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성별에 따른 역할수행 차이에 대한 학생 인식 조사

Title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성별에 따른 역할수행 차이에 대한 학생 인식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Students' percep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Role Performance of Homeroom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Authors
김남지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This study was started in an attempt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f feminiz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Most of existing studies about feminiz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has focused on the teachers' perception of feminiz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Although the teachers' perception is important, the students, who are learning currently and would be affected directly from feminizing of the teaching profession, are more important. It is needed clearly to find how the increase of female teachers would affect the student who could be affected directly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in reality. It is required to elicit the more reasonable results using the comparative way with both results of male teachers and of female teachers, presenting students of their classes the question like ‘What do you think about his or her performing the role as a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and not the question like ‘what do you think about her performing the role as a female teacher?’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lies at finding out how the feminiz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could affect students who are actually main beneficiaries from education, and eliciting significantly current topics for even designing educational policie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designed. 1. In aspects of learning guidance, How the student perceive the role performance of male and female form masters, and is there gender differences in performing the role? 2. In aspect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how the student perceive the role performance of male and female form masters, and is there gender differences in performing the role? 3. In aspects of life guidance, how the student perceive the role performance of male and female form masters, and is there gender differences in performing the role? 4. In aspects of classroom Management, how the student perceive the role performance of male and female form masters, and is there gender differences in performing the role? To explore the study questions above in this thesis, the survey of 1,840 students in 5th grade of 95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as conducted. This thesis used academic statistics service of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o sample 9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sampled elementary schools with 12 male teachers or more to find the cases in which male teachers work and some of them are in charge of 5th grade classes. After sampling the schools, depending on recommendations from a chief teacher in charge of 5th grade classes in each school, male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who have the possibly equivalent conditions such as teaching experience and soon are selected. And 10 students respectively from both a male teacher’s class and a female teacher’s class were random-sampled at the same rat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Answers of 1,360 respondents returned from overall 1,840 student were analyzed and T-test and One-way ANOVA test on statistics data collected were conducted with SPSS 12 program us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testing in performing role of learning guidance, extracurricular activities, life guidance, and classroom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careers, age, and the size of school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ut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according to teachers’ gender. It indicates that teachers’ gender is more important in performing their role than other variables such as teaching careers. Second, analyzing the students’ perception of performing teachers’ role in each field such as learning guidance, extracurricular activities, life guidance, and classroom management, the average of female teachers was perceived higher in all fields such as learning guidance, extracurricular activities, life guidance, and classroom management than the average of male teacher. It also indicates that this difference appears increasingly in the order as follows: life guidance, classroom management, learning guidanc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rough the study above, the following current topics could be obtained. First, for students perceive the role performance of female teachers as being more positive, the circumstance to emphasize the male teachers’ role for the lack of male teachers concerning the feminization of teaching profession should not be distorted into the viewpoint that female teachers are insufficient and the positive parts of female teachers need to be more promoted. Second, because existing studies had examined with the questions such as ‘what do you think about female teachers’ role performance?’ accordingly, it has been perceived that female teachers are insufficient to something like abilities to conduct a school’s event or cope with an unexpected incident. However, in my study which has tried to reduce respondents’ prejudice on teachers’ gender it appears that female teacher conduct more rather than male teachers. Through the results by comparative way we could find that there is the prejudice of women in out society. The prejudice which women are insufficient to big events or unexpected incidents is considered as an obstacle to discourage most devoted female teachers. Third, many scholars had suggested various opinions on the feminiz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with rising social concern and voice of worry. However, actually there are relatively little studies to identify the effects. When the more systematic and empirical studies will be conducted actively to supplement and objectify the existing studies in near future, the more reasonable countermeasures to feminiz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can be searched.