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8 Download: 0

초등학교 교육행정직의 직무 실태 분석

Title
초등학교 교육행정직의 직무 실태 분석
Other Titles
Analyzing the work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at elementary school
Authors
정찬화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새로운 교육환경의 변화 속에서 중앙정부로부터 지방으로의 교육권한의 이양이 확대되면서 학교장을 중심으로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학교단위책임경영제(SBM : school - based management /site-based management)가 도입되었고, 이와 더불어 학교회계제도가 실시되면서 학교의 자율적 권한과 책무성이 증대되었다. 단위학교의 교육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를 구성하는 교원과 행정직원의 능동적인 참여와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교사는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학생을 교육하며, 행정직원 등 직원은 교장의 명을 받아 학교의 행정사무와 기타의 사무를 담당하고 있다. 초ㆍ중등교육법 제19조에서 말하는 행정직원에는 공무원임용령 제3조에서 정하고 있는 행정 직군, 행정 직렬, 교육행정 직류 해당하는 교육행정직 공무원과 기능직 공무원, 학교회계직원, 기타 직원이 해당된다. 고유 업무인 교육활동을 담당하는 교원과는 다르게 교육행정직은 학교조직에 있으면서도 학생교육을 담당하지 않으나 교원의 효과적인 교수활동을 위한 제반 조건을 조성ㆍ지원하고 있다. 성공적인 학교경영을 위해서는 교원과 행정직원의 상호협조가 필수적이며, 행정직원의 전문적 지원을 기반으로 할 때 질 높은 교육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학교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은 소수인데 반해 현행법에서 학교에서 교육행정직 공무원을 포함한 행정직원이 담당해야 할 직무의 내용과 범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해, 소수의 인력이 업무의 성격이나 범위에 상관없이 각종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교원과 관련된 교육정책 및 교원복지정책에는 많은 관심이 모아진 것과는 달리, 교육계에 종사하는 또다른 구성원인 교육행정직에 관한 정책 및 제도에는 관심과 지원 및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이 실제로 수행하고 있는 직무의 내용을 알아보고, 교육행정직 공무원이 인식하는 직무 수행 빈도, 중요도, 난이도 인식 및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이들이 실제로 수행하는 직무의 내용이 기관변인 및 개인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통계샘플링 서비스를 통해 표집된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육행정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의 직무 영역은 민원ㆍ정보공개, 사무관리, 인사, 비정규직 관련업무, 보안, 복무, 보수, 학교회계 예ㆍ결산, 학교회계 수입 관련업무, 학교회계 지출 관련업무, 계약 관련업무, 학교발전기금 관련업무, 이월금 관리, 물품관리, 공유재산관리, 학교시설관리의 16개 단위업무로 구분되었다.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업무 중 학교운영위원회 관련 업무는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했기 때문에 나온 결과로, 중ㆍ고등학교에서는 교육행정직이 담당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세입금 및 세입세출외현금 업무는 교육행정실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 이외의 인력이 담당하는 업무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의 직무 수행 빈도는 회계담당공무원으로서 수행하는 계약 및 지출업무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행정직이 인식한 중요도 및 난이도가 가장 높은 업무는 계약관련 업무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수행 빈도와 중요도, 난이도 간의 상관관계를 단위업무별로 살펴본 결과, 교육행정직 직무 수행 빈도와 중요도 인식의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을 이루며 상관계수가 .52~.81이었으며, 직무의 중요도와 난이도 인식의 상관계수는 .41~.90으로 상관이 있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의 수행 빈도와 난이도 인식 간의 상관계수는 이월금 관리 업무를 제외한 나머지 단위업무에서는 .42~.79로 나타났으며, 이는 수행 빈도에 비해 난이도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난 업무는 실제로 어려워서가 아니라 수행 빈도가 낮아서 초래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학교 규모에 따른 교육행정직의 직무 수행 빈도 영역별 평균과 그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봤을 때 학급 규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민원정보공개 업무에서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수행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무 중요도 인식에서는 전체적으로 학교 규모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복무, 보수, 계약 업무의 중요도 인식은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인식의 정도가 높았다. 또한 교육행정직의 직무 난이도 인식의 영역별 평균과 그 차이 검증 결과는 학교 규모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보수, 보안, 공유재산 업무에 대하여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난이도 인식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규모 외에 기관변인인 학교 소재지와 교감 성별에 따라서는 인식 정도의 차이가 없었다. 넷째, 개인 변인에 따른 직무 인식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교육행정직의 성별에 따라 수행 빈도, 중요도, 난이도 인식 정도의 차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교육행정직 직급에 따라서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위업무별로 살펴보면 교육행정직의 직무 수행 빈도는 민원정보공개, 보안 업무에서 직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민원정보공개, 보수, 공유재산 업무는 교육행정직 직급이 낮을수록 중요도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민원정보공개, 인사, 이월금, 공유재산 업무는 직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수행 빈도가 높고 중요도 인식 정도가 높으며, 어렵다고 생각하는 업무를 중심으로 학교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이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임용 이후 실시되는 신규자 교육에서부터 전문교육에 이르기까지 그 내용과 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교육행정직의 성별과 직급에 따라서는 직무 수행 빈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업무에 대한 숙련도를 요하는 단위업무(보안, 보수, 공유재산 업무)는 직급에 따라 수행 빈도와 난이도 인식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결과를 통해 현재의 교육훈련 및 연수 제도의 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교육훈련이나 연수의 교육대상은 경력이 많거나 직급이 높은 교육행정직이며, 소규모학교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의 경우는 학교 여건 상 교육을 신청하기에도 무리가 있다. 따라서 교육을 주최하는 교육청이나 해당교육기관에서는 상대적으로 전문성 신장의 기회가 적고, 경력이 짧은 교육행정직에게 우선적으로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며, 교양교육 수준에 머물러 있는 사이버 교육을 전문성을 개발 할 수 있는 교육으로 그 범위를 넓혀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규모가 작고, 직급이 낮은 교육행정직일수록 직무 수행 빈도와 난이도의 인식정도가 높게 나타난 점을 미루어 소규모 학교에 직급이 낮은 교육행정직이 배치되는 현행 인사제도의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In changing new educational environment, SBM(school - based management / site-based management) which emphasize self-control of a unit school around the principal was introduced, and self-control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school was increased with enforcing school-financial system. It must be premised active participation and effort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ho organize their school for raising educational result of the unit school. The teachers except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educate student by provided law, the administrators are in charge of the administrative affairs and the other affairs by order of the principal. The administrators at the 19th education law