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요약하기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독해 능력과 읽기 처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요약하기 활동이 한국어 학습자의 독해 능력과 읽기 처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ummariza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processing abilities of learners who were studying Korean: for Chinese students with Academic Purpose
Authors
신희랑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actical effects of Summarization as a study strategy by analysing how this affects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top-down, bottom-up reading processing ability of learners who were studying Korean for higher education. In Chapter 1, required study strategies in reading study were stated and summarization was suggested as a key activity of reading comprehension. Furthermore, existing studies were reviewed using three different criteria. First, the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only limited to those who were learning Korean to go to university in Korea. Second, studies only related to reading strategies were considered. Last, the studies must have handled summarization as a concrete activity. Based on these criteria, there are two questions to investigate posed for this study. Key Research Question 1. Does summarization as a reading strategy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readers' comprehension abilities ? Key Research Question 2. Does summarization affect learners' abilities of top-down/ bottom-up process? In Chapter 2, the definition of reading comprehension was discuss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the reading requirements for non-native speakers with academic purpose were described as well as the diagrams and theories explaining the procedures of re-consistituting the meaning while reading the text. In Chapter 3, the method and the procedures of the present study were mentioned. The subjects were restricted to 32 Chinese students studying Korean for higher education at S university in Chung Nam Province, and they were divided as two groups as a test-group and control-group. First 16 students in the test group had practiced summarization with other reading strategies and the remained 16 in control group had only been taught reading conventionally without any strategies. In chapter 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with possible interpretations. In chapter 5,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stat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regarding the key question 1 (Does summarization of reading strategies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readers' comprehension abilities?) Both group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s of reading comprehension at the post-test, however, the scores of the test group about the pre and post-tests were more considerably and statistically increased than the control-group's. After analysing the results of the second key question (Does summarization affect on learners' processing ability of top-down/ bottom-up?), the scores of test group in the post top-down tests after studying summarization with reading strategies were statistically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ame test after general reading classes. However, the scores of latter group were higher in the bottom-down questions but that value was not considerably high. Throughout the study, it could be inferred summarization enhances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especially in top-down process. The amount of improvement of two groups was also considered in test questions related to top-down and bottom-up process respectively. As for the top-down questions, the test-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 control group remained at the same level. These findings seemed to support the claim that summarization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performances in top-down reading process, Whereas, both groups showed more significant and statistical differences about bottom-up questions at the post-test than at the pre-test. However,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benefits of additional reading classes rather than the effects of summarization.;본 연구는 대학입학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읽기 교육에서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의 독해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읽기 처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요약하기 활동의 실제적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은 대학입학 후 대학수학에 필요한 다양한 학문적 텍스트를 접하게 되는데, 이때 이들에게 읽은 내용의 핵심을 파악하여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고, 종합하는 능력은 이들이 성공적인 대학수학을 하는 데에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효과적 방법으로 요약하기 활동을 제안하였으며, 요약하기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전략학습을 통해 한국어 학습이 목적이 아닌 대학수학의 학문을 목적으로 하는 환경에서 효율적인 읽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훌륭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소재의 S대학교의 한국어교육원에서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급이상의 학습자 3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든 실험의 참여자는 중국인 학습자로 구성하였으며, 이들을 읽기 전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을 하는 실험 집단 16명과 일반 읽기 수업을 진행하는 통제 집단 16명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1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육에서의 전략학습의 필요성과 그에 대한 구체적 활동으로 요약하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또, 이와 관련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읽기교육에 관한 연구이고, 둘째는 읽기 전략에 관한 연구이며, 셋째는 구체적 활동인 요약하기 활동에 관한 연구이다. 이와 같은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살펴 볼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1. 읽기 전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은 학습자의 독해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읽기 전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은 학습자의 상・하향식 읽기 처리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1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이 각기 다른 읽기 수업을 진행한 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읽기 점수의 향상에 대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문제 2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상・하향식 읽기 문항별 향상에 대한 유의도 검증 결과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뒷받침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일반적 읽기 능력에 대한 정의와 학문 목적 읽기를 하는 데 있어 요구되는 읽기 능력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읽기 활동을 할 때 텍스트 안에서 의미를 구성해내는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한 모형과 이론들을 다루었다. 또, 읽기 활동과 읽기 전략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활동으로서 요약하기 활동에 대한 연구들을 다루었다. 3장에서는 1장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와 이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 방법과 실험 설계 및 절차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문제에 대한 실험의 결과를 밝혔으며, 그에 대한 해석을 기술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실험 결과에 따른 결론과 연구의 제한점 및 시사점을 다루었다. 본 연구 문제에 대한 실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에 해당하는 읽기 전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은 학습자의 독해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독해 능력이라 정의한 전체 점수에 대하여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지 못하였다. 반면, 사전ㆍ사후검사지에 대한 집단 내의 향상도면에서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연구문제 2에 해당하는 읽기 전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은 학습자의 상・하향식 읽기 처리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 결과, 사후검사에서 하향식 문항에 대해 요약하기 활동을 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상향식 문항에 대해서는 통제 집단이 실험 집단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이로써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의 하향식 읽기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 각 집단 내의 상ㆍ하향식 문항에 대한 향상도를 살펴본 결과, 하향식 문항에 대한 향상도는 통제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실험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다시 한번 요약하기 활동이 하향식 읽기 처리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상향식 문항에 대한 향상도는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모두 사전검사지보다 향상되었고,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 읽기 전략을 통한 요약하기 활동은 학습자의 하향식 읽기 처리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사전과 사후검사 결과에 향상된 점수차를 보였기 때문에 단기간의 훈련이 아닌 장기간의 수업을 구성한다면, 향상된 점수의 차이가 클 것으로 기대해 본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수업을 할 때 이들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효과적인 읽기 전략인 요약하기 활동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대학수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