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4 Download: 0

영아전담·영유아통합 어린이집 영아반의 실외놀이 환경, 운영 및 교사의 인식 비교

Title
영아전담·영유아통합 어린이집 영아반의 실외놀이 환경, 운영 및 교사의 인식 비교
Other Titles
The Comparision of Infant Nurseries and the Infant Groups of Infant and Toddler Nurseries by Grasping Outside Play Environments, Operation and Teachers' Recognition
Authors
강경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The research aims at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forming an outdoor play environment and operating an outdoor play for infant nurseries and the infant groups of infant and toddler nurseries by grasping their outside play environments and operation statuses. The following are selected research purposes in accordance with the aim of the research. 1. What is the status of the outdoor play environment (space, facilities, stability) for infant nurseries and the infant group of infant and toddler nurseries?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2. What is the status of the outdoor play operation (operation method, teachers' recognition on the operation) for infant nurseries and the infant group of infant and toddler nurseries? Is there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two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0 infant nurseries and 20 infant and toddler nurseries and 139 teachers in charge of infants at nurseries except teachers in charge of 0-year-old infants in Daejeon. The research methods were on-the-spot observations and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performed frequency and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using an SPSS win 12.0 program. In order to analyz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the two institutions, it used -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when seeing the spaces and facilities in the outdoor play environment for infant groups, all nurseries, except one nursery, had outdoor play spaces. Most institutions used garden for the spaces. The two institutions gained low scores, average 2.25 and 1.90 out of 5 each, in the spaces and facilities for infants. They had not enough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fixed·movable facilities for infants, and the quality of their outdoor plays was very low. Among the researched contents,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in the areas such as combined play tools, fixed play facilities, structures and tools for role playing, and places and tools for growing plants. In the stability of outdoor play environments for infant groups, the two institutions obtained 4.16 and 3.46 out of 5, respectively, and the score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spaces and facilities of outdoor play. In the suitability of play facilities according to ages, the height and size of spaces, and exposure to harmful substances and sunlight, infant nurseries gained higher scores than infant and toddler nurseries, and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Second, when seeing the operation methods in the outdoor plays for infants, the two institutions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heir types in the plans of outdoor play during their daily routines, methods to draw up plans, fulfillment of planned plays, times of outdoor play, satisfaction in the time of outdoor play, use of fixed·movable facilities, the roles of teachers, and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of outdoor play. The survey of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outdoor play for infants shows that teachers of infant nurseries have higher recognition than those of infant and toddle nurseries in the suitability of outdoor play according to infant's development and the necessity of spaces and facilities for infants. Also, the two institutions have a meaningful difference.;본 연구는 영아전담 어린이집과 영유아통합 어린이집 영아반의 실외놀이 환경과 운영의 실태를 파악하고, 어떻게 다른지 비교함으로써 영아들을 위한 실외놀이 환경 구성과 실외놀이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전담 어린이집과 영유아통합 어린이집 영아반의 실외놀이 환경(공간과 시설, 안전도) 실태는 어떠한가? 두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영아전담 어린이집과 영유아통합 어린이집 영아반의 실외놀이 운영(운영 방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는 어떠한가? 두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시에 있는 영아전담 어린이집, 영유아통합 어린이집 각각 20개 기관과 각 기관에서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 중 0세반을 제외한 영아반 담임 교사 139명이며, 연구방법으로는 현장 관찰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검증과 t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의 실외놀이 환경 실태에서 공간과 시설을 보면 1기관을 제외한 모든 어린이집이 실외놀이 공간을 갖추고 있고, 공간의 위치는 두 기관 모두 마당이 가장 많았다. 두 기관은 영아를 위한 실외놀이 공간과 시설에서 5점 만점에 평균 2.45점과 1.90점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두 기관 모두 영아들을 위한 실외놀이 공간과 고정·이동놀이 시설이 부족하고, 실외놀이 영역의 질도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 복합놀이 기구와 고정놀이 시설, 역할놀이를 위한 구조물과 도구, 식물을 키우는 장소와 도구에서는 두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아반의 실외놀이 환경 실태에서 안전도를 보면 두 기관은 5점 만점에 4.16점과 3.46점으로 실외놀이 공간과 시설보다 양호한 점수를 받았다. 영아전담 어린이집의 경우 놀이 기구의 연령 적합성, 높이와 공간의 크기, 유해 물질 및 햇볕 노출에서 영유아통합 어린이집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고, 두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영아반의 실외놀이 운영 실태에서 운영 방법을 보면 일과 중 실외놀이 시간 계획 여부, 계획안 작성 방법, 계획한 놀이 실행, 실외놀이 시간, 실외놀이 시간이 충분한지에 대한 만족도, 고정·이동놀이 시설 이용도, 교사의 역할, 실외놀이 운영시 어려운 점에서 두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아반의 실외놀이 운영 실태에서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보면 영아전담 어린이집이 영아의 실외놀이가 발달에 적합한지와 영아전용 공간과 시설의 필요성 인식 정도가 영유아통합 어린이집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두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