are educational administration employee, technical servant, account staff and the other staff. Differently teachers charging education, educational administrators do not take charge of teaching students while they work at school, but make and support efficient teaching of teachers. For successful school management, mutual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is indispensable, and it can be accomplished high quality teaching with technical support of administrators. However, the number of administrators working at school is few but they perform almost duties regardless of range or characteristic of the duties, because law relating education can't indicate concretely the contents and range of the duties that administrators charge. In addition, Differently there is interest in educational policy and teachers welfare policy, there is no interest in policy about administrators who is member of educational circles. So, this research examined contents of duties that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rvants who work at elementary school really perform, and analyzed correlation among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degree of importance, degree of difficulty. And, this examined if there is gap as corporation parameter and personal parameter about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rvants really perform duties. For that, we put in effect survey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at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y sampling of statistics of education at KEDI(Korean Educational Develpoment Institute), and analysised using SPSS 12.0 program,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administrators' at elementary school range of duties were sixteen that are opening information to the civil application, office management, personnel, non-regular worker, security, service, remuneration, budget and closing account, revenue, expenditure, contract, school development fund, carry-over, articles, public property and facility management. The duty about steering committee of school was not answered because the object of survey was elementary, educational administrators at middle or high school take charge of the duty. Also, staff who work in administration room other than administrators take charge of the duties that are revenue and fund except revenue and expenditure. Second, frequency of contract and expenditure is the highest in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which do educational administrators at elementary school, and degree of importance and degree of difficulty of contract is the highest. According to the result which correlation among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degree of importance, degree of difficulty, the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and degree of importance is equal correlation and the numerical value is 0.52~0.81, and the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importance and degree of difficulty is a little bit or high relative and the numerical value is 0.41~0.90. The numerical value of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and degree of difficulty is 0.42~0.79 about the other unit duties except carry-over, this means not the duties are really difficult but the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is low. Third, the result about average and the difference of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according to scale of school show that there is no difference totally, but the less class in the school, the more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opening information to the civil application. Totally, there is no difference at degree of importance, but the less class in the school, the more degree of importance about service, remuneration, contract. Also, there is no difference at degree of difficulty according to scale of school, but the less class in the school, the more degree of difficulty about security, remuneration and public property.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all parameter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school and sex of vice principal. Fourth, According to result about personal parameters, there is no difference at degree of frequency, importance and difficulty as sex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There is no difference as grade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some duties which are opening information to the civil application and security have difference. And, less grade of administrators, the more degree of importance about opening information to the civil application, remuneration and public property. some duties which are opening information to the civil application, personnel, carry-over, public property have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According to these all result, we can get point that training should exist about high frequency of duties, more important duties and more difficult duties for efficient work. Also, Unit duty that needs good skill(security, remuneration, public property) has difference about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and degree of difficulty, so we can know that present training should be changed. Most of present training are for long career or high grade educational administrato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who work at small school can't apply training because of the school condition. So office of education or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offer chance of training preferentially to short career administrators, and expand cyber training for developing expertise. Also, less scale of school and lower grade, the more degree of frequency and importance, it suggest changing present policy of personnel that lower grade administrators are stationed small scale of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