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우순옥-
dc.contributor.author김진희-
dc.creator김진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4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0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492-
dc.description.abstractAccording to Cyril Burt, the best teaching method, teacher education, and subject selection can not be decided by a simple consideration of general nature of spirit. They should be decided by the direct investigation of the actual needs and limitations of the individuals who receive the education. Aware of learner's needs and limitations, this study was designed based on the learners' intimate environment. First, I analyzed textbooks, which decide education contents. As a result, textbooks were not constructed based on learner-familiar environment in terms of illustrations and themes of content organization. Also, I observed learners' current playing culture, one of the learners' environments. Most of the play objects were visual images, such as games, movies, and dramas. However, current field of education does not afford substantial education about war, which is the main subject of learners' play culture. Learners regard war as an object of play, and are accepting violent images without criticism. Therefore, substantial, actual, and contemporary-occurrence-centered art education is needed. Therefor, this research took war of Iraq, a current social issue, as a main theme of the class, and used both real documentary pictures as a medium of war and works of art as class materials. By comparing these two materials and appreciating synthetically, I tried to find out if theme-centered, integrated art apprecia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compared to conventional art appreciation. In this research, two hundred third grade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groups: a control group, and a experiment group.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traditional appreciation class, and the experiment group was given a theme-centered integrated appreciation class. Impression reports, manufactured articles, and self-evaluation sheets of both groups were collected. They were compared to find if the two group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In respect of research questions, independen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of ANOVA were used.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s. First, learners' familiar environment-centered design of appreciation program makes learners logical and critical evaluators. Second, a learners can grow abilities of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while they are manufacturing works of art by appreciation class of integrated theme-centered art. Third, appreciating integrated theme-centered art by active integration of a learner's environment and the intrinsic factor of art makes an opportunity of changing not only attitudes toward appreciation class, but also toward art itself. On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offered the appreciating experiences through integrating learners' contextual environment and art. By such experiences, learners' critical abilities have been improved. Also,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contributed to the theme-selection ability and cultivating character during manufacturing process.;시릴 버트에 의하면 최상의 교수방법이나 교사 교육에 대한 문제 및 교육에서의 교과 선택 방법에 대한 문제는 정신의 일반적 본성에 대한 단순한 고찰에 의해서가 아니라 교육 받는 특정 개개인의 필요와 한계에 대한 밀접하고도 직접적인 연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습자 개개인의 필요와 한계를 인식하고 학습자와 밀접한 환경을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첫 번째로 학습내용이 결정되는 교과서를 분석해 본 결과 도판이나 내용구성의 주제면 에서 학습자의 밀접한 환경을 바탕으로 한 구성이라고 보기에는 미흡했다. 또한 현재 학습자들의 환경인 놀이 문화를 관찰해 보았더니 대부분 게임이나 영화 드라마와 같은 시각적 이미지가 전쟁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많았다. 전쟁을 놀이 대상으로만 보고 무비판적으로 폭력적인 이미지를 수용하고 있는 학습자에게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동시대 사건을 주제로 한 미술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주제중심 통합 미술 감상의 소재를 이라크 전쟁이라는 사회적 이슈로 정하고 실제 다큐 사진매체와 현대 미술작품을 비교하여 통합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여 주제중심의 통합적 미술 감상이 전통적인 미술 감상법에 비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중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3학년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통적인 감상 수업을 진행한 통제 집단과 주제중심 통합 감상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의 감상문, 제작물, 자기평가지등의 결과를 토대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독립표본 t검정,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of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밀접한 환경을 중심으로 설계한 감상프로그램은 학습자가 논리적이고 비판적으로 가치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주제중심 통합 미술 감상 수업을 통해 학습자는 작품 제작에 있어 주제와 내용을 선정하고 구성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학습자의 환경과 미술 내적 요소의 적극적인 통합을 통한 주제중심 통합미술 감상은 감상수업 뿐 아니라 미술에 대한 관심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학습자의 맥락적인 환경과 미술 간의 통합을 통한 감상 경험을 제공함으로서 학습자의 비평력 향상은 물론 제작과정에서의 주제 선정 능력과 인성 함양에 기여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주제중심 통합 교육 = 4 1. 내용조직 초점에 따른 분류 = 5 2. 내용의 통합정도에 따른 분류:경험중심접근법 = 7 B. 미술 감상 = 8 1. 감상 모형의 배경 = 8 2. 주제 중심 통합 미술 비평 감상모형 = 11 C. 미술 교육에서의 주제중심 통합 감상 접근 방안 = 13 1. 미술과 주제중심 통합 수업 = 13 2. 미술과 주제중심 통합 미술 감상의 의의 = 14 Ⅲ. 연구 방법 = 16 A. 연구의 대상 및 절차 = 16 1. 연구 대상 = 16 2. 연구 절차 = 17 B. 연구 도구 = 18 1. 수업도구 = 18 2. 평가도구 = 28 C. 자료 처리 = 3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4 A. 연구결과 = 34 1. 이해영역 감상문 서술평가 연구 결과 = 34 2. 표현 영역 자화상 제작물 연구 결과 = 37 3. 태도 영역 감상태도 자기 평가 연구 결과 = 39 4. 주제 중심 통합 미술 감상 수업 실시 후 만족도 분석 결과 = 41 B. 논의 = 41 Ⅴ. 결론 및 제언 = 43 참고문헌 = 48 부록 = 50 ABS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7621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주제중심 통합 미술 감상 지도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Theme - Centered Integrated Art Appreciation : for 3rd Grades of the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Kim, Jin Hee-
dc.format.pageⅶ,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