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0 Download: 0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소집단 협동학습활동이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린이 영자신문을 활용한 소집단 협동학습활동이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ooperative Activities Using Junior English Newspaper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y and Attitudes
Authors
김소은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The English education at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which began in 1992, was started as an optional course at the discretion of each school but became a formal course in 1997. The purpose of the current 7th National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is to arouse students' interest and to develop a basic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critical period hypothesis, it is important perio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learn language efficiently. However, there is much less research on English reading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ared to the English reading method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be motivated to learn English with a text book enough because it does not take into account various levels of students' proficiency and nown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English newspapers reflecting the current events and issue of society, offering multiplicity of reading materials. Although there is some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English newspapers, all of them are not concerned with the effects of different teaching models.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cooperative teaching model, opposed to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l, on the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y and attitudes, and suggest how we can effectively apply English newspapers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experiments progress for eight class periods, each of which takes 40 minutes the same length as a typical class time of elementary school, for 7 weeks dividing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reading proficiency level: the lower level, and the upper level. Both individual learning group and cooperative group were taught using English newspapers as reading materials which were modified to adjust students' level of reading proficiency.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were taught using traditional model, individual teaching model, while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used cooperative teaching model. After the experiment, students concurrently took a final test and a posttest which were at the same level as a pretest. While the posttest can measure students' overall English reading ability, the final test just consists of questions reflecting the class. The reason why this final test was designed this way is that the period of experiment was quite short to improve the overall English reading ability so that the final test was made to evaluat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class material during the experi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several trends. First, both two experimental groups showed an increase in their marks on the post reading ability test. Even though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improved English reading ability more than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result of the final test designed to evaluate understanding of the class showed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scored better than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ird, the upper level students in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and i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had no significant test score difference in a post and final test. However, th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scored much higher compared to the same level of students in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Fourth, students' attitudes on learning through English newspapers represented positively. Especially for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using newspaper changed the rate of class participation and the attitude of class participation positively and almost all of students i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swered that cooperative teaching model was effective. Fifth, the opinions of English newspaper showed that students thought English newspapers had various interesting issues an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English reading ability to read the newspapers as merits while the need of high level of English reading ability made lower-level students hard to understand. Sixth,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had favorable opinions of cooperative teaching model as a whole. They said the cooperative teaching model was helpful to cultivate the spirit of collaboration, to lift a burden from individual learning and to learn English in an interesting way, However they also reflected cooperative activities might cause some conflict among classmates when they had different opinion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using English newspapers in an English class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attitude. However, English reading ability wasn't influenced easily in a short period and there needs to be continuous support for students to improve English reading ability effective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the effect of English newspapers and make programs related to English newspaper activities to bring interest to students. What's more, it was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using cooperative teaching model in reading class was positive but had different impact according to the different level of proficiency of the students. Th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increased more than others. Thus, the cooperative teaching model could be an alternative method which helps lower level students understand the class more easily.;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영어 교육은 1992년 제6차 초등학교 교육 과정에 영어가 학교 재량 선택 교과로 지정된 것을 시작으로 1997년 정규 교과로 지정되면서 본격화 되었다. 현재 7차 초등학교 영어 교육목적은 학습자들에게 영어에 대한 흥미를 키워주고, 기본적인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결정적 시기 가설에 따르면, 초등학교 학생의 연령이 언어 습득의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학생을 위한 영어 읽기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중 ·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읽기 지도 방법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초등학교의 영어 교과서는 학습자들의 다양한 영어 능력과 시의성을 반영하기 어려워 학습자들의 흥미를 충분히 유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시각각 변하는 사회의 이슈를 반영하고, 다양한 읽을거리를 제공하는 영자신문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영자신문이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수업 모형에 따른 학습 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논문은 아직까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별 혹은 협동학습으로 영자신문을 학습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의 변화, 학습 태도, 동기 및 흥미도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초등학교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영자신문 활용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 실험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7주간 총 8차시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1차시는 초등학교의 1차시와 동일한 40분으로 구성되었다. 두 집단은 모두 상 · 하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읽기 자료로써 어린이 영자신문을 사용하며, 난이도가 높은 어휘나 단락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추어 수정하였다. 전통적인 수업 모형인 개별학습 모형으로 수업을 받은 개별학습집단과 다르게 협동학습집단은 학습자들은 동료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였다. 실험이 끝난 이후에는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 성취도를 평가하였다. 연구자는 사전 시험과 동일한 사후 시험을 치른 후, 동일한 시기에 종합평가를 실시하였다. 사후 시험이 영어 읽기 능력을 전반적으로 측정하는데 반해, 종합평가는 실험 기간 동안 수업 받은 내용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후 시험 이외에 종합시험을 제시한 것은, 실험기간이 짧아 학습 자료와 수업 모형을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학습자의 전반적인 영어 읽기 능력이 단기간 동안 향상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실험 시간동안 제시된 수업 내용의 이해도를 측정하고자 한 것이다. 본 실험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자신문으로 수업한 실험집단은 모두 사후 시험 결과, 실험 이전 보다 영어 읽기 성취도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밝혀졌다. 두 집단 중 협동학습집단이 개별학습집단보다 높은 학업 성취도 결과를 나타냈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수업 내용의 이해도 파악을 위해 실시했던 종합시험 점수 결과를 분석한 결과, 협동학습집단은 개별학습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사후 시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종합평가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개별학습집단과 협동학습집단의 상위 집단 간에는 사후 시험과 종합 평가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은 반면, 협동학습집단의 하위집단은 개별학습집단의 하위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넷째, 학습자들은 영자신문을 활용한 영어 학습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또한 협동학습집단은 수업 참여도와 참여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협동학습이 효과적이었다고 대답하였다. 다섯째, 어린이 영자신문에 대해 학습자들은 주제의 다양성과 영어 읽기 능력의 향상, 흥미로운 주제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영어 능력이 부족한 학습자들은 영자신문의 높은 난이도의 조절이 필요하다고 여겼다. 여섯째, 협동학습집단은 협동학습이 협동심의 함양과 부담감의 완화에 도움이 되고, 수업 진행에 흥미를 주지만 학습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다를 때,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영자신문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과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이 단기간에 걸쳐 변화되지 않으므로,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영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영자신문의 학습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영자신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수업 모형에 대한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이 학습자 수준에 따라 차등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하위권 학습자들이 협동학습을 통해 상위권 학습자들보다 영어 읽기 능력이 더 많이 향상되고 정의적인 측면에서도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는 것을 미루어 볼 때, 협동학습은 하위권 학습자들이 어려운 수업 내용을 쉽게 이해하는 데 대안적인 수업 모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