넷째, 도덕성과 효율성은 기대적 신뢰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하면서 큰 효과를 미치고 있어, 이들 변수들이 기존의 연구에서와 같이 신뢰의 강력한 예측자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도덕성은 기대적 신뢰에서 사업장가입자와 납부예외자집단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행동의지적 신뢰에는 간접효과만 나타났으나 총 효과에서는 여전히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홍보는 두 종속변수 모두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기대적 신뢰: 전체집단 β=0.473, 행동의지적 신뢰: 전체집단 β=0.374). 특히 홍보는 기대적 신뢰에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가입자 중에서는 지역가입자가 다른 가입자들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β=0.544, p<0.001>. 여섯째, 제도에 대한 형평성이 논란이 되고 있음에도 가입자의 개별공평성 인식이 제도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사회형평성이 제도에 미치는 영향도 다른 요인들에 비해 특별히 부각되지 않았다. 가입자간 공평성문제가 심각히 제기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 결과의 해석을 위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일곱째, 제도에 대한 신뢰가 가입종별 집단에 따라 영향요인들 간 영향력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종속변수인 기대적 신뢰와 행동의지적 신뢰에 작용하는 특정요인들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 집단별 특성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며 정책적으로도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여덟째, 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납부예외자집단을 독립변수의 평균값으로 비교한 결과 도덕성은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효율성, 보장성, 홍보에 대한 인식은 사업장가입자나 지역가입자에 비해 납부예외자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개별공평과 사회적 형평성은 사업장가입자에 비해서만 납부예외자가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납부예외자는 사업장가입자나 지역가입자에 비해 소득수준이 낮거나 취업상태가 아닌 경우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이유를 보다 심층적으로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동안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신뢰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어 왔음에도 신뢰연구에 이론적 기반을 둔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일반적으로 지적되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처방을 제시하는 식의 당위적 논의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지적되어 온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이들 요인들을 구체화하였다. 둘째, 제도에 대한 신뢰에 있어 보장성의 문제, 즉 재정불안문제와 그에 따르는 노후보장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이러한 염려가 제도자체의 문제 뿐 아니라 제도에 대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잘못 알려져 있기 때문이라는 점도 지적하였다. 보장성 확보를 위해서는 제도개선 노력 이상으로 제도를 제대로 알리고 소통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제도에 대한 신뢰를 인지차원과 행동의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태도와 행동간, 인식과 행동간 간극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제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도덕성 같은 제도관리자의 가치가 영향요인이 되지만, 직접적인 행동이 요구될 때에는 자신에게 미칠 경제적인 이해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정책이 행위자의 합리적 속성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합리적 속성만이 강화될 것이다. 국민연금제도는 사회적 형평성이나 연대 등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제도인 만큼 합리성만을 강조하기 보다는 이타적 행동이나 도덕적 가치를 우선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 경제적 위기로 보험료에 대한 부담이 있는 상황에, 제도를 악용해 부당한 이득을 취하는 사람들이 존재하는 상황이라면 가입자들의 인식과 행동의 일치를 요구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제도에 대한 신뢰제고를 위해서는 제도의 보장성을 확보하는 등의 제도개선 노력과 함께, 개인 가입자들이 느끼는 불공평함에 대한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즉 소득파악이 제대로 되고, 소득수준에 따라 보험료가 책정되고 집행된다면 제도에 대한 불만도 그만큼 줄어들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 연구목적과 연구내용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 1 2. 연구내용 = 4 B. 연구의 대상과 방법 = 6 1. 연구대상 = 6 2. 연구방법 = 8 Ⅱ. 신뢰, 제도 및 제도에 대한 신뢰 = 10 A. 신뢰개념에 대한 논의 = 10 1. 신뢰개념에 대한 기존논의 및 정의 = 10 2. 신뢰 개념의 속성 = 16 3. 신뢰 개념의 구성 차원에 대한 논의 = 18 4. 본 연구의 신뢰 개념의 정의 = 21 B. 신뢰의 대상으로서의 제도 = 23 1. 제도의 의미와 유형 = 23 2. 제도 연구의 흐름과 제도 개념의 다양성 = 25 3. 본 연구대상으로서의 제도의 개념 및 범위 = 30 4. 제도의 일반적 특성(properties) = 32 5. 제도와 제도관리자 = 35 C. 제도에 대한 신뢰 = 36 1. 제도와 신뢰에 관한 선행연구 = 36 2. ‘제도기반신뢰(제도신뢰)’와 ‘제도에 대한 신뢰’의 구분 = 41 3. ‘제도에 대한 신뢰(trust in institution)’ 논의의 이론적 논거 = 47 4. ‘제도에 대한 신뢰’의 영향요인 = 54 Ⅲ.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신뢰 = 71 A. 국민연금제도 개관 = 71 1. 국민연금제도의 도입과 변천 = 71 2. 국민연금제도의 적용 대상 및 가입자 현황 = 72 3. 연금보험료 및 급여 = 73 B.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신뢰'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 74 C.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신뢰의 개념정의 = 78 D.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신뢰의 영향요인 = 79 1. 제도요인 = 82 2. 제도관리자요인 = 95 3. 제도요인과 제도관리자요인의 영향 = 109 E.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신뢰의 연구모형 = 111 F. 가설의 설정 = 112 Ⅳ. 조사 및 결과분석 = 126 A. 조사도구의 설계 = 126 1. 변수의 조작화 = 126 2. 척도의 구성 = 136 B. 자료의 수집 및 분석방법 = 138 1. 자료의 수집 = 138 2. 자료분석방법 = 139 C. 조사결과의 분석 및 논의 = 140 1. 표본의 특성 = 140 2. 측정도구의 평가 = 143 3. 조사결과의 분석 및 가설검증 = 151 Ⅴ. 결론 = 172 A. 국민연금제도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논의 = 172 1. 연구결과의 종합 = 172 2. 제도에 대한 신뢰의 개념 구성에 대한 논의 = 174 3. 제도의 보장성의 중요성 = 176 4. 홍보의 영향력에 관한 논의 = 181 5. 사회형평성과 개별적 공평성 결과의 시사점 = 186 6. 가입종별 집단 간 차이에 대한 논의 = 189 B.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192 1. 이론적 의의 = 193 2. 실천적 의의 = 196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 197 참고문헌 = 199 < 부록 1 > 설문지 = 243 < 부록 2 > 국민연금 가입자집단별 분석모형과 적합도 = 249 Abstract = 2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591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제도에 대한 신뢰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국민연금제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Trust in Institution : Focusing on the National Pension-
dc.creator.othernameKang, Hyeon Hee-
dc.format.pagexii, 260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