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can be maximized when looking into actual effects of feminiz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establishing the desirable approach according to it. Fourth, attaching additional suggestion to follow-up research, although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thesis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it is the inconvenient point that the questionnaire is not the standardized instrument. Establishing the more systematic survey instrument in each field of a teacher’s role will be very significant in various studies related to teachers’ role performance in future. It is expected that if a nationwide sampling is conducted, the study results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this point could be compared with that of the follow-up research.;교직의 여성화 경향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은 무척 다양하다. 아직 합의된 의견은 도출되지 못하였지만 교직의 여성화는 꾸준히 심해지고 있고, 초등학교의 경우 그 정도가 가장 심한 편이다. 날이 갈수록 더욱 심해지는 교직의 여성화의 문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여교사의 증가가 실제 교육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명확히 밝히는 일이다. 여교사의 비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지금, 학생들이 여교사에게 교육을 받게 되는 경우 남교사에게 교육을 받게 되었을 때보다 학습지도나 생활지도 등의 여러 부분들에서 부족함이나 어려움이 있다면 어떠한 부분이 부족하고 어려운지를 명확히 밝히고 그에 따라 올바른 대책을 모색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교직의 여성화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교직의 여성화 문제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에 대해 초점을 두었다. 물론 교사들의 인식도 중요할 터이나 더 중요한 것은 교직의 여성화로 인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될, 실제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이다. 여교사의 증가가 실제 교육활동을 통해 학생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명확히 밝힐 필요가 있다. 또한 '여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는 식의 질문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남녀교사 학급의 학생에게 '담임선생님의 역할 수행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와 같이 좀 더 객관적인 질문을 제시하고, 남교사의 경우와 여교사의 경우의 결과를 서로 비교해 보는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타당한 결과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교직의 여성화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하고자 출발하였다. 교직의 여성화가 실제적인 교육 수혜자인 학생들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혀 보고 앞으로의 교육 정책 결정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이끌어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학습지도 측면에서 남녀 담임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어떠하며, 교사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특별활동의 지도 측면에서 남녀 담임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어떠하며, 교사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생활지도 측면에서 남녀 담임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어떠하며, 교사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학급경영 측면에서 남녀 담임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어떠하며, 교사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서울시내 92개교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8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92개교를 선택하게 된 이유는 먼저 본 연구의 응답 학생의 학년 특성에 따른 영향을 제한하고자 학년을 통일하게 되었고 담임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가급적 정확한 판단을 위해 고학년을 선정하고자 하였으며, 6학년은 진학 준비로 바쁜 상황을 고려하여 5학년을 선정하게 되었다. 대상 학생을 5학년으로 제한한 결과, 공정한 비교를 위해 남교사와 여교사가 5학년에 모두 있을 학교를 표집하고자 교육개발원의 교육통계샘플링서비스에 의뢰하였다. 학교당 학년별 남녀 교사 수의 정보는 공개 불가하다고 하여, 서울시내 남교사가 5명 이상인 초등학교 샘플링 494개교, 15명 이상인 초등학교 샘플링 26개교 등의 샘플링을 반복하였고, 남교사가 군복무 등으로 휴직을 하거나 5학년이 아닌 다른 학년이나 교과 전담교사일 경우 등과 추출된 학교수가 너무 적지 않을 범위를 고려하여 남교사가 12명 이상인 초등학교 92개를 선택하였고, 해당 초등학교 92개교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학교를 추출한 다음에는 각 학교별로 5학년 부장교사에게 부탁하여 가급적 경력 등 조건이 비슷한 남교사와 여교사를 선택하였고, 남교사 학급의 학생 10명과 여교사 학급의 학생 10명을 각각 남녀 동수로 무선표집하였다. 학생 총 1840명 중 회수된 1360명의 의견을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통계자료는 SPSS 1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와 one-way ANOVA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교사의 경력이나 연령, 학교의 규모에 따라 검증하였을 때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교사의 성별에 따라서는 p<.001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물론 남녀 교사 모두 평균이 4점대로 차이의 폭이 아주 큰 것은 아니었지만 학습지도, 특별활동 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의 모든 영역에서 여교사가 남교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학교 규모나 경력 등의 다른 변인보다도 교사의 성별 특성이 담임교사의 역할 수행에 있어서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담임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살펴보면 전체 영역에 대한 남교사의 평균은 4.09, 여교사의 평균은 4.37로 여교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지도, 특별활동 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의 각 영역별 역할 수행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남교사의 평균보다 여교사의 평균이 생활지도에서는 0.33높았고, 학급경영은 0.31, 학습지도는 0.26, 특별활동 지도는 0.22정도 더 높게 인식되었다. 학생이 인식하는 담임교사의 역할 수행에 있어서 남자 담임교사 보다 여자 담임교사의 역할 수행이 각 영역 모두에서 학생들에게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교사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생활지도, 학급경영, 학습지도, 특별활동 지도의 영역 순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습지도, 특별활동 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의 모든 영역에 대해서 학생들은 남교사보다 여교사의 역할수행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볼 때, 교직의 여성화와 관련하여 최근 남교사의 부족으로 남교사를 강조하는 분위기가 자칫 여교사를 미흡하게 여기는 시각으로 왜곡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여교사의 긍정적인 부분들은 더욱 장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차이가 큰 것이 아닌 만큼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논의에 있어서는 단지 교사의 성별이라는 외형적인 부분보다는 교사의 사명감과 의욕, 교과지식, 교수학습 기술 등과 같은 내적인 부분들을 살펴야 할 것이며, 실제적으로 교육의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여교사의 역할 수행이 어떠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식의 조사를 하였고 그 결과 여교사는 학교의 행사를 통솔하거나 학급 내 돌발 사항에 대처하는 부분 등에서 미흡한 편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교사 성별에 대한 응답자의 선입견을 줄이고자 노력한 본 연구에서는 오히려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역할을 더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조적인 결과를 통해 아직도 우리 사회에는 여성에 대한 편견이 존재함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여성은 큰 행사나 돌발 상황에는 능숙하지 못할 것이라는 것 등의 편견은 실제로는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는 대다수 여교사들의 의욕을 오히려 저하시키는 장애물이라고 본다. 셋째, 교직의 여성화에 대해 학자들마다 다양한 주장을 제기하여 왔으며, 사회적인 관심과 걱정의 목소리도 높았다. 하지만 실제로 그 영향이 어떠한지를 밝히는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앞으로도 교직의 여성화 현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고 더 객관화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교직의 여성화에 대해 보다 합리적인 대처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막연히 교직에 남교사가 적어진다는 이유만으로 걱정하기 보다는 교직 여성화의 실제적 영향을 잘 살피고 그에 따라 바람직한 대책을 마련할 때 교육의 효과는 더욱 극대화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넷째,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이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지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작하였지만 표준화된 도구가 아니란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교사 역할의 각 영역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인 조사도구를 만드는 것은 앞으로 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다양한 관련 연구들에 있어서도 매우 유의미할 것이다. 또한 전국적인 표집이 이루어질 경우 지역적 특성 등에 따라 연구결과에서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후속 연구에 있어서는 이 점을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