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희동-
dc.contributor.author김명진-
dc.creator김명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5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527-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보시스템 개발에 있어 프로젝트 참여 인력들의 만족도 개선을 통한 프로젝트 성과 향상을 주제로 하였다. 이는 점차 기업의 IT 인프라 확대와 더불어 아웃소싱에 의한 외부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프로젝트 실무 현장에서 SI 협력업체 팀원들의 프로젝트 참여 만족도가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며 이런 불만족이 프로젝트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프로젝트 참여 만족도 향상은 프로젝트 성과 제고 및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과제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는 하나의 대규모 표본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전체 프로젝트 참여 인력들 대상으로 프로젝트 특성 요인 및 참여 만족도와 성과측정을 시도하였다. 이는 개인수준(팀원)과 집단수준(개발팀)에서의 상호작용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대규모 프로젝트의 복잡한 계층적 조직 아래 서브 프로젝트 관리자 즉, 중간 관리자(PL: Project Leader)의 리더십 성향에 따라 개인의 프로젝트 참여 만족에 어떠한 양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프로젝트의 조직•기술 환경의 불확실성에 따라 프로젝트 참여 만족도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단위의 프로젝트 참여만족도 내에 유의미한 집단간 분산이 존재함을 밝혀, 팀원(개인) 수준의 프로젝트 참여 만족도에 개발팀(집단)의 영향이 존재함을 검증했다. 이는 개인 단위의 프로젝트 참여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소속된 팀 단위 접근을 통한 처방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대규모 프로젝트의 엄격한 방법론과 계층적 통제 아래 이상적인 중간 관리자 리더십에 대한 검증 결과, 성과지향적 리더십과 인간 중심의 관계지향적 리더십의 통합적 노력이 프로젝트 팀원의 참여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대규모 프로젝트 수행 시 개발팀 PL(Project Leader)은 팀원의 만족도 향상 및 성과 향상을 위해 성과•관계지향적 리더십에 대한 통합적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프로젝트 특성요인에 있어서는, 프로젝트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프로젝트 참여 만족도는 낮고, 프로젝트 환경의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프로젝트 참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 조직환경이 불확실할수록 관계•인간지향적인 리더십 스타일이 참여 만족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프로젝트 기술환경이 불확실할수록 성과•과업지향적인 리더십 스타일이 팀원의 참여 만족도에 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프로젝트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프로젝트 제품 성과(시스템 품질 및 산출물 품질)와 과정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검증된 결과를 다수의 프로젝트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진다. 하지만 프로젝트 종료 시점에 프로젝트에 참여한 전체 인력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특성 요인들을 측정하고, 프로젝트에 특화된 참여 만족도 및 성과 측정을 통한 전반적인 프로젝트 진단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와는 다른 본 연구만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추후 프로젝트 특성요인 및 프로젝트 참여 만족을 중심으로 다수의 프로젝트들간의 비교 연구를 통해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위한 후행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aise project performance by improving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in development of diverse information systems to strengthen enterprises’ competitiveness. Enterprises’ IT infrastructure is enlarged and dependence of outsourcing on outdoor is increased. At this time, the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of team members of SI cooperative enterprises in the practical field of the project is generally low. Therefore, the study was originated from recognition that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should be improved to raise project performance and to make progress of a successful project since the above dissatisfaction was operated as a danger factor of the project. The study selected one large-scale sample project and attempted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project performance with the whole project participants.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between individual level (team members) and group level (development team), and examined what effect a sub project manager under complicated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the large-scale project, namely PL (project leader)’s leadership style had on each individual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what effect project uncertainty in organization/technology environment had on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project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y verified that development team (group) had an effect on team member (individual)-level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by disclosing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spersion among groups within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by each individual. It is analyze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improvement through approach by each pertinent team to raise individual-level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The study also verified PL’s ideal leadership under strict methodology and hierarchical control of the large-scale pro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n effort to integrate performance-oriented leadership and relation-oriented leadership based on human resources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participatory satisfaction of project team members.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project performance were increased as much as team members recognized that PL displayed performance-oriented leadership and personal relation-oriented leadership in an integrated way. Therefore, in a large-scale project, the study proved that it was necessary for PL to make an integrated effort of performance• personal relation-oriented leadership to rais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team members.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also lowered as much as uncertainty of project environment was high, and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was high as much as uncertainty of project environment lowered. When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a project was uncertain, personal relation-oriented leadership style had more affirmative effect on participants’ satisfaction than performance-oriented leadership style. When technological environment of a project was uncertain, performance-oriented leadership style had more affirmative effect on participatory satisfaction of team members than personal relation-oriented leadership style. Furthermore, the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had an affirmative effect on performance of project products (system quality and output quality) and process performance. The study has a limit in applying the verified results to a lot of projects since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single project. However, the study measured characteristics of a project with overall human resource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at the point of time of closing the project, and attempted overall project diagnosis through participatory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specialized to the project, which grants the study meaning differing from preceding researches.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f a project and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hereafter,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continuous succeeding researches for a successful project through comparison/analysis among a lot of projects. Key words: Project Leader’s Leadership, Project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uncertainty & technological uncertainty),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Project Perform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프로젝트 관리자 리더십 = 6 1. 리더십 이론 = 6 2. 프로젝트 중간 관리자(PL) 리더십 = 14 B. 대규모 프로젝트 특성 요인 = 25 C. 직무만족도 및 프로젝트 참여 만족도 = 29 1. 직무 만족도 = 29 2. 프로젝트 참여 만족도 = 31 D. 프로젝트 성과 = 37 1. 프로젝트의 성공 요인 및 성과 = 37 2. 프로젝트 참여 만족도와 프로젝트 성과의 관계 = 39 Ⅲ. 사례 연구: KB국민은행 차세대 인터넷뱅킹 구축 프로젝트 = 41 A. 프로젝트 추진 배경 = 41 B. 프로젝트 목표 = 43 C. 프로젝트 주요 고려사항 = 44 D. 프로젝트 주요일정 및 추진업무 = 45 E. 프로젝트 조직 구성 = 49 Ⅳ.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 55 A. 연구모형 = 55 B. 가설설정 = 56 1. 가설 1 = 56 2. 가설 2 = 57 3. 가설 3 = 58 4. 가설 4 = 59 Ⅴ. 실증분석 결과 = 60 A. 연구방법 및 분석 방법 = 60 B. 자료수집 = 61 C.모집단 및 표본집단 특성 = 62 D.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 66 E. 연구가설의 검증 = 71 1. 가설 1 검증 = 73 2. 가설 2a,3a 검증 = 74 3. 가설 2b, 3b 검증 = 76 4. 가설 4 검증 = 78 F. 사례 연구 추가 분석 = 79 1. 프로젝트 특성 요인 측정 = 79 2. 프로젝트 참여 만족도 측정 = 81 3. 프로젝트 성과 측정 = 90 Ⅵ. 결과 및 제언 = 92 A. 연구의 결론 = 92 1. 실증분석결과에 대한 결론 = 92 2. 사례 연구 추가 분석 결과 = 94 3. 통합 성과 측정 모델 제시 = 96 B.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 99 참고문헌 = 100 부록. 설문지 = 105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20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dc.titlePL 리더십 성향과 프로젝트 특성요인이 프로젝트 참여 만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KB국민은행 차세대 인터넷뱅킹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PL Leadership and Characteristics of Project on Project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Focused on the Next Generation Banking Project of Kookmin Bank-
dc.creator.othernameKim, Myung-Jin-
dc.format.pageⅸ,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보과학대학원 멀티미디어학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정보과학대학원 > 멀티미디어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