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이정현-
dc.creator이정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7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76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edimental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an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national physical education policy on improving those impediments as well as on revitalization pro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in order to provide grounding data on setting further strategies and scheme for national physical education polic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160 randomly extracted elemetary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Seoul and Gyonggi areas have participat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s, and 147 of them were used in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as the data processing method, and the process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w the following elements as the impediment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school playground facilities(M=2.9388), sports facilities(M=2.9116), exercise function and demonstrating ability(M=2.8707), students' physical strengths(M=2.8707), class preparation(M=2.3129) and weather influence(M=1.7211). It showed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s on recognition of impediment factors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gender groups,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s were shown on items such as confidence on conducting the class, curriculum composition, knowledges on physical education, exercise function & demonstrating ability and class preparation. With different major groups, items such as confidence on conducting the class, curriculum composition, knowledges on physical education, exercise function & demonstrating 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With different education career groups,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 was shown on school playground facilities item (p<.05). Second, in the questionnaire item asking if they were aware of the revitalization pro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27.20% answered 'yes' and 72.80% answered 'no'. In the questionnaire item asking the teacher satisfaction on revitalization pro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it appeared that more than 88.89% of teachers, which is above the average, showed satisfaction. Especially, the teachers who have had experiences on this project showed positive responses. Third, it appear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dered the revitalization pro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as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chools. Among the teachers, the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gymnasium project(M=4.3810) were considered the most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followed by the sports instructor support project(M=4.1088), student health &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system(M=3.8299), school sports club management project(M=3.6239) and various playground construction project(M=3.3878). With different gender and education career groups, it appeared that recognition on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revitalization pro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items such as sports instructor and physical education class(P>.05). In addition, with the different major groups,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 were shown on items such as construction of gymnasium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Fourth, it appear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positive expectations on the revitalization pro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They showed their utmost expectations on the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gymnasium project(M=4.2789) followed by sports instructor support project(M=3.9524), school sports club management project(M=3.6233), various playground construction project(M=3.5850), student health &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system(M=3.5306). With different major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on sports instructor support project(p<.05). In conclusi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dered school playground facilities, sports facilities, exercise function and demonstrating ability, students' physical strength, class preparation and weather influence as the impediment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Moreover, they had high expectations on the revitalization pro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as to normalize and activate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chools. Therefore, school teacher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revitalization project in order to make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chools more lively. Moreover, government should make every effort in improving and expanding the revita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throughout Korea.;본 연구는 학교체육정책의 전략과 방안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학교체육정책이 학교체육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체육수업저해요인을 알아본 후 학교체육정책이 체육수업의 개선과 학교체육의 활성화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그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인지역에 재직 중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추출하여 160명을 선정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147명이었다. 자료처리 방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체육수업저해요인은 학교운동장 시설, 학교체육시설, 운동기능 및 시범능력, 학생체력, 수업준비, 학생통제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에 관한 집단 간 인식의 차이는 성별에서는 수업자신감, 체육교과지식, 운동기능 및 시범 능력, 수업준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에서 수업자신감, 체육교과지식, 운동기능 및 시범 능력, 교육경력에서는 학교운동장 시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학교체육활성화 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예’ 라고 답한 비율이 27.20%, ‘아니오’ 라고 답한 비율이 107명으로 72.80%로 나타났으며, 학교체육활성화 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상의 비율이 88.89%로 학교체육 활성화 지원 사업을 경험한 교사들은 그 영향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체육 활성화 사업에 대한 효과에 대해 초등교사는 학교체육활성화 사업이 체육수업저해요인의 개선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다목적 체육관 건립사업(M=4.3810)이 체육수업의 개선에 가장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스포츠강사 지원사업(M=4.1088), 학생건강체력평가제(M=3.8299), 학교스포츠클럽운영(M=3.6239), 다양한 운동장 조성사업(M=3.3878)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교육경력에 따른 학교체육활성화 사업에 대한 효과에 대한 인식은 스포츠강사와 체육수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전공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체육관건립과 체육수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초등 교사는 학교체육활성화 사업에 대해 긍정적 기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학교체육 활성화 사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기대는 다목적 체육관 건립사업(M=4.2789)에 가장 높은 기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스포츠강사 지원사업(M=3.9524), 학교스포츠클럽운영(M=3.6233), 다양한 운동장 조성사업(M=3.5850), 학생건강체력평가제(M=3.5306)의 순으로 나타났다. 스포츠강사 지원 사업에 관해서 전공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초등교사는 체육수업에서 운동기능 및 시범, 수업준비, 학교체육시설, 학교운동장 시설, 학생 체력을 체육수업의 저해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체육활성화 사업에 관해서는 높은 기대를 가지고 체육수업의 정상화와 학교체육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체육의 활성화를 위해 교사는 체육수업과 학교체육 활성화 사업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야 하며, 정부는 교사를 위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체육연수프로그램 제공과 학교체육활성화 사업의 시행의 확대와 개선을 위해 홍보와 예산확보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학교체육 = 6 B. 초등체육 교육 = 13 C. 학교체육 정책 = 17 D. 선행연구의 고찰 = 34 Ⅲ. 연구 방법 = 37 A. 연구대상 = 37 B. 연구도구 = 37 C. 설문지의 신뢰도 = 39 D. 자료수집 = 39 E. 자료분석 = 40 Ⅳ. 연구 결과 = 41 A. 체육수업 저해요인에 관한 인식 = 41 B. 학교체육활성화 사업에 관한 인식 = 47 Ⅴ. 논의 = 58 A. 체육수업 저해요인에 관한 인식 = 58 B. 학교체육활성화 사업에 관한 인식 = 61 Ⅵ. 결론 및 제언 = 66 A. 결론 = 66 B. 제언 = 68 참고문헌 = 69 부록 설문지 = 73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15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교사의 체육수업 저해요인 인식과 학교체육 정책에 관한 기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s on impedimental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ir Expectations on National Physical Education Policy-
dc.creator.othernameLee, Jeong Hyun-
dc.format.pageⅷ,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