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성희-
dc.contributor.author허효정-
dc.creator허효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7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1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754-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project learning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ha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cience subject. To begin with, in order for this, we looked into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project learning. We analyzed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between a group project learning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as carried out for and a group regular project learning was carried out for. We also analyzed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written evaluation and team performance product. We carried out motivation and written evaluation as preliminary tests for 95 students in their 4th grade in school located in Seoul. Then, we carried out general project learning for a control group and project learning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for experimental group. After that,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learning. For the collected data, SPSS win 10.0 program was used. According to study subjects, we carried out ANCOVA, MANCOVA and Mann-Whitney U test.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showed that the result of testing the total average scores of learning motivation statistically after carrying out project learning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as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05. The average score of the group project learning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as carried our for (90.09) was about 10 points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of the group regular project learning was carried out for (80.30). According to each sub-factor, continuing motivation was 26%, essential motivation was 24% and non-essential motivation was 5%. Their motivation showed significance in this order. In terms of lesson motivation,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of all, we statistically analyzed individual written evaluation and the result of team performance produ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project learning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has on academic achievement after being carried out. In case of individual written evaluation, i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cience subject written evaluation score between the group project learning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as carried out for (81.85) and the group regular project learning was carried out for (75.01). In team performa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product, creativity, coherence and logicality between the two groups. It showed that the group project learning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as carried out for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ity, coherence and logicality then the group regular project learning was carried out for. Project learning using multiple intelligence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improving learning motivation. In addition to it, project learning using multiple intelligence has positiv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by helping learners use strong points fit for themselves leading them to active and self-oriented participation in learning.;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다중지능이론과 프로젝트학습에 대해 살펴보고,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과 일반적 프로젝트학습을 실시한 집단 간에 학습동기의 차이가 있는지, 지필평가와 팀결과물에 따른 학업성취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4학년 95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와 지필평가로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통제집단에는 일반적 프로젝트학습을, 실험집단에는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을 실시하여 사후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공분산분석(ANCOVA)과,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을 실시한 후 학습동기의 전체 평균점수를 통계적으로 검정한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을 실시한 집단의 평균(90.09)이 일반적 프로젝트학습을 실시한 집단의 평균(80.30)보다 10점 가량 높았다. 하위요소별로는 계속동기가 26%, 본질동기가 24%, 비본질동기가 5%의 순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수업동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둘째,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을 실시 후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개별 지필평가와 팀결과물의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개별 지필평가의 경우, 사회과 지필평가 점수가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 집단(81.85)과 일반적 프로젝트학습 집단(75.01)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결과물에서도, 두 집단 간 창의성과, 연관성, 논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을 실시한 집단이 일반적 프로젝트학습을 실시한 집단보다 창의성, 연관성, 논리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은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 학습방법으로 판단되며, 아울러, 학습자 자신에게 적합한 강점능력을 활용하면서 자기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참여를 이끌어 학업성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비록 범위가 한정된 초등학교 4학년의 세 학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으나 본 연구가 목표로 하고 있는 부분인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을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방향의 결과를 나타냈다. 앞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을 발전시켜 다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고, 결과물과 정확한 측정을 토대로 더욱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확립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활동을 보다 자세히 관찰하고 면담하여 분석하는 질적 연구로 다루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앞으로 인간의 다양한 지능이 학교와 사회에서 최대한 발현 될 수 있도록 교사들이 다중지능 연구와 수업프로그램 개발에 많은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필요한 연수와 교육자료, 세미나 등 많은 환경들이 조성되어 이를 위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다중지능이론 = 6 B. 프로젝트학습 = 13 C. 다중지능이론과 프로젝트학습 = 26 D. 관련 선행연구 = 34 Ⅲ. 연구방법 = 39 A. 연구대상 = 39 B. 연구설계 = 40 C. 연구도구 = 40 D. 연구절차 = 43 E. 자료분석 = 53 Ⅳ. 연구 결과 = 54 A. 신뢰도검사 = 54 B.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57 C.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60 Ⅴ. 결론 및 제언 = 63 A. 결론 = 63 B. 제언 = 65 참고문헌 = 67 부록 = 76 ABSTRACT =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390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fluence Project Learning Using Multiple Intelligence Ha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ocial Science Subject-
dc.creator.othernameHur, Hyo Jung-
dc.format.pageⅸ,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