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허명-
dc.contributor.author손만수-
dc.creator손만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6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0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639-
dc.description.abstract과학교육에서 실험실 수업은 꾸준히 강조되고 있으나 학교에서는 제대로 실행되고 있지 않고 있다. 교사들이 제시한 주요 원인은 수업시간 부족이었으나 본 연구에서 주목한 점은 많은 교사들이 탐구적 실험에 대한 낮은 자신감을 원인으로 여기고 있다는 것이다. 교사의 이러한 자신감은 교원양성기관에서 전문적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함양될 수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교원양성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실험실 수업이 얼마나 탐구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교원양성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실험실 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실 수업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실험실 환경에 대한 예비중등교사들의 인식을 조사 하였다. 실험실 환경에 대한 인식 조사는 예비중등교사들의 성별, 학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환경 인식에 따라 예비중등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그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주요 대학 생물교육학과 세 곳을 선정하여 1, 2, 3학년 예비중등과학교사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양성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실험실 수업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확인실험이 76.6%, 발견실험이 13.1%, 탐색실험이 8.2%, 연구실험이 2.0%로 교원양성 기관에서 주로 시행되고 있는 실험실 수업 유형은 확인실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실 환경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SLEI 영역에서 협동단결 영역과 연계성, 규칙인식 영역의 평균은 각각 3.83, 3.75, 4.05로 높게 나타났으며, 개방도와 물리적환경의 평균은 각각 3.05, 3.21로 낮은 점수를 보여 여전히 실험수업의 내용과 환경측면에서 개선할 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와 비교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평균 점수가 1점 이상 상향된 것을 볼 수 있었고, 특히 규칙인식 영역에서 월등한 차이를 보여 실험실 안전에 대한 인식이 많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실 환경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성별, 학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는 물리적 환경 영역에서 1학년과 2학년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 .05). 셋째, 과학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TOSRA를 사용하여 결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사회적 의미 영역의 평균 점수는 3.88, 과학탐구에 대한 평균은 3.32, 태도의 수용은 3.67, 취미적 관심은 3.48로 모든 영역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모두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과학에 대한 태도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과학탐구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년이 증가할수록 평균점수는 높게 나타났다(p< .05). 넷째, 실험실 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는 .42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1). 이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교원양성기관의 실험실 수업 유형의 분류를 관찰자가 객관적으로 분류할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실험실 수업 유형 분석을 ‘일반생물학실험’ 수업 이외의 여러 수업에서도 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교원양성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실험실 수업의 탐구적인 요소를 측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넷째, 교원양성기관에서는 예비교사들의 탐구력을 신장시켜 줄 수 있는 실험실 수업 뿐 아니라 탐구적 실험실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 시킬 수 있는 수업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Laboratory class has been important i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However laboratory class has not been in effect at almost secondary schools, not because of lack of lesson time but because of lack of teacher efficacy for teaching exploratory-laboratory-class. This study found out the reason at the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Its purpose is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laboratory environment at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Assessment of science laboratory environments was conducted with 244 preservice teachers at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First of all, the main laboratory instruction type was identified with Classification Scheme for Laboratory Instruction(CSLI).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laboratory were examined by the tools of Science Laboratory Environment Inventory(SLEI)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were measured by 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s(TOSRA).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two-way ANOVA, correlation in the SPSS 12.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in laboratory instruction types were verification type of 76.6%, and discovery type of 13.1% in college of education. 2. The mean scores for the perceptions of the laboratory environments were high, which were 3.83 point on cohesiveness, 3.75 point on integration, and 4.05 point on rule clarity. However open-endedness score and material environment score were relatively low, which were 3.05 point and 3.21 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grade between freshman and sophomore, especially the scale of material environment(p< .05). Mean score of every part of SLEI were higher than those of preservice teachers obtained at the past research. 3.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showed high tendency. Men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women(p< .05). But there was not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grades. 4. Each scale of SLEI except integr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cores of attitudes toward science(p< .01). Correlation coefficient was .42. Particularly student cohesiveness was found to account for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affective outcom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laboratory instruction type classification need to be examined more objective and classify another laboratory class. Also college of education has to develop the program to improve ability of inquiry for preservice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실험실 수업 = 5 B. 교육환경 = 12 C. 선행연구 = 1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1 A. 연구대상 = 21 B. 연구 절차 및 연구 방법 = 22 C. 검사도구 = 23 D.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2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9 A. 교원양성기관에서 개설된 수업 유형 분석 = 29 B. SLEI를 이용한 실험실 수업 환경 조사 = 32 C. 과학에 대한 태도 겸사 결과 = 49 D. 실험실 수업의 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와의 상관관계 = 56 Ⅴ결론 및 제언 = 60 참고문헌 = 64 부록 설문지 = 70 부록 -1 실험실 수업 유향 분류 문항 = 71 부록 -2 실험실 환경 인식 측정 검사지 = 72 부록 -3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 검사지 = 75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37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원양성 기관에서 개설된 생물실험 수업의 유형 분류와 중등 예비 과학 교사들의 만족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vestigation of Perception on science laboratory learning environment and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i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dc.creator.othernameSon, Man Su-
dc.format.pageⅸ